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시의회가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수도권을 제외한 외곽을 지칭하는 ‘지방’을 ‘지역’으로 수정해 달라는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했다. 차별을 없애고 지속 가능한 균형발전을 위해 공공언어를 개선하자는 취지다.
밀양시의회는 지난 24일 제263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국가균형발전과 지속 가능한 대한민국을 위한 공공언어 개선 촉구 대정부 건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건의문에는 ‘지방’이라는 단어가 수도권 중심주의를 강화하고, 지역의 위상을 낮추며 지역민 자존감과 잠재력을 위축시켜 모든 지자체를 동등하게 지칭하는 ‘지역’이라는 표현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건의문을 대표 발의한 정희정 의원은 “지방이라는 단어는 단순한 지명이 아닌 사회적 위계를 반영하며, 수도권 외 지역을 획일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며 “지방 출신 등 표현은 지역 청년 자존감에 상처를 남기고, 수도권 집중 현장을 심화시키고 있지만 뉴스와 방송, 정책 발표 등에서 여전히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방 명칭 사용이 불가피할 경우 ‘서울 지방’, ‘경남 지방’ 등 균형 있는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건의문에는 모든 공공기관과 언론에 차별적인 ‘지방’ 용어 사용을 중단하고 ‘지역’ 용어 사용 및 관련 언어 지침 우선 수립 요청도 포함됐다. 국립국어원에도 정책 권고를 요구하고, 용어 사용 실태에 대한 점검과 가이드라인 마련을 촉구했다. 건의문은 국회와 관련 중앙 여러 기관에 전달될 예정이다.
고비룡 기자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