전체 페이지뷰

2025년 7월 11일 금요일

뜨거운 이진숙·강선우 의혹 말 아끼는 민주당 "억울하다니 지켜보자"

장관 인사청문회 슈퍼위크 코앞 여당 여론 들어보니... "낙마 없길 희망" 엄호 속 여론 추이 주시

0글: 유성애(findhope) 김지현(diediedie) 


 왼쪽부터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 강선우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
왼쪽부터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 강선우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 ⓒ 연합뉴스


'인사청문 슈퍼위크'가 14일부터 시작되는 가운데 논란의 중심에 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두고 더불어민주당은 '청문회를 지켜보자'면서 엄호에 나서는 모양새다. 이재명 정부 새 내각 출범의 시작점인 만큼 정부·여당은 여론 향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표절을 비롯한 논문 쪼개기 게재 의혹, 차녀의 불법 조기유학 의혹을 받고 있다. 제기된 의혹은 교육 윤리와도 연관성이 깊어 시민사회와 학계에서도 비판 여론이 크다.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는 잦은 보좌진 교체와 보좌진에 사적 심부름을 시켰다는 '갑질 의혹'에 휩싸여 있다.

야당 '자진 사퇴' 촉구... 민주당 "청문회 지켜보자"


문진석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1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낙마는 없다'는 뜻을 밝혔다. '한 명도 낙마 없이 간다는 건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문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주당의 희망은 그렇다. 대통령실도 똑같은 생각일 것"이라고 답했다.

이진숙 후보자의 논문 관련 의혹에 대해 그는 "이공계 (연구) 윤리지침을 보면 대학원생 논문에 교수가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려도 된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크게 용인 된다"라면서 "(교수 시절) 총장에 출마하며 논문 검증을 거쳤는데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났다"라고 설명했다.

차녀 불법 조기유학 의혹에 대해선 "한 학기 당겨서 (유학)간 것인데, 현실과 법이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라면서 "그것으로 장관직을 수행할 수 없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는 강 후보자와 관련한 의혹에 대해선 "본인 해명을 들어봐야 한다"라고 답했다.

 국회의사당 전경.
국회의사당 전경. ⓒ 김지현

강선우 후보자의 '갑질 의혹'을 두고 여당 국회의원들의 분위기는 '소명하겠다고 하니 청문회를 보자'는 것으로 정리된다. 여가위 소속의 한 의원은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만약 사과할 게 있다면 사과를 해야 한다"라면서도 "본인이 억울하다는 측면이 있어 보인다. 후보자가 해명 가능한 일이라고 하니 지켜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여당 의원은 "청문회는 도덕성만 따지는 데가 아니라 정책 능력과 장관으로서 자질을 검증하는 자리"라면서 "윤석열 정부 3년간 여가부가 제기능을 못 했지 않나. 중요한 시기인데 도덕성 의혹 검증으로 시간을 너무 길게 허비해선 안 된다"라고 말했다.

대통령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통령실은 우상호 정무수석을 수장으로 한 인사청문회 태스크포스(TF)를 별도로 꾸렸다고 11일 밝혔다. 대통령실은 인사청문 사안과 검증 사항 등을 종합해 검토·확인하는 동시에 국민 여론도 파악한다.

야당은 '후보자 도덕성'을 고리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의 논란이 커지는 데 발맞춰 국민의힘 한지아·우재준 의원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보좌진이 존중 받는 국회가 돼야 한다"라며 '강선우 갑질방지법'을 발의하겠다고 알렸다.

다음은 14일부터 닷새간 열리는 국회인사청문회 현황이다.

7월 14일(월) 강선우(여성가족부), 배경훈(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동영(통일부), 전재수(해양수산부)
7월 15일(화) 임광현(국세청장), 김성환(환경부), 한성숙(중소벤처기업부), 안규백(국방부), 권오을(보훈부)
7월 16일(수) 김영훈(고용노동부), 정성호(법무부), 이진숙(교육부)
7월 17일(목) 조현(외교부), 구윤철(기획재정부),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7월 18일(금) 윤호중(행정안전부), 정은경(보건복지부), 오영준(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강선우#이진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