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한솔기자
- 수정 2025-04-28 07:59
- 등록 2025-04-28 06:00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앞에 놓인 최대 과제는 ‘리스크 관리’다. 1위 주자의 숙명이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에 회부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이 후보에게 덧씌워진 ‘강성 지도자’ 이미지, 양날의 검에 가까운 이재명식 ‘화술 리스크’도 더해진다.
선거법 재판은 대법원 전원합의체에 회부된 뒤 사흘 새 두차례 사건 심리가 진행되는 등 이례적인 ‘속도전’이 펼쳐지고 있다. 당내에선 낙관과 우려가 공존한다. 6월3일 대선 전에 결론이 날지, 2심 무죄가 그대로 확정될지, 그게 아니라면 유죄 취지 파기환송, 파기자판 등 여러 경우의 수가 존재한다. 대통령 불소추특권(헌법 84조)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인 5개 재판의 심리가 중단돼야 하는지도 쟁점이다.
이 후보 쪽은 ‘사법 리스크’가 지지율에 이미 반영돼 있고 검찰의 무리한 기소가 상당 부분 드러난 상황이라 대선 기간에도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다만 한 법조인 출신 의원은 “대법원의 의도를 예측하기 어렵다. 최악의 경우 선거 개입 가능성을 줄이겠다며 대통령 후보 등록일 전에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을 하지 말란 법도 없다”고 했다.
지지율이 다른 후보들을 압도한다는 점이 공격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거대 의석에 더해 대통령직까지 움켜쥐겠다는 것”이라는 국민의힘의 지난 21일 논평이 대표적이다. 이 후보의 집권 가능성이 높아지자, 의석수 170석의 입법권력에 행정권력까지 틀어쥔 ‘절대 권력’ 프레임을 동원해 공포와 거부감을 유발하려는 전략이다. ‘내란에 대한 단죄·청산’과 별개로 ‘통합과 협치’의 정치 비전을 국민과 정치권에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게 이 후보에게 중요한 이유다.
민주당에선 중도와 보수층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이 대표의 ‘화술 및 태도 관리’가 더 정교해져야 한다고 본다. 실제 이 후보는 여러번의 ‘설화’로 위기에 빠질 뻔한 적이 있다. 이 후보 특유의 ‘직설 화법’은 복잡한 정책을 단순명쾌하게 설명하는 데선 강점을 지니지만, 인사와 공천 등 민감한 정무 현안을 다루는 데선 적잖은 위험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매불쇼’ 출연 당시 논란이 된 ‘검찰-비명계 내통설’이 그런 경우다.
한 친명계 중진 의원은 “상대 당에선 이 후보의 사소한 말 한마디, 작은 제스처 하나도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며 불안과 비호감을 증폭시키려고 할 것이다. 긴장을 풀지 않고 절제된 언행으로 지도자로서의 안정감을 심어주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고한솔 기자 sol@hani.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