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역사 교과서 대전현충원 ⑬] 국립묘지 안간 전직 대통령 노무현·윤보선
# 두 번째 질문. 그렇다면 대전현충원을 준공한 전두환 전 대통령은 대전현충원 국가원수 묘역에 묻힐 수 있을까?
답변은 현실적으로, 그리고 국민정서상으로는 불가능하다. 참고로 법률상 전·현직 대통령은 원칙적으로 국립현충원 안장 자격이 있다. 하지만 현행 '국립묘지의설치및운영에관한법률'은 국가보안법위반, 내란, 외환의 죄로 금고 이상 실형이 확정된 경우, 살인, 상습상해죄·폭행, 상습체포·감금, 약취·유인 및 인신매매, 강간·추행, 상습절도, 강도, 상습사기, 상습장물, 국고손실, 군사기밀 탐지·누설 등의 죄로 금고 1년 이상의 실형이 확정된 경우와 공무원과 공무에 종사하는 직원으로 수뢰, 횡령·배임죄로 금고 1년 이상의 실형이 확정된 경우, 그리고 탄핵이나 징계처분에 따라 파면 또는 해임된 경우에는 국립현충원 안장이 불가능하다.
▲ 사진 1 : 전두환 전대통령과 노태우 전대통령은 1997년 내란과 군사 반란 등의 죄명으로 무기징혁 등을 선고받아 전직대통령 예우를 박탈당했다가 사면됐다. 사면·복권된 자에 대한 국립현충원 안장자격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이 없다. | |
ⓒ 오마이뉴스 |
전 전 대통령은 1997년 4월 대법원에서 12·12와 5·18 내란과 군사 반란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아 전직 대통령 예우를 박탈당했고 국립현충원 안장 자격도 사라졌다. 하지만 그해 12월 특별 사면됐다. 문제는 사면·복권을 받은 경우에 대해선 별도 규정이 없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전 전 대통령의 죄가 면해진 것으로 판단할 경우 국립묘지 안장이 가능할 수도 있다. 최종 결정권은 안장대상심의위원회가 갖고 있다. 실제 안현태 전 전 대통령의 경호실장은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뇌물 수수 및 방조죄)로 징역 2년 6월의 실형을 선고받았지만 2011년 국립묘지에 기습 안장됐다. 사면복권을 받았다는 이유 때문인데, 지금까지도 논란이다.
대전현충원을 관할하는 국가보훈처는 "전 전 대통령은 사면·복권이 돼도 국립묘지에 묻힐 수 없다"라고 공식 의견을 밝혔다. 지난 2019년 당시 민주평화당 천정배 의원의 질의에 대한 답변을 통해서다. 보훈처는 당시 "사면·복권이 됐더라도 범죄 사실은 남는 것이므로 안장이 불가하다"는 법률해석을 내놓았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헬기 사격을 목격했다고 증언한 고 조비오 신부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사자명예훼손)로 재판을 받아온 전두환 전 대통령이 지난 8월 9일 몰라보게 수척한 모습으로 항소심 재판에 출석한 뒤 건강 상태가 나빠졌다며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했다. 혈액암의 일종인 다발성 골수종에 걸렸을 가능성이 있어 정밀 검사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의 나이가 90이라는 점 등으로 벌써부터 장지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
▲ 고 조비오신부의 명예를 훼손한 혐으로 재판을 받아온 전두환 전 대통령의 최근 모습. 그의 나이가 90이라는 점과 건강상태가 나빠졌다는 점에서 벌써부터 장지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 | |
ⓒ 5.18기념재단 |
# 세 번째 질문.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네 명의 전직 대통령이 국가원수 묘역에 안장될 수 있을까?
국가보훈처의 답변대로 전 전 대통령이 사면·복권이 되더라도 국립묘지에 묻힐 수 없다면 노태우 전 대통령은 물론이고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도 국립묘지에 묻힐 수 없다. 노 전 대통령은 전 전 대통령과 함께 내란과 군사 반란 등의 죄명으로 17년 형을 받았고 사면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퇴임 이후 뇌물수수, 횡령, 직권남용,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돼 뇌물죄에 대해서는 징역 12년과 벌금 130억원을, 횡령 등 나머지 범죄에 대해서는 징역 5년이 선고돼 2건의 전과가 추가되었다. 벌금을 완납한다는 조건 하에 2036년 11월 13일까지 형을 살게 되었다. 현재 이명박의 전과는 총 13회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었으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탄핵 소추 및 심판을 거쳐 헌정사상 최초로 대통령직에서 파면됐다. 박 전 대통령이 지난 2018년 7월과 8월 2개 재판에서 인정된 혐의는 모두 21개, 형벌은 총 33년형과 벌금 200억 원과 추징금 33억 원이다.
