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호 시장 공약, 2025년 정부의 국책사업으로 가시화 주목
세종시가 ㈔한국건설관리학회에 의뢰해 진행한 연구용역. 여기에 국립한글문화단지의 밑그림이 담겼다. 사진=세종시 제공. |
시가 최근 마무리한 ㈔한국건설관리학회 의뢰 연구용역을 보면, 국립한글문화단지는 한글과 한국어, 한국 문화를 체득·체험할 수 있는 컨트로타워로써 내부에 (가칭)한글사관학교와 한글문화체험관, 한글문화거리, 전통교육원 등을 갖춘 10만㎡ 규모로 제시됐다. 경제 효과는 수출 대체 효내부 기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한글사관학교는 한글을 해외에 체계적으로 확산·전수할 교원을 양성하고, 한국어 연구와 한국어 교재의 개발·보급 등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통한다. 이는 최근 정부의 한국어 교원 역량 강화계획과 맞닿아 있다.
향후 해외 각지의 세종학당에 교원을 파견하기 전 현지 언어와 문화교육, 보수교육을 제공하고, 강화된 경력관리와 우수 학생 교육 등 통합적인 관리를 지원하는 단지 내 핵심 공간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글문화체험관과 전통교육원은 전통 언어산업부터 언어기술과 언어 콘텐츠 산업을 포괄하는 언어문화 산업화의 거점 공간으로 제시됐다. 이곳은 한글놀이터와 디지털 탁본, 서예, 전통 책 만들기 등 보편 체험과 한글 관련 성지 순례 등 특화 체험, 한국문화 체험, 전시 및 케이 콘텐츠 체험이 이뤄지는 창작 및 체험 영역이다.
한글문화거리는 한글문화 관광 및 청년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놀이 요소가 도입된 특화거리다. 팝업스토어와 다문화 음식점, 카페 등 한글과 한국문화를 활용한 독창적 개념의 거리로 꾸며지는 안이 담겼다.
한글문화단지는 이 같은 시설을 품으며, 향후 외국인과 재외동포 자녀, 한국인 입양아 등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세계인이 한데 어우러져 한국어·한국문화를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무엇보다 애매모호한 정체성과 중복된 기능으로 각 부처와 지자체, 기관별 분산된 한국어와 한국문화 보급 사업을 하나로 연계함으로써 이를 통합·조정하는 공간으로도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관건은 중앙정부의 반응과 공감대 확산에 있다. 이를 전제하지 않고는 뜬구름 잡는 제안에 그칠 공산이 있다.
세종시의 자신감은 미래 행정수도 위상에서 출발한다. 정부 정책을 총괄하는 국무총리실과 기재부, 한국어 보급·연구·개발을 하는 문체부, 재외 한글학교 운영관리를 총괄하는 교육부 등이 모인 세종시가 한글문화단지 조성의 최적지란 판단을 하고 있다. 행정수도로서 대통령기록관과 국립세종도서관, 국립박물관 단지 등 세종의 문화 벨트와 연계 시너지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앞으로 시는 단지 내 주요 시설의 적정 운영과 한글문화단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세종학당재단의 세종시 이전과 국립국어원 세종 분원 설치 흐름부터 만들어갈 계획이다.
정부의 세종학당(해외의 한국어 보급 전진기지) 혁신을 적극 지원하고, 대한민국 한글문화수도 기반도 구축한다. 한글문화단지는 세종학당에서 활약할 한국어 교원과 외국인 학습자를 교육하는 국내 기반 시설로서 가치를 품고 있다.
실제 정부는 8월 22일 국정 현안 관계 장관회의를 통해 해외 세종학당을 오는 2027년까지 300곳까지 늘리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했다.
현재 세종학당이 전 세계 256곳에서 운영 중인 점을 고려하면, 세종학당의 거점 조직 확대와 추가 신설 등을 추진하기 위해선 한국어 교원 자격 기준을 갖춘 전문 교원 양성이 급선무로 다가오고 있다.
동시에 해외 16개국 20곳에서 활동 중인 828명의 현지 교원에 대한 교원 자격취득(49% 수준) 지원도 절실하다. 국내 이주민과 유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지원을 위해선 세종시와 같이 접근성 좋은 공간에 학습공간을 만들 필요성도 부각된다.
