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23년 4월 24일 월요일

한국사회 전반적으로 언어 환경이 지나칠 정도로 영어화 돼!

 칼 럼


[전문가 진단]“한국, 쉽고 바른 우리 말글을 쓰기 위한 노력을 대대적으로 전개해야...”

박춘태 교육학 박사 | 기사입력 2023/04/24 [10:47] 

▲ 박춘태  박사. ©브레이크뉴스

지난해 겨울 한국을 방문했다. 3년 만이었다. 그동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경 봉쇄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3년 만의 방문이지만 한국은 여러 면에서 이전보다 훨씬 선진화 돼 있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외형적인 모습도 놀라울 정도로 발전했지만, 내용면에서도 공생공영을 위한 다양한 틀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마치 세계적인 문화 선진국을 지향하듯. 특히 다양한 규칙을 만들고 이를 철저히 실천하려는 노력에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한국 방문 당시 뉴질랜드는 이미 코로나로부터 자유로워진 상태였다. 이는 일상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더 이상 의무화 돼 있지 않음을 뜻한다. 그러나 한국은 달랐다. 일행과 식사를 마치고 버스 정류장에서 버스를 타려는 순간, 마스크를 착용해 달라는 운전기사의 공손하면서도 엄중한 요청이 들린다. 

허겁지겁 마스트를 쓰고 버스 안을 바라보니 한 명도 빠짐없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었다. 버스 안에 부착된 도착 외국어 표시 및 안내 방송도 특이했다. 한국어 외에 영어, 일어, 중국어가 나왔다. 외국인을 위한 배려다. 세계화의 흐름에 따른 성숙된 언어 환경을 참 잘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며칠 후 대학 내 매장을 방문했다. 그런데 직원이라고는 아무도 없었다. 무인 매장이었다. 매장 안을 보니 한글 표시보다는 굵게 표시된 영어 글자가 선명하게 눈에 띤다. 이를 테면, ‘NEW LIFE STYLE’, ‘CUSTOMER  SERVICE’ 등 간단한 글 외에, ‘WE TRY TO PROVIDE BETTER SERVICE TO OUR CUSTOMERS’와 같은 꽤 긴 문장도 있다. 대학에 외국인 유학생도 많이 있으니 이들을 배려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거주하는 아파트 주변을 둘러보았다. ‘TEA HOUSE’라고 쓰인 차 마시는 야외 공간이 있고, ‘COMMUNITY CENTER’라고 쓰인 건물이 있었다. 건물 안으로 들어가니 커피숍과 헬스클럽이 보인다. 모든 시설은 아파트 주민들만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사회 전반적으로 언어 환경이 지나칠 정도로 영어화 돼 있다. 아울러 무의식적으로 널리 쓰고 있으니 통탄할 노릇이다. 이에는 잘못 인식된 사회 심리의 영향도 있다. 영어 남용이 과연 대한민국 발전에 힘의 원천으로 작동할 수 있고 또 이러한 움직임이 반드시 긍정적이며 사회의 건강성을 보장할까. 물론 영어 사용과 영어 표기 간판이 필요한 곳은 있다. 다만 그것을 적용하는 데에는 대상, 나이, 요구나 욕구, 목적 등 다양한 변인이 있을 수 있겠다.  

예를 들어 젊은 세대 및 외국인 여행객들의 취향을 반영해야 할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다. 현 시대는 글로벌 시대다. 영어가 가진 힘은 세계 공통어 또는 지배어로서 군림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점은 한국어·한글이 외래어·외국어에 잠식되는 결과를 낳아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외래어·외국어를 지나치게 사용한다는 것은 우리말글의 사용을 외면하고 있는 꼴이다. 

 

우리 문화의 뿌리는 우리말글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하기에 우리의 언어·문자의 중요성은 더할 나위 없다. 여러 지역을 방문했는데, 적잖은 문화 변동의 충격을 받았다. ‘선을 넘은’ 느낌, 아니 혼돈스러웠다고 해야 옳은 표현일 것 같다. 거리 곳곳에 건물 간판이 영어로만 표기된 지역을 보았는데, 외국인지 한국인지 구별이 안 갈 정도였다. 영어가 공용어인 양. 우리말글에 정체성이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가 밝아질 수 있을까. 또 나라사랑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물론 때로는 탄력적 사고가 필요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간판조차 영어로 도배하고 있는 마당에 우리의 문화적 주체성을 어떤 명분으로 운운할 수 있을까. 외국어 남용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 시킨다. 대표적인 예로 소통의 문제, 세대 간의 갈등, 우리말글의 정체성 상실 등이다. 노인, 어린이를 비롯해 영어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영어 표기 읽기가 힘들다. 

 

더 큰 문제점은 영어 남용으로 인해 우리말글의 사용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점이다. ‘숯불구이’, ‘경마장’의 예에서 보면, 숯불구이는 ‘바베큐(barbecue)’로, 경마장은 ‘렛츠런 파크(let’s run park)‘로 부르고 있다.  

 

최근 공공외교(Public Diplomacy)가 중요시 되고 있다. 이는 정부 간 소통과 협상 과정을 일컫는 전통적 의미의 외교와 대비되는 것으로, 개념은 문화, 예술, 언어, 미디어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제를 활용, 외국 대중에게 감동을 주어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나간다는 데 있다. 

