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시절 국정원장 고발에…“친북몰이” “정권맞춤”
“저는 수포자 아니었다” 언론 보도 바로잡은 허준이 교수

대통령실 ‘비선’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윤석열 대통령의 나토(NATO) 정상회의 일정에 이원모 대통령실 인사비서관 배우자인 신아무개씨가 동행해 1급 보안 일정에 불투명한 사적 수행이 이뤄졌다는 비판이 높다. 부속실에 윤 대통령 외가 쪽 친척이 국장급 선임행정관으로 일한다는 사실도 알려졌다. 대통령의 해명·사과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연일 논란인 김 여사 사적수행…해명·사과 요구 높아져

대통령실은 신씨를 “행사 능력을 갖춘 전문가”로 표현했지만, 납득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나토 순방에 동행한 신씨는 건강식품 대표로 나타났다. 한겨레(건강식품 대표가 행사기획 전문가? 나토 참석 ‘사적 보좌’ 특혜의혹 번져)는 “ㄱ씨(신씨)의 아버지는 유명 한방의료재단의 이사장이며 윤 대통령과 친분이 있는 사이다. 윤 대통령은 지인의 딸인 ㄱ씨를 2013년 검사였던 이 비서관에게 소개해 두 사람은 결혼했다”며 “ㄱ씨와 ㄱ씨의 어머니는 지난해 대선 예비후보였던 윤 대통령에게 각각 1000만원씩을 후원해 고액후원자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다”고 보도했다.

▲7월7일자 주요 종합일간지 1면 모음
▲7월7일자 주요 종합일간지 1면 모음

“법조 인맥과 개인 친분을 중심으로 한 윤 대통령 국정운영 기조도 이번 논란을 가중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경향신문(‘6촌 행정관’ 김건희 여사 업무 총괄…‘비선 부속팀’ 눈총)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대통령실 주요 인사를 윤 대통령과 가까운 검찰 특수통 인사로 채우면서 검찰 측근 챙기기가 도드라진다는 비판이 이어져왔다”며 “이 비서관은 대선 기간에도 윤 대통령 캠프에서 네거티브 대응 업무를 맡았다”고 설명했다. 전날 KBS 보도로 알려진 윤 대통령 친척의 대통령실 선임행정관 근무를 두고 “최씨는 대통령실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하며 김건희 여사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 친척 채용은 위법이 아니지만 공정에 반한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덧붙였다.

이날 9개 주요 종합일간지 중에서 6개 신문이 사설로 ‘비선’ 논란을 비판했다. 세계일보는 “대통령실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대통령실이나 정부에도 국제행사 기획 담당자가 있을 텐데 굳이 민간인을 데려가야 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국민일보도 “윤 대통령과 사적인 인연이 없었다면 신씨가 수행원으로 발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동아일보는 “고위 공직자 발탁을 담당하는 인사비서관은 공정의 상징 같은 자리”라며 “이런 참모의 부인이 대통령 지인이라면 더 조심했어야 하는 것 아닌가. 대통령의 공사(公私) 구분이 이래서야 되겠나”라고 꼬집었다. 아래는 7일 주요 신문들의 관련 사설 제목이다.

▲7월7일자 경향신문(왼쪽)과 중앙일보(오른쪽)의 김건희 여사 관련 기사 배치
▲7월7일자 경향신문(왼쪽)과 중앙일보(오른쪽)의 김건희 여사 관련 기사 배치

경향신문: 또 불거진 김건희 여사 ‘사적 수행’, 비선 국정농단 잊었나
국민일보: 대통령 순방에 사적 인연 민간인 동행이 문제 안 되다니
동아일보: 인사비서관 부인 1호기 동승, 公私(공사) 구분이 이리 흐릿해서야
세계일보: 대통령 순방에 비서관 부인 동행, 왜 자꾸 이런 일 생기나
한겨레: 김건희 나토 순방에 ‘지인’ 동행, ‘궤변’ 말고 국민사과를
한국일보: 또 불거진 김건희 여사 ‘비선’ 논란, 지원 조직 명확히

文정부 국정원장들 고발한 尹국정원, 칼끝 향하는 곳은

국가정보원이 6일 문재인 정부 시절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및 ‘탈북 이송민 북송 사건’과 관련해 박지원·서훈 전 국정원장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국정원은 박지원 전 원장을 국정원법(직권남용죄) 위반과 공용전자기록 등 손상죄, 서훈 전 원장을 국정원법 위반과 허위 공문서 작성죄 등으로 고발했다.