최민호 시장은 "세종대왕의 묘호을 물려받은 세종시는 한글과 한국문화의 보급·확산 정책을 구현할 최적의 장소"라며 "한국어, 한국문화의 통합적인 관리와 지방시대 실현을 위해 한글문화단지를 세종시에 조성해 한글문화수도로 도약을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앞선 7월 미국 UCLA한국학연구소와 LA한국문화원, LA시티칼리지 등의 방문 과정에서 해외 현지에서 한국어 위상 강화, 한글문화단지 조성 등의 필요성을 재확인했다.
아직 정부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세종시가 제안한 국비 3억 원(기본 설계비)이 2025년 정부 예산안에 담기지 않으면서, 2024년 말까지 세종시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
한편, 서울의 국립한글박물관, 울산의 한글도시 콘셉트, 경북 영주시의 'K-문화테마파크' 등과 중복되지 않는 기능의 단지 조성안도 숙제다. K-문화테마파크(부지 97만㎡)는 한글촌과 한음악촌, 한문화센터, 한지촌, 한식촌, 한복촌, 한옥촌 등 모두 7개 테마로 다양한 시설 단지로 구축돼 많은 이들의 발길을 잡아 끌고 있다.
한글문화단지는 이 같은 시설을 품으며, 향후 외국인과 재외동포 자녀, 한국인 입양아 등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세계인이 한데 어우러져 한국어·한국문화를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무엇보다 애매모호한 정체성과 중복된 기능으로 각 부처와 지자체, 기관별 분산된 한국어와 한국문화 보급 사업을 하나로 연계함으로써 이를 통합·조정하는 공간으로도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관건은 중앙정부의 반응과 공감대 확산에 있다. 이를 전제하지 않고는 뜬구름 잡는 제안에 그칠 공산이 있다.
세종시의 자신감은 미래 행정수도 위상에서 출발한다. 정부 정책을 총괄하는 국무총리실과 기재부, 한국어 보급·연구·개발을 하는 문체부, 재외 한글학교 운영관리를 총괄하는 교육부 등이 모인 세종시가 한글문화단지 조성의 최적지란 판단을 하고 있다. 행정수도로서 대통령기록관과 국립세종도서관, 국립박물관 단지 등 세종의 문화 벨트와 연계 시너지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앞으로 시는 단지 내 주요 시설의 적정 운영과 한글문화단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세종학당재단의 세종시 이전과 국립국어원 세종 분원 설치 흐름부터 만들어갈 계획이다.
최민호 시장 일행이 지난 7월 미국 미네소타 콘코디아 한국어마을을 방문한 모습. 사진=세종시 제공. |
실제 정부는 8월 22일 국정 현안 관계 장관회의를 통해 해외 세종학당을 오는 2027년까지 300곳까지 늘리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했다.
현재 세종학당이 전 세계 256곳에서 운영 중인 점을 고려하면, 세종학당의 거점 조직 확대와 추가 신설 등을 추진하기 위해선 한국어 교원 자격 기준을 갖춘 전문 교원 양성이 급선무로 다가오고 있다.
동시에 해외 16개국 20곳에서 활동 중인 828명의 현지 교원에 대한 교원 자격취득(49% 수준) 지원도 절실하다. 국내 이주민과 유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지원을 위해선 세종시와 같이 접근성 좋은 공간에 학습공간을 만들 필요성도 부각된다.
최민호 시장은 "세종대왕의 묘호을 물려받은 세종시는 한글과 한국문화의 보급·확산 정책을 구현할 최적의 장소"라며 "한국어, 한국문화의 통합적인 관리와 지방시대 실현을 위해 한글문화단지를 세종시에 조성해 한글문화수도로 도약을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앞선 7월 미국 UCLA한국학연구소와 LA한국문화원, LA시티칼리지 등의 방문 과정에서 해외 현지에서 한국어 위상 강화, 한글문화단지 조성 등의 필요성을 재확인했다.
아직 정부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세종시가 제안한 국비 3억 원(기본 설계비)이 2025년 정부 예산안에 담기지 않으면서, 2024년 말까지 세종시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
한편, 서울의 국립한글박물관, 울산의 한글도시 콘셉트, 경북 영주시의 'K-문화테마파크' 등과 중복되지 않는 기능의 단지 조성안도 숙제다. K-문화테마파크(부지 97만㎡)는 한글촌과 한음악촌, 한문화센터, 한지촌, 한식촌, 한복촌, 한옥촌 등 모두 7개 테마로 다양한 시설 단지로 구축돼 많은 이들의 발길을 잡아 끌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