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타, 새끼와 먹이 뺏는 사자보다 굶주림이 더 무섭다
먹이 50%, 새끼 78% 잃기도 하지만 핵심 먹이터 확보가 더 중요
'공포의 무대' 떠나기보다 주력 믿고 그때그때 상황 따라 대응 전략
» 나무 밑에서 쉬며 주위를 경계하는 치타 가족. 중간 포식자로 살아가기는 생각보다 녹록치 않다. James Temple, 위키미디어 코먼스
세렝게티 평원에는 날마다 맹수와 초식동물 사이에 쫓고 쫓기는 생존경쟁이 벌어진다. 추격전이 포식자와 피식자 사이에서만 일어나는 건 아니다. 최상위 포식자와 하위 포식자 사이도 살벌하긴 마찬가지다.
자연 다큐멘터리에서 중형 포식자인 치타가 기껏 잡아놓은 먹이를 사자나 하이에나에게 속절없이 빼앗기는 모습을 종종 보여준다. 먹이를 지키다가 자칫 큰 상처를 입느니 새로 사냥을 하는 편이 낫겠다고 여기는 것 같다.
» 치타는 빠르게 달리기 위해 날렵한 몸매로 진화했지만 그 바람에 덩치가 작아져 다른 포식자에게 종종 먹이를 빼앗긴다. 가젤을 사냥한 치타. Nick Farnhill, 위키미디어 코먼스
실제로 치타가 먹이의 25%를 빼앗기더라도 1.1시간만 더 사냥하면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관련 기사: 한국인처럼 살려면 지구가 2.5개 필요하다). 치타가 잡은 먹이의 10~15%를 다른 포식자가 가로채며, 때로는 먹이의 절반을 다른 동물이 가져가기도 한다.
먹이를 빼앗기는 데 그치지 않고 종종 치타는 다른 포식자에게 목숨을 잃는다. 특히 어린 치타의 사망원인 가운데 사자에 잡혀 죽는 비율은 매우 높아 78%에 이르렀다는 연구도 있다. 대형 포유류 가운데 이처럼 새끼 사망률이 높은 종은 없다.
» 먹이를 향해 돌진하는 암사자. 다른 포식자의 먹이 가로채기는 사냥 못지않게 사자에게 중요한 일이다. Schuyler Shepherd, 위키미디어 코먼스
이런 이유로 치타는 사자나 하이에나의 근거지를 피해 먹이 밀도가 낮은 주변부에 주로 서식하는 ‘피난처 동물’로 간주해 왔다. 이런 통념을 깨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양질의 먹이터를 최강자가 차지하면 다른 포식자는 주변의 질이 떨어지는 사냥터로 밀려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은 서로 간의 회피 행동을 통해 양질의 사냥터를 공존한다는 새로운 가설이 나왔다.
알렉산더 스완슨 미국 미네소타대 생물학자 등 연구자들은 탄자니아 세렝게티 국립공원에 225대의 무인카메라를 설치하고 사자, 하이에나, 치타가 어떻게 사냥하고 상대의 존재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실증적으로 조사했다.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생태학과 진화> 최근호에 실렸다.
» 치타는 사자에게 쉽게 먹이를 빼앗기는 약한 포식자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좋은 사냥터에서 결코 물러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Erik Damen, 위키미디어 코먼스
흥미롭게도 이들 차상위 포식자들은 목숨이 위태롭더라도 훌륭한 먹이터를 쉽사리 포기하지 않았다. 먹이가 풍부해 사자가 많은 곳에는 치타와 하이에나도 많았다. 사자가 득실거리는 본거지를 뺀 모든 곳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무인카메라를 분석한 결과 치타는 사자가 있는 것을 목격한 곳에는 12시간 동안 얼씬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36~48시간만 지나면 그곳에서 정상적인 사냥활동을 했다.
» 세렝게티 평원의 나무에 올라 휴식을 취하는 사자 무리. 이 나무는 치타가 좋아하는 곳이기도 한데, 사자가 보이지 않으면 치타 차지가 된다. Prof.Chen Hualin, 위키미디어 코먼스
치타나 사자 모두 평원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나무 밑에서 쉬기를 좋아한다. 치타는 사자가 없을 때는 사자가 자주 오는 곳이라고 피하지 않았다. 사자와 맞닥뜨리더라도 빠른 주력으로 도망칠 수 있으니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전략이다.
