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20년 12월 10일 목요일

증시·부동산 ‘펄펄’ 실물경제 ‘싸늘’…빈부 양극화 키울라

 등록 :2020-12-11 05:00수정 :2020-12-11 10:29



[뉴스AS] 자산시장·실물경제 괴리 심화 왜?

저금리정책·자산유동성 ‘연료’
주식·부동산 연일 최고치 경신
통화량·대출도 천정부지 치솟아

실물경제, 여전히 코로나로 침체
3분기 민간소비 0%…투자도 금감
쏠림 계속 땐 ‘자산 양극화’ 우려
정부 “코로나 이후 정상화 대비를”
9일 서울 명동 하나은행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9일 서울 명동 하나은행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이 뜨겁다. 주식시장은 코로나19 감염사태 속에서도 연일 최고치 행진이다. 반면 실물경제는 부진의 늪속에 빠져 있다. 경기부진이 심화돼 일자리는 줄어들고 실업급여는 급증세다. 국가방역 강화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은 생존을 위협받는 처지다.


 이른바 실물경제와 자산시장의 괴리 현상이다. 코로나19로 위기에 처한 실물경제를 구하기 위해 정부가 푼 대규모 유동성과 금융완화 정책이 자산시장 랠리의 핵심 동력원이다. 감염병 위기엔 방역을 위한 봉쇄와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인 탓에 ‘돈을 풀어도 돈을 쓸 수 없어’ 당장 실물경제 회복으로 이어지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만큼 풀린 돈이 자산시장으로 몰려가기 좋은 환경인 셈이다. 문제는 실물이 뒷받침되지 않은 채 이런 식의 자금쏠림이 계속되면 자산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실물경제 회복 국면에서 급격한 자산가격 조정으로 인한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 지난 3월 코로나19 충격으로 1400대까지 급락했던 코스피지수는 이후 급반등해 지난달 24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이달 들어서도 7거래일 가운데 6거래일이나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면서 2700선에 안착했다. 부동산 시장도 과열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종합주택 매매가격지수는 지난해 8월 100.1을 기록한 이후 11월 105.3까지 15개월째 기록을 갈아치웠다.자산시장과 별개로 실물경제는 코로나19의 제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은 전분기 대비 2.1% 성장했으나, 내수 지표인 민간소비는 0%로 제자리였고, 총투자율은 1.8%포인트 떨어졌다. 수출이 사실상 나홀로 성장률을 떠받친 것이다.
자산시장 가격이 치솟는 근본 원인은 금리 인하 등 완화적 통화정책과 정부의 확장재정 정책이다. 이는 통화량과 대출 급증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금과 예금, 현금화가 수월한 금융상품까지 합친 ‘광의통화량(M2)’은 지난 9월 기준 3115조원에 이른다. 코로나19 전인 지난해 12월(2914조원)보다 200조원 넘게 늘어난 것이다. 시중에 풀린 풍부한 돈이 부동산으로 몰려 집값 폭등을 낳았다. 자산가격 상승의 ‘연료’가 된 것이다. 개인들은 대출이자 부담이 적어지니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을 일으키며 주식시장을 끌어올렸다. ​금융투자협회 자료를 보면, 지난 7일 기준 신용융자 잔고는 18조5734억2600만원으로, 1998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신용융자는 개인투자자가 주식매매를 위해 증권사에 자금을 빌리는 것을 말한다. 가계대출도 꾸준히 늘어 3분기 가계신용(대출과 신용카드 사용액 등 포괄적 빚) 잔액은 1682조1천억원으로,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의 87.7%에 이른다.
문제는 경제가 코로나19 위기에서 벗어나 회복국면에 들어가면 자산시장 랠리를 이끌어 온 싼 금리와 풍부한 유동성이라는 ‘연료’가 소진될 수 있다는 점이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경제학)는 “내년에 성장률이 플러스로 전환되고 경기가 개선되면 (유동성 회수를 위해)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데 생계형 대출을 받은 이들부터 타격이 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도 자산시장 투자 열풍 현상에 우려를 표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6일 “세계 실물경제의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되는 상황에서 실물과 금융간 괴리가 자산가치의 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부동산시장 참가자들은 의사결정시 정부 대책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나타난 완화적 거시경제 기조가 코로나19 위기 이후 정상화될 가능성까지 감안해 냉철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했다.​자산시장 쏠림 현상이 지속될 경우 자산 양극화가 한층 강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우석진 명지대 교수(경제학)는 “부동산·주식 가격은 오르는 반면 소비재는 물가가 떨어지는 디플레이션 상황이므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자산 쪽에 투자하는 경향이 생긴다”며 “문제는 주로 돈 있는 사람들이 자산시장에 뛰어들고, 투자의 과실도 이들에게 돌아간다는 것인데, 현재 전반적인 정부 정책도 자산시장 가격을 꺼트리지 않으려는 방향이어서 자산 양극화는 고착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73770.html?_fr=mt1#csidxfc64555f91a59b9b9754c9dfd433e1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