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17년 3월 28일 화요일

통일애국에 한 생을 다 바치신 박봉현 선생님

통일애국에 한 생을 다 바치신 박봉현 선생님
권오헌 양심수후원회 회장 
기사입력: 2017/03/29 [05:24]  최종편집: ⓒ 자주시보
[편집자 주: 25일 향년 99세의 전북지역 마지막 생존 비전향장기수 박봉현 통일애국지사가 안타깝게도 통일을 보지 못하고 유명을 달리하였다. 장례식에는 6.15남측위원회 관계자 등 많은 추모객들이 참석하여 애도를 표하고 명복을 빌었다. 권오헌 양심수후원회 명예회장이 고인을 추모하여 작성발표한 추모의 글과 양희철 선생의 추모시를 소개한다.]

▲ 박봉현 선생 영정     © 양심수후원회 제공

▲ 박봉현 비전향장기수 

▲ 박봉현 비전향장기수 약력     © 양심수 후원회 제공

지난 해 언제쯤인가 선생님을 찾아 뵈온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요양원으로 모셔 건강 진료를 받고 계시다는 말씀을 들었는데 이렇게 갑자기 슬픈 소식을 듣게 되었습니다.

선생님께서 천수를 다 하시기는 했지만 한 평생을 항일과 자주통일의 험한 길을 걸어 오셨는데 그 염원을 보시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시게 되어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기름진 흙내음이 몸에 베이셨던지 선생님께서는 출소 후 고령이셨음에도 씨뿌려 거두시는 생명의 윤회과정을 즐기셨고 애써 가꾼 꽃씨를 받아 뜻과 정을 나눈 많은 분들께 나누어주시던 그 정갈한 모습을 더는 뵙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1913년 전라북도 순창에서 식민지시대 빈농의 셋째 아드님으로 태어나셨습니다. 맏형님은 보통학교를 나올 수 있었지만 잇달아 모두 학교를 보내기에는 가난한 집안 형편으로 마음뿐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선생님의 고집은 대단하셨습니다. ‘학교를 보내줄 때까지는 일도 않고 밥도 안먹을래요!’라며 일찍이 단식투쟁을 하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하여 열다섯 살 늦깎이 학생으로 보통학교 3학년에 입학, 졸업까지 하였습니다. 

선생님의 향학열은 그것으로 끝나지 않았고, 고학을 해서라도 배움을 잇겠다고 일본으로 가시어 중학과정을 마치었습니다. 당시 일본에서는 식민지 조선인의 차별과 학대 등 치욕을 겪으셨고 이는 곧 반일독립정신을 키우게 되었으며 ‘자본론’ 등 많은 사회과학서적을 탐독하시어 진보사상과 민족해방에 대한 정신적 무장을 갖추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유수한 대학에 입학원서를 냈지만 매번 낙방되었다고 하셨습니다. 재학시절 조선학생에 대한 차별에 항의하여 동맹파업을 한 게 낙방의 원인이었다고 하셨습니다. 

1940년 선생님께서는 일본 대정대학 고등 사범과에 입학하였지만 1941년 일제의 학도병 징병을 피해 중국으로 가셨기에 졸업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간 편지 연락을 하고 지내던 은사님 댁에 기거하며 노동과 독학으로 지식을 쌓으며 생활하셨습니다.

1945년 해방되던 해, 은사님의 따님이신 정순희님과 결혼을 하셨습니다. 사모님은 당시 교원생활을 하였고 박봉현 선생님이 미남이시어 한 눈에 반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고국에 돌아오신 선생님께서는 다시 연희전문대학(지금의 연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셨지만 해방공간의 자주독립국가 건설의 바쁜 일정으로 학업에 충실하지 못 하신 듯 하였습니다.