연구자들은 “최근 사자로 인한 치타의 사망률이 알려진 것보다 낮으며 사자가 늘어난다고 치타가 줄지도 않는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며 “좋은 먹이터라면 ‘공포의 무대’로부터 떠나기보다 그대로 눌러앉아 포식자를 회피하는 전략이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라고 논문에서 밝혔다.
» 하이에나가 누를 사냥해 물고가고 있다. 누는 사자와 하이에나 모두의 주 먹이이다. Marcel Oosterwijk, 위키미디어 코먼스
사자는 하이에나의 먹이를 단골로 가로챈다. 하이에나가 먹이를 먹을 때 내는 소리를 녹음기로 들려주면 사자가 재빨리 그곳으로 접근하는 사실이 실험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먹이뿐 아니라 곳에 따라 하이에나 사망의 71%가 사자에 의한 것이라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수가 우세할 때 하이에나는 사자를 쫓아내거나 먹이를 빼앗기도 한다.
» 수효가 우세한 하이에나가 사자를 공격하는 모습. 대부분의 경우는 이와 반대로 사자가 하이에나의 먹이를 뺏고 물어 죽이기도 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사자와 하이에나는 서로를 따라다니는 행동을 보였다. 사자가 있는 곳에는 하이에나가 있고 그 반대도 흔했다. 연구자들은 서로를 이끄는 것이 둘 다 청소동물이기 때문인지 아니면 모두 누를 주요 먹이동물로 삼기 때문인지는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물론 포식자 사이의 이런 관계는 지역과 종에 따라 다 다르다. 아프리카야생개는 치타나 하이에나와 달리 사자 서식지를 멀찍이 회피하는 행동을 보인다. 연구자들은 또 “사자와 달리 매복하는 포식자에 대해서는 하위 포식자가 더 심한 회피 행동을 보인다”라고 논문에서 덧붙였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Alexandra Swanson et al, In the absence of a “landscape of fear”: How lions, hyenas, and cheetahs coexist, Ecology and Evolution,
2016;1-12, DOI: 10.1002/ece3.2569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공포의 무대' 떠나기보다 주력 믿고 그때그때 상황 따라 대응 전략
» 나무 밑에서 쉬며 주위를 경계하는 치타 가족. 중간 포식자로 살아가기는 생각보다 녹록치 않다. James Temple, 위키미디어 코먼스
세렝게티 평원에는 날마다 맹수와 초식동물 사이에 쫓고 쫓기는 생존경쟁이 벌어진다. 추격전이 포식자와 피식자 사이에서만 일어나는 건 아니다. 최상위 포식자와 하위 포식자 사이도 살벌하긴 마찬가지다.
자연 다큐멘터리에서 중형 포식자인 치타가 기껏 잡아놓은 먹이를 사자나 하이에나에게 속절없이 빼앗기는 모습을 종종 보여준다. 먹이를 지키다가 자칫 큰 상처를 입느니 새로 사냥을 하는 편이 낫겠다고 여기는 것 같다.
» 치타는 빠르게 달리기 위해 날렵한 몸매로 진화했지만 그 바람에 덩치가 작아져 다른 포식자에게 종종 먹이를 빼앗긴다. 가젤을 사냥한 치타. Nick Farnhill, 위키미디어 코먼스
실제로 치타가 먹이의 25%를 빼앗기더라도 1.1시간만 더 사냥하면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관련 기사: 한국인처럼 살려면 지구가 2.5개 필요하다). 치타가 잡은 먹이의 10~15%를 다른 포식자가 가로채며, 때로는 먹이의 절반을 다른 동물이 가져가기도 한다.
먹이를 빼앗기는 데 그치지 않고 종종 치타는 다른 포식자에게 목숨을 잃는다. 특히 어린 치타의 사망원인 가운데 사자에 잡혀 죽는 비율은 매우 높아 78%에 이르렀다는 연구도 있다. 대형 포유류 가운데 이처럼 새끼 사망률이 높은 종은 없다.
