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23년 3월 5일 일요일

황제의 이름 때문에 생긴 절기 ‘경칩’

 우리말 산책

황제의 이름 때문에 생긴 절기 ‘경칩’

엄민용 기자

오늘은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도 깜짝 놀란다는 경칩(驚蟄)이다. 하지만 경칩은 본래 개구리와 상관없는 날이다. 한자 ‘驚蟄’에서 알 수 있듯이 놀라는 것은 벌레다. ‘蟄’이 “숨다” 또는 “겨울잠을 자는 벌레”를 뜻한다.

옛사람들은 겨울이 지나고 봄비가 내리는 이 무렵에 올해의 첫 번째 천둥이 치고, 그 소리에 겨울잠에서 깬 벌레들이 땅 밖으로 나온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원래는 ‘열 계(啓)’자를 써서 계칩(啓蟄)이라고 했다. 중국 후한시대의 역사가 반고가 지은 <한서>에도 그렇게 기록돼 있다.

그러나 경칩에 놀라는 것이 개구리인지 벌레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추운 겨울에는 보이지 않다가 따뜻한 기운을 받아 다시 움직이기 시작한 생명이라는 사실이 중요하다.

우리말에는 이런 표현이 많다. ‘얌전한 ○○○ 부뚜막에 먼저 오른다’도 그중 하나로, 여기에서 ○○○에 ‘고양이’가 들어가도 되고 ‘강아지’가 들어가도 된다. 겉으로는 얌전하고 아무것도 못할 것 같은 사람이 딴짓을 하거나 자기 실속만 차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대상이면 그만이다.

‘계칩’이 ‘경칩’으로 바뀐 것은 중국 전한의 6대 황제 경제(景帝) 때문이다. 그의 본명이 유계(劉啓)로, 피휘(避諱)를 위해 ‘열 계’를 ‘놀랄 경’으로 바꾼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피휘란 국왕·조상·성인 등이 쓰는 이름에 들어간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을 뜻한다.

북한 주민들이 자신의 이름에 ‘일성’이나 ‘정일’ 등을 쓰지 않는 것도 피휘의 사례다. 최근 북한에서 김정은의 딸 김주애로 인해 지금까지 ‘주애’라는 이름을 쓰던 사람들이 개명을 강요받고 있다는 소식에서 알 수 있듯이 피휘는 백성들을 불편케 한다.

이 때문에 조선의 왕실에서는 백성들이 거의 쓰지 않는 한자로 이름을 지었으며, 한 글자로 짓는 일도 많았다. 백성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자기 좋을 대로 이름을 짓고는 백성을 닦달하는 북한과 백성들을 위해 이름 짓기 하나도 조심한 조선왕실. 폭군과 성군의 행보는 늘 사소한 것에서 차이를 보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