1947년 학교를 졸업하고 고향 순창으로 내려와 교원생활을 하시다가 1950년 전쟁을 맞게 되었습니다. 같은 해 9월 일시적 후퇴하는 인민군을 따라 북녘으로 가셨고 온갖 전쟁의 참화를 겪으셨습니다. 전쟁 중에도 교육은 철저하여 선생님은 평양에서 재정건설전문학교 교원으로 봉직하고 1954년 조국통일 사업을 위해 남쪽으로 내려오시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1960년 공안당국에 체포되어 국가보안법 등 위반혐의로 무기형을 선고받아 잔혹한 고문 등 사상전향공작을 이겨내며 32년 옥고를 치루시고 1991년 12월 처음으로 실시되던 ‘노약자, 병약자’에 대한 석방조처로 비전향으로 출소하시게 되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학대와 제재 등 긴장이 이어지는 감옥에서도 틈틈이 꽃을 가꾸시는 일로 유명하셨습니다. ‘아무리 가혹한 탄압 속에서의 생활일지라도 아름다운 정서마저 빼앗길 수는 없다’는 마음으로 채송화, 해바라기, 오이, 호박 등을 가꾸셨습니다, 당시 감옥에 함께 복역했던 민족문학작가회의 시인이며 전교조 해직교사였던 이광중 선생님이 ‘박봉현 선생님의 꽃밭’이란 제목의 시를 지었고 이 시는 양심수후원회 소식지 ‘후원회소식’의 표지시로 싣기도 했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감옥을 ‘담안’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렇게 32년을 담안에 계시는 동안 사모님께서는 1991년까지 교원을 천직으로 여기시며 자녀들 교육과 옥바라지를 하셨습니다.
선생님께서는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내가 담안에 들어갈 때 막내 아들이 갓 100일이 지났는데, 그 아들이 아들을 낳은 아버지가 되어 있더군요. 내가 담안에 있느라 아이들을 돌봐주지 못한 게 물론 몹시 미안하지만 아이들을 불러놓고 이야기했습니다. ‘큰 사랑 안에 작은 사랑이 함께 하는 법’이라고 했다. 애비 노릇, 효자 노릇(선생님이 감옥에 계실 때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셨습니다) 제대로 못했지만 조국사랑이란 큰 사랑 안에 부모님, 너희들에 대한 사랑이 깊이 새겨져 있었음을 이해했으면 한다. 너희에게 선물 한 번 못주어 미안하지만 이제 내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선물을 주고 싶구나. 그것이 내 건강이다. 이것이 유일한 선물이다.” 

이렇게 선생님께서는 ‘조국사랑’이라는 그 무엇에도 우선하는 가치관으로 당당하고 의연하게 ‘담장’안에 계셨고 아무것도 선물로 줄 것은 없었지만 건강한 모습을 자녀들께 선물하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의롭고 용기있는 이들에 한없이 자애로우셨고 사리사욕, 사대매국하는 자들에게 엄중하셨던 선생님, 이제 자녀들께 선물하려던 건강마저도 세월의 무게를 이길 수 없어 가시게 되었습니다. 

선생님! 이제 한 세기에 걸친 선생님의 조국 사랑은 남은 사람들에 맡기시고 편안히 잠드시기 빌겠습니다. 삼가 명복을 빕니다, -2017년 3월 26일, 민가협양심수후원회 권오헌 올림 


[추모시] 박봉현 선생님을 추모하며
                                          양희철

새싹 움돋는 춘분절 지내놓고
어인 행차 이리 바쁘시나요,
봄맞이 늦을세라, 목말라 기다린 봄인지라
당겨나 보시려고 나가 선 것인가요.

한창적 동북삼성 좁다스리 누비셨고
포부 길러준 곳 만주벌
꼰다운 평생반려 맞아 안으신
인연의 땅
툰드라 넘어 북극 얼음도 녹이시려
일찍 차비하신 건가요.

굴곡진 조국 그 주름 펴시려다
봄기운 하나 없는 조국의 이방지대
감옥살이 삼십이년
뼈깍이고 살저미는 옥살이 나날
그래도 봄을 만들어 펼쳤나니
현재는 슬픈 것, 우리는 미래에 사는 것
동지의 처진 어깨 추스리려 내일을 심으셨다.

허기진 동지 당신 밥 덜어주고
운동장 고욤잎 한 장, 쑥잎도 나누어 먹었다.
배골는 서러움 딛고 나와 보니
험한 세상 굴곡은 여전하더라
특유의 낙관주의 펼치시니
넉넉한 너털웃음으로
선생님의 베푸심으로
완산벌에 희망을 심으셨겠다.
박 봉 현 동 지!
부럽습니다.
아들, 딸, 소자녀 다 거느리시고
평생토록 함께 하신 사모님 계시오매
이 땅, 양춘의 봄 피우시려
촛불혁명 밝혔습니다. 이제
서럽지 않은 날 대동의 세상, 통일조국
펼쳐놓으시려니 걱정 부려놓으시고
편히 쉬소서
조국은 그대를 기억하리니
영면하소서


[고 박봉현 선생 약력]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창신리에서 1919년 6월 20일 셋째 아드님으로 출생
보통학교 졸업 후 일본으로 유학
중학과정을 마치면서 '자본론' 등 많은 사회과학서적 탐독
1940년 일본 대정대학교 사범대학 입학
1941년 일제의 학도병 징병을 피해 중국행
1945년 정순희님과 결혼
1947년 연희전문대학 철학과 졸업 후 고향 순창에서 교원 재직
1950년 9월 일시적 후퇴하는 인민군을 따라 북녘으로 가심
       (평양에서 재정건설전문학교 교원으로 봉직)
1954년 조국통일 사업을 위해 남쪽으로 내려오심
1960년 6월 20일 공안당국에 체포되어 국가보안법 등 위반혐의로 무기형 선고
1991년 12월 25일 잔혹한 고문 등 사상전향공작을 이겨내며 32년 옥고를 치르시고 당시 처음으로 실시되던 '노약자, 병약자'에 대한 석방조치로 비전향으로 출소
2001년 전북통일연대 고문
2005년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전북본부 고문
2017년 3월 25일 오후 5시 32분 별세
트위터페이스북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