» 먹이를 향해 돌진하는 암사자. 다른 포식자의 먹이 가로채기는 사냥 못지않게 사자에게 중요한 일이다. Schuyler Shepherd, 위키미디어 코먼스
이런 이유로 치타는 사자나 하이에나의 근거지를 피해 먹이 밀도가 낮은 주변부에 주로 서식하는 ‘피난처 동물’로 간주해 왔다. 이런 통념을 깨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양질의 먹이터를 최강자가 차지하면 다른 포식자는 주변의 질이 떨어지는 사냥터로 밀려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은 서로 간의 회피 행동을 통해 양질의 사냥터를 공존한다는 새로운 가설이 나왔다.
알렉산더 스완슨 미국 미네소타대 생물학자 등 연구자들은 탄자니아 세렝게티 국립공원에 225대의 무인카메라를 설치하고 사자, 하이에나, 치타가 어떻게 사냥하고 상대의 존재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실증적으로 조사했다.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생태학과 진화> 최근호에 실렸다.
» 치타는 사자에게 쉽게 먹이를 빼앗기는 약한 포식자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좋은 사냥터에서 결코 물러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Erik Damen, 위키미디어 코먼스
흥미롭게도 이들 차상위 포식자들은 목숨이 위태롭더라도 훌륭한 먹이터를 쉽사리 포기하지 않았다. 먹이가 풍부해 사자가 많은 곳에는 치타와 하이에나도 많았다. 사자가 득실거리는 본거지를 뺀 모든 곳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
무인카메라를 분석한 결과 치타는 사자가 있는 것을 목격한 곳에는 12시간 동안 얼씬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36~48시간만 지나면 그곳에서 정상적인 사냥활동을 했다.
» 세렝게티 평원의 나무에 올라 휴식을 취하는 사자 무리. 이 나무는 치타가 좋아하는 곳이기도 한데, 사자가 보이지 않으면 치타 차지가 된다. Prof.Chen Hualin, 위키미디어 코먼스
치타나 사자 모두 평원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나무 밑에서 쉬기를 좋아한다. 치타는 사자가 없을 때는 사자가 자주 오는 곳이라고 피하지 않았다. 사자와 맞닥뜨리더라도 빠른 주력으로 도망칠 수 있으니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전략이다.
연구자들은 “최근 사자로 인한 치타의 사망률이 알려진 것보다 낮으며 사자가 늘어난다고 치타가 줄지도 않는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며 “좋은 먹이터라면 ‘공포의 무대’로부터 떠나기보다 그대로 눌러앉아 포식자를 회피하는 전략이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라고 논문에서 밝혔다.
» 하이에나가 누를 사냥해 물고가고 있다. 누는 사자와 하이에나 모두의 주 먹이이다. Marcel Oosterwijk, 위키미디어 코먼스
사자는 하이에나의 먹이를 단골로 가로챈다. 하이에나가 먹이를 먹을 때 내는 소리를 녹음기로 들려주면 사자가 재빨리 그곳으로 접근하는 사실이 실험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먹이뿐 아니라 곳에 따라 하이에나 사망의 71%가 사자에 의한 것이라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수가 우세할 때 하이에나는 사자를 쫓아내거나 먹이를 빼앗기도 한다.
» 수효가 우세한 하이에나가 사자를 공격하는 모습. 대부분의 경우는 이와 반대로 사자가 하이에나의 먹이를 뺏고 물어 죽이기도 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사자와 하이에나는 서로를 따라다니는 행동을 보였다. 사자가 있는 곳에는 하이에나가 있고 그 반대도 흔했다. 연구자들은 서로를 이끄는 것이 둘 다 청소동물이기 때문인지 아니면 모두 누를 주요 먹이동물로 삼기 때문인지는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물론 포식자 사이의 이런 관계는 지역과 종에 따라 다 다르다. 아프리카야생개는 치타나 하이에나와 달리 사자 서식지를 멀찍이 회피하는 행동을 보인다. 연구자들은 또 “사자와 달리 매복하는 포식자에 대해서는 하위 포식자가 더 심한 회피 행동을 보인다”라고 논문에서 덧붙였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Alexandra Swanson et al, In the absence of a “landscape of fear”: How lions, hyenas, and cheetahs coexist, Ecology and Evolution,
2016;1-12, DOI: 10.1002/ece3.2569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