 

궁극적으로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영향력을 높이는 외교활동이다. 한류의 확대·재생산에 힘입어 뉴질랜드에서도 한국어·한글에 대한 관심과 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증가추세에 있다. 공공외교의 일환이다. 이들 학습자가 한국을 방문하여 영어로 도배된 지역을 본다면 과연 무엇을 느낄까? 

 

언어란 세월이 흐르면서 진화된다. 그 과정에서 때로는 다른 문화·언어를 수용할 필요도 있다. 국가 발전과 국민의 행복을 보장하기 위해서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통신 시대에서도 한국어와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말과 글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기에 우리는 더욱 성장하기를 바란다. 이를 위해 한글 간판으로 바꾸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오래 전부터 외래어·외국어의 무분별한 사용은 끊임없이 지적돼 왔다. 쉽고 바른 우리 말글을 쓰기 위한 노력을 대대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원활한 소통, 건강한 사회, 번영일로의 길, 민족의 주체성을 지니는 길이라 생각한다. ctp8190@hanmail.net

 

*필자/박춘태

교육학 박사, 뉴질랜드 거주.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The overall language environment in Korean society has become too Englishized!

[Expert Diagnosis] “Korea needs to make extensive efforts to write easy and correct Korean language...”

-Park Choon-tae, Doctor of Education

I visited Korea last winter. It was only 3 years. This is because the borders have been closed due to the Corona-19 pandemic. Although it was my first visit in three years, I could feel that Korea was much more advanced than before in many ways. The external appearance has also improved remarkably, but it is impressive that various frameworks for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are being established in terms of content. As if aiming for a world-class culturally advanced country. In particular, I was shocked by the effort to create various rules and thoroughly implement them.

At the time of my visit to Korea, New Zealand was already free from Corona. This means that wearing a mask in everyday life is no longer compulsory. But Korea was different. As soon as you are about to board the bus at the bus stop after eating with your group, you hear the driver's polite yet stern request to wear a mask.

I hurriedly put on a mast and looked inside the bus to see that every single person was wearing a mask. The arrival foreign language display and announcements attached to the bus were also unusual. In addition to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were available. caring for foreigners I thought that I had created a mature languag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flow of globalization. A few days later, I visited the store at the university.

However, there were no employees. It was an unmanned store. Looking inside the store, the bold English letters stand out more clearly than the Korean signs. For example, in addition to simple texts such as ‘NEW LIFE STYLE’ and ‘CUSTOMER SERVICE’, there are also quite long sentences such as ‘WE TRY TO PROVIDE BETTER SERVICE TO OUR CUSTOMERS’.

There are many foreign students at the university, so it seems to be part of an effort to be considerate of them. I looked around the apartment I live in. There is an outdoor space where you can drink tea with ‘TEA HOUSE’ written on it, and a building with ‘COMMUNITY CENTER’ written on it. When you enter the building, you can see a coffee shop and a gym. All facilities are said to be available only to apartment residents.

The overall language environment in society is overly Englishized. Moreover, it is deplorable that it is widely used unconsciously. There is also the influence of misperceived social psychology. Can abuse of English really work as a source of power for the development of Korea, and will this movement be positive and guarantee the health of society? Of course, there are places where you need to use English and signboards written in English. However, there may be various variables such as target, age, demand or desire, and purpose in applying it.

For example, it is a typical case to reflect the tastes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foreign travelers. The current era is a global era. The power of English is not lacking to reign as the world's common language or dominant language. However,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Korean language and Hangeul should not result in being eroded by foreign words. Excessive use of foreign and foreign words is the same as ignoring the use of Korean writing.

The roots of our culture can be found in our languag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our language and characters is unparalleled. I visited many places, and I was shocked by the cultural change. I think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say that it felt like ‘crossing the line’, no, it was chaotic. I saw areas where the signboards of buildings were written only in English, and I couldn't tell if they were foreigners or Koreans. As if English was the common language. If there is no identity in the Korean language, can the future of Korea be bright? Could it lead to country love again? Of course, sometimes flexible thinking may be necessary.

However, in the yard where even signboards are plastered in English, how can we talk about our cultural subjectivity? Abuse of foreign languages causes many problems.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communication problems,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and loss of identity in Korean.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children, and those who do not understand English well to read English notation.

A bigger problem is that the use of Korean writing is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the abuse of English. In the example of 'charcoal grill' and 'race track', charcoal grill is called 'barbecue' and the race track is called 'let's run park'.

Recently, public diplomacy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is is in contrast to diplomacy in the traditional sense, which refers to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between governments. The concept is to create a positive image by impressing the foreign public by using various software mechanisms such as culture, art, language, and media.

Ultimately, it is a diplomatic activity that enhances Korea's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nks to the expansion and reproduction of the Korean Wave, interest in Korean language and Hangul and foreign learners who want to learn it are on the rise in New Zealand. It is part of public diplomacy. What would these learners feel if they visited Korea and saw an area covered in English?

Language evolves over time. In the process, sometimes it is necessary to accept other cultures and languages. This is to ensure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happiness of the people. Even in today'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ge, Korean and Hangeul are recognized as the best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in the world.

So we hope to grow even mor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hanges to Korean signboards. From a long time ago, the indiscriminate use of foreign words and foreign words has been constantly pointed out. Efforts to write easy and correct Korean language should be made extensively. I believe that this is the path to smooth communication, a healthy society, a prosperous path, and a nation's identity. ctp8190@hanmail.net

*Writer/Park Chun-tae

PhD in Education, based in New Zealand.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119@breaknews.com
ⓒ 한국언론의 세대교체 브레이크뉴스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