하지만 2019년 보훈처 답변이 확정적인 건 아니다.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사면 주장이 나오고 있고 여전히 국립묘지법에는 사면·복권을 받은 경우에 대한 별도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어떤 정부가 들어서느냐에 따라 관련 법률 해석이 달라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심의를 거쳐야 하긴 하지만 국가장례법 법률에 의거 전·현직 대통령의 경우 국가장으로 장례를 치를 대상도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여러 국회의원들이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국가장에서 제외하고 국립묘지에 안장할 수 없도록 하는 법안을 지속해 발의하고 있다.
큰사진보기 | |
▲ 실형을 선고받고 복역중인 이명박 박근혜 전직 대통령 | |
ⓒ 오마이뉴스 |
결론적으로 살아있는 전직 대통령 중 전두환, 노태우와 이명박은 임기 종료 후에 실형선고를 받았고, 박근혜는 대통령직에서 파면되었으니 당연히도 국립대전현충원 안장 불가다. 다만 실형을 선고받은 후 사면된 전두환, 노태우는 미지수다. 만약 이명박, 박근혜가 사면된다고 하면 그들도 미지수다. 사면에 대한 법적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그 여부를 결정짓는 명쾌한 잣대는 현재로서는 국민 정서뿐이다.
현재 대전현충원 국가원수 묘역에는 3명이 안장될 수 있는 빈자리가 남아 있다.
# 마지막 질문. 대통령 본인 의지로 현충원에 안 간 경우도 있을까?
당연히 노무현 전 대통령을 꼽을 수 있다. 본인의 의지에 따라 국립현충원 안장을 포기한 케이스다. 원래대로라면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될 수 있었으나, 유지에 따라 화장되어 본인의 고향인 경남 김해시 진영읍의 봉하마을로 갔다. "집 가까운 곳에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 남겨라"는 노 대통령이 남긴 유지에 따라 '대통령 노무현' 여섯 글자만 새긴 너럭바위 아래에 안장했다. 묘역에는 국민들이 기부한 1만5000여개의 작은 박석들이 있는데 박석에 새겨진 추모의 글들이 비석의 비문을 대신하고 있다.
큰사진보기 | |
▲ 충남 아산에 위치한 윤보선 전 대통령 묘소. 그는 독재자와 함께 묻히기 싫다며 국립현충원 안장을 거부하고 가족묘에 묻혔다. | |
ⓒ 심규상 |
윤보선 전 대통령은 현충원 안장을 거절한 경우다. 박정희 전 대통령 같은 독재자와 함께 묻히기 싫어서 거부했다고 한다. 그는 대한민국 헌정 사상 유일한 의원 내각제 정부의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5.16 군사정변으로 장면 내각이 무력화된 후에도 1년간 대통령직을 유지하였으며, 1962년 3월 하야했다. 박정희 군사정권 하에서 야당을 이끌었고 1980년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1990년 7월 18일 안국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가족장을 치른 뒤 고향인 충청남도 아산의 가족묘지에 안장되었다.
********************************************************
큰사진보기 | |
▲ 경남 김해에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집 가까운 곳에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 남겨라”는 노 대통령이 남긴 유지에 따라 ‘대통령 노무현’ 여섯 글자만 새긴 너럭바위 아래에 안장했다. 우리나라 최초이자 유일한 국가보존묘지로 지정됐다. | |
ⓒ 오마이뉴스 |
노무현 대통령 묘역 보존묘역으로 지정
국립현충원 국가원수 묘역에 준해 관리
보건복지가족부는 지난 2009년 8월 5일 국가보존묘지심사위원회를 열어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을 '전직 국가원수 묘역의 위상에 맞게 국가보존묘지로 지정해 역사적·문화적으로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했다. 이로써 우리나라 최초이자 유일한 국가보존묘지가 되었다. 경남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21-7번지 일원 3206㎡가 대상이며 밭 2155㎡, 임야 1051㎡이고 분묘면적은 11.48㎡이다. 묘역은 비석과 봉분, 바닥돌, 벽체 등이 있는데 평장형태의 개인묘지로서 안장유골위에 강판을 덮고 비석(너럭바위)이 설치된 구조다. 전직 대통령 묘역 중 가장 넓다.
보존묘지로 지정되면 국립현충원 국가원수묘역에 준해서 관리되는데, 현재 국가에서 지정한 보존묘지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소가 유일하다. 보존묘지는 대한민국에서 역사적 보존가치가 있는 묘지 등에 관한 특례가 부여되는 묘지 또는 묘역으로 지정 대상은 △역사적·문화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묘지 또는 분묘 △애국정신을 기르는 데에 이바지하는 묘지 또는 분묘 △국가장·사회장 등을 하여 국민의 추모 대상이 되는 사람의 묘지 또는 분묘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민미디어마당 사회적협동조합 누리집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