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지시로 대북 확성기 방송 1년 만에 중단
“남북 간 신뢰 회복에 물꼬 트고, 접경지역 주민들 고통 덜어주는 조치”
- 최지현 기자 cjh@vop.co.kr
- 발행 2025-06-11 18:06:44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오후 2시를 기해 군 당국이 전방지역에 설치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하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대북 확성기 방송이 1년 만에 중지됐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이번 조치는 남북관계 신뢰 회복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정부의 의지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이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국민께 약속드린 바를 실천한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특히 이는 북한의 소음 방송으로 인해 피해 겪어온 접경지역 주민들의 고통을 덜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라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중대한 도발이 없었던 상황에서 긴장완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로 이번 결정을 내렸고, 이는 남북간 군사적 대치 상황을 완화하고 상호신뢰 회복에 물꼬를 트기 위한 조치"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과 한반도 평화라는 두 가지 원칙을 중심에 두고 관련 사안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조치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지난해 6월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에 대한 대응을 이유로 윤석열 정부가 6년 만에 재개한 것이었다. 그러자 북한 역시 대남 방송을 재개했다. 이로 인해 파주, 김포, 강화 등 접경지역 주민들이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의 심각한 소음 피해를 받았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남북 긴장 완화와 특히 접경지역 주민들의 안정적 생활 보장을 위해 남북 양측의 방송 중단 필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했고, 이날 방송을 실제 중단하기에 이르렀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이번 조치는 남북관계 신뢰 회복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정부의 의지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이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국민께 약속드린 바를 실천한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특히 이는 북한의 소음 방송으로 인해 피해 겪어온 접경지역 주민들의 고통을 덜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라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중대한 도발이 없었던 상황에서 긴장완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로 이번 결정을 내렸고, 이는 남북간 군사적 대치 상황을 완화하고 상호신뢰 회복에 물꼬를 트기 위한 조치"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는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과 한반도 평화라는 두 가지 원칙을 중심에 두고 관련 사안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조치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지난해 6월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에 대한 대응을 이유로 윤석열 정부가 6년 만에 재개한 것이었다. 그러자 북한 역시 대남 방송을 재개했다. 이로 인해 파주, 김포, 강화 등 접경지역 주민들이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의 심각한 소음 피해를 받았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남북 긴장 완화와 특히 접경지역 주민들의 안정적 생활 보장을 위해 남북 양측의 방송 중단 필요성을 여러 차례 강조했고, 이날 방송을 실제 중단하기에 이르렀다.
“ 최지현 기자 ” 응원하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