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 이승현 기자
- 입력 2025.06.24 23:35
- 수정 2025.06.25 00:16
- 댓글 1
![정동영 통일부장관 후보바가 24일 오후 남북관계관리단 사무실 앞에서 약식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https://cdn.tongilnews.com/news/photo/202506/213819_109502_3448.jpg)
"남북간의 갈등을 풀어보라는 이재명 대통령님의 지명을 받고 통일부로 왔다."
김대중 정부시절인 2004년 7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통일부장관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장을 지낸 정동영 의원이 이재명 정부 첫 통일부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뒤 처음으로 24일 오후 서울 삼청동 통일부 남북관계관리단 사무실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다지는 일"을 소명으로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후보자는 줄기가 감아올라가는 방향이 서로 다른 칡(갈, 葛)과 등나무(등, 橙)의 비유를 들어 갈등의 시대를 풀어 적대와 대결을 넘어선 화해와 협력의 시대로 재진입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막중한 책임감울 느낀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날 남북관계관리단 사무실 앞에는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회담이 무산된 이후 윤석열 정부 3년을 포함해 지난 6년간 단절상태에 이른 절박한 상황에서 남북관계를 개선할 수 있겠다는 관록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듯 수십명의 기자들이 모여들었다.
과거 북핵 6자회담이 1년 가까이 중단된 상태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특사자격으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단독 면담(2005.6.17)을 하고 직후 제4차 6자회담 중 북의 NPT, IAEA 복귀 약속을 받아낸 9.19공동성명을 이끌어냈으며, 개성공단 착공과 첫 제품 생산까지 전 과정을 주도했던 5선 국회의원이 이재명 정부의 첫 통일부장관으로 다시 오게 된데 대한 관심과 기대와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 후보자는 구체적인 정책에 대해서는 청문회 이후 정리해 말하겠다고 하면서도 "우선은 지난 3년 동안 꽉 막혔던, 막혔을 뿐만 아니라 일촉즉발의 위기로까지 치달았던 그런 적대와 대결상황을 완화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지난 6년간 완전히 단절된 남북간 연락채널을 복원하는 것이 그 다음 순서"라고 정책 우선 순위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단절된 소통 부재 상황을 해소할 방안에 대해서는 "신뢰를 다시 쌓아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북의 호응을 어떻게 이끌어내겠느냐는 질문에는 "(남북관계)상황이 이렇게까지 된 것은 윤석열정부 시절의 일이다. 그러나 이제 윤석열정부는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새 정부와 함께 새로운 남북관계의 정립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새 정부의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강한 의지를 천명했다.
특사파견을 통한 직접 대북접촉 등 구체적 방안에 대해서는 "인사청문회가 끝나고 인준이 되면 통일부의 전문가들과 의논해서 차근차근 그림을 그려보겠다"고 말을 아꼈다.
이날 정 후보자는 통일부 명칭 변경에 대한 질문에 대해 "평화와 안정을 구축한 바탕위에서 통일도 모색할 수 있다는 생각이며, 통일부의 명칭 변경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적극적인 입장을 피력해 눈길을 끌었다.
독일이 통일전 지금 우리의 통일부로 볼 수 있는 '전독부'(Bundesministerium für gesamtdeutsche Fragen, 연방전독일문제부)에서 1969년 내독부(Bundesministerium für innerdeutsche Beziehungen, 연방약독관계부)로 명칭을 바꾼 것에 빗대어 '남북관계부' 등으로 변경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
평화는 '말'이고 통일은 '마차'라는 비유를 들어 말이 마차를 끌어가야지 마차가 말을 끌수는 없다고 하면서, "일단 평화를 정착하는 것이 5천만 국민의 지상명령이고 또 한반에 살고 있는 모든 구성원 우리 민족의 지상과제는 현재로서는 평화체제"라는 논거도 제시했다.
다만 이같은 주장은 '1동맹-1기본(남북기본합의서)-3협력(일본 우호, 중국 협력, 러시아 협력)'을 복원해야 한다는 정 후보자의 평소 지론과 상충하는 여지가 있다.
남북합의의 기초를 이루는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관계'와 최근 북의 '적대적 두 국가론'과 깊게 관련된 논쟁적 사안이어서 쉽게 결론이 날 문제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
'두 국가론'이 기존 남북합의의 대전제인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관계'를 대신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적지 않고, 정부 부처명칭 변경을 위한 입법 등 예상되는 난제가 작지 않은데, 통일부 명칭 변경이 그만큼 절실한 것인지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