한겨레는 이날 1면 머리로 ‘국정원, 박지원·서훈 고발…윤의 ‘친북몰이’ 가속’ 제목의 기사를 썼다. 이 신문은 “지난달부터 국민의힘 등 여권이 집중적으로 제기한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된 논란이 결국 검찰로 넘어가면서 전임 문재인 정부를 향한 대대적인 ‘친북몰이’ 공세가 예상된다”면서 “국정원이 고발 대상자를 ‘박 전 원장 등’으로 적시한 만큼 고발된 국정원 관계자는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7월7일자 한겨레
▲7월7일자 한겨레

경향신문은 ‘국정원, 전례 없는 셀프 조사…정권 맞춤 ‘준비된 고발’’이란 제목을 썼다. 이 신문은 “국정원 실세로 불리는 조상준 기조실장은 한동훈 법무부 장관과 함께 윤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힌다. 특수통 검사 출신인 조 실장은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일 때 대검 형사부장으로 보좌했다”며 “더구나 두 사건은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이 정치쟁점화한 것”을 ‘준비된 고발’ 근거로 봤다.

이어 “검찰 수사가 문재인 정부 청와대로 뻗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검찰은 청와대 개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당시 청와대가 해경과 주고받은 보고서·지휘서 등 대통령지정기록물을 열람하려 할 공산이 크다”며 “서 전 원장의 혐의를 살펴보면서 당시 청와대의 지침이 있었는지도 확인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국정원이 두 전직 국정원장을 고발한 혐의를 상세히 다뤘다. ‘“난 한국 공무원, 구조해달라”…朴, 감청 확보하고도 배제 의혹’ 제목의 기사다. 이 신문은 먼저 박 전 원장 관련 “2020년 9월 정보 당국은 해수부 공무원 고(故) 이대준씨가 ‘대한민국 공무원이다. 구조해 달라’는 취지로 북한군에 구조 요청했다는 감청 기록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계획된 월북’보다 ‘표류’ 쪽에 힘을 실어주는 첩보 내용이다. 당시 국정원이 이 같이 이씨 월북 가능성과 배치되는 대목들을 보고서에서 삭제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 전했다.

서 전 원장에 대해선 “2019년 11월 2일 나포한 귀순 어민에 대한 합동 조사를 강제로 서둘러 종료한 혐의를 받고 있다”며 “당시 합동 신문이 사흘 만에 종료된 배경엔 ‘남북 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조사를 최대한 빨리 끝내라’는 취지의 서 전 원장 지시가 있었다고 한다. 일반 탈북자 합동 신문에 수주~수개월이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매우 이례적”이라고 했다.

한국계 美대학 교수의 필즈상 수상, ‘수포자’ 키워드 논란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겸 한국고등과학원 석학교수의 필즈상 수상이 대대적으로 보도도고 있다. ‘한국계로서 처음 수학계의 노벨상을 수상했다’는 식이다. 6일 온라인에서 허 교수가 ‘수포자’(수학포기자)였다는 기사가 쏟아졌는데, 7일 신문엔 허 교수 스스로 수포자가 아니었다고 바로잡은 내용이 제목에 올랐다.

세계일보: “난 수포자 아냐…수학 재미 느끼고 잘했다”
중앙일보: “수학 성적 나쁠 때도 있지만 수포자였던 적은 없었다”
한겨레: 허준이 교수 “난 수포자 아냐…공동연구 매력에 십수년 중독”

다만 한국 교육 환경이 ‘수포자’를 양산한다는 취지의 기사들도 눈에 띈다. 국민일보(‘수포자’ 양산하는 한국 교육, 필즈상 계기로 확 바꿔야)는 “당장의 성과가 보일 것 같지 않으면 좌절시키는 게 우리 공교육”이라며 “(허 교수는) 고등학교 때는 몸이 아파 야간자율학습을 빼달라고 했지만 거부당했다. 그는 자율성도 융통성도 없는 학교를 자퇴하고 검정고시로 대학에 갔다. 제도권 교육의 낙오자인 셈”이라 했다. 세계일보는 ‘한국계 첫 필즈상 무색…교실엔 ‘수포자’ 수두룩’ 기사에서 수학 기초학력이 미달 수준인 학생 비율이 늘고, 수학 무력감을 느끼는 학생의 비율이 높다는 조사 결과를 전했다.

▲7월7일자 중앙일보
▲7월7일자 중앙일보

동아일보(“아들 준이, 윷놀이 등 변형해 창의성 키워…자유롭게 놔뒀다”)는 허 교수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 통계학과 명예교수와 지도교수였던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의 인터뷰를 기사로 썼다.

 노지민 기자 jmnoh@media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