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17년 7월 29일 토요일

타임紙 ‘美, 조건 없이 지금 당장 북한과 대화에 나서야’

그레그 전 주한미국 대사 ‘중국에 대해 기대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
뉴스프로 | 2017-07-28 13:15:10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보내기    


타임紙 ‘美, 조건 없이 지금 당장 북한과 대화에 나서야’
-그레그 전 주한미국 대사 ‘중국에 대해 기대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
-어떤 전쟁도 동맹국과 미국에 재앙이 될 것
한반도를 둘러싼 북미 간의 갈등이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고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타임지가 24일 ‘The Time for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Is Now-북한과 협상해야 할 시기는 바로 지금’이라는 제목의 월 스트리트 한국 지부장과 타임지 편집장을 역임했던 펄스타인의 칼럼을 통해 미국은 북한과 조건 없이 협상에 나서야 된다고 강력하게 주문하고 나섰다.
펄스타인이 전 CIA 한국 지부장이자 조지 부시 대통령의 안보보좌관을 지냈던 도널드 그레그 전 코리안 소사이어티 회장과의 인터뷰 형식을 빌어 기사화 한 이 기사는 특히 ‘북한과의 회담이 부적절한 행동에 대해 상을 주는 셈’이라는 미국 정부에 만연한 의견에 대해 거부하며 위험한 상황이 악화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회담은 꼭 필요하다는 그레그의 주장을 전했다.
북한을 6번이나 방문했던 그레그는 “북한 사람들은 자살하려 하지 않는다. 그들은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며 ‘북한의 언사와 선전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지도자들이 “신중하며 제대로 교육받은 실용주의자들”’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레그는 ‘현 북한 지도자 김정은이 “똑똑하고, 강인하며 위험을 감수하는 인물”로서, 핵무기가 미국의 공격으로부터 북한을 보호해줄 것으로 믿는다’며 북한은 핵무기와 미사일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며 개인적으로는 북한보다는 파키스탄의 핵무기, 그리고 중동을 집어삼킨 전쟁에 대해 더 우려한다고 말했다.
특히 중국에 대해서도 ”중국은 우리 심부름을 해주지는 않을 것이다”라며 ‘중국이 북한의 군국주의적 야심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미국의 순진한 생각’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타임지는 그레그씨가 휴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기 위해 협상을 할 것을 촉구해왔다며 대화가 전제조건 없이 시작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돈 그레그의 생각은 옳으며 ‘지금이 그렇게 해야 할 적기’라고 지금 당장 미국 정부가 협상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타임지의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ti.me/2v265Ed
NORTH KOREA
The Time for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Is Now
북한과 협상해야 할 시기는 바로 지금
Norman Pearlstine
10:50 PM ET
North Korea is “The longest running failure in the history of American espionage.”
북한은 “미국 첩보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실패한 국가”이다.
That’s the assessment of Donald P. Gregg, arguably, the man who knows more about North Korea than any living American.
이는 아마 미국인들 중 북한을 가장 잘 안다고 할 수 있는 미국인 도널드 P. 그레그의 평가이다.
Gregg, 89, is a retired State Department and CIA veteran, a North Asia specia list, and a recipien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Distinguished Service Medal. He says the absence of direct dialogue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has to change. “We can’t deal with them if we don’t understand them, and we won’t understand them if we aren’t talking to each other,” he says.
89세인 그레그 씨는 은퇴한 국무부 및 CIA 요원이자 북아시아 전문가이며 미국 국가정보국의 훈장을 받았다. 그레그 씨는 미국과 북한 간 직접적인 대화가 없는 현 상황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한다. “북한을 이해하지 못하면 북한을 상대할 수 없고, 북한과 대화하지 않고선 그들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그는 말한다.
Although Gregg’s thinking may be out of sync with much of what’s coming out of the Trump White House and the Congress — both are pushing for more sanctions in response to North Korea’s recent ICBM launch and its continued efforts to expand its nuclear arsenal — he has found an ally in South Korea’s new President, Moon Jae-in, who called for new talks with North Korea last week.
그레그 씨의 견해가 트럼프 대통령 정부와 의회(정부와 의회 모두 북한이 최근 ICBM을 발사하고 지속적으로 핵무기를 확대하려고 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재 강화를 강력 추진하고 있다)에서 일어나는 상황과는 크게 차이가 있을지 모르지만, 지난 주 북한 측에 남북 회담 재개를 요청한 남한의 문재인 대통령은 이와 비슷한 견해를 지니고 있다.
The two sides haven’t spoken since 2015 and the U.S. has shown little interest in negotiating with North Korea since President George W. Bush branded North Korea, along with Iraq and Iran, the “Axis of Evil” in his 2002 State of the Union speech.
2015년 이후로 남북한은 회담을 하지 않았고 조지 W 부시 미국 전 대통령이 2002년 국정연설에서 북한을 이라크, 이란과 함께 “악의 축”이라고 낙인찍은 이후로 미국은 북한과의 협상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Gregg, who has been to North Korea six times, rejects the prevailing view in Washington that meeting with North Korea rewards bad behavior. Instead, he says talks are necessary to “keep a dangerous situation from becoming worse.” He also opposes sanctions, saying they haven’t worked and they only serve to make North Korea more intransigent.
북한에 여섯 차례 방문했던 그레그 씨는 북한과의 회담이 부적절한 행동에 대해 상을 주는 셈이라는 미국 정부에 만연한 의견을 거부한다. 대신, 그레그 씨는 북한과의 회담은 “위험한 상황이 악화되지 못 하도록”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그는 북한에 대한 제재에도 반대하며, 북한에 대한 제재는 효과를 보기는 커녕 오히려 북한을 더욱 완고하게 만들었다고 말한다.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is Able to Launch a `Limited Missile Attack,` Warns Top U.S. General
북한이 ‘제한적 미사일 공격’을 할 수 있다고 미 고위급 장성이 경고
In an interview at his Armonk, New York, home, Gregg is quick to acknowledge that dealing with North Korea can be difficult and frustrating. He dismisses the country’s bombastic threats to annihilate the U.S., South Korea and other perceived adversaries. “The North Koreans aren’t suicidal. They don’t want a war,” he says. Despite the rhetoric and the propaganda, he says the that North Korea’s leaders are “thoughtful, well-educated pragmatists.”
뉴욕 아르몽크에 위치한 자택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그레그 씨는 북한을 상대하는 것이 어렵고 답답할 수 있다고 즉각 시인했다. 그는 미국과 한국, 그리고 적으로 여겨지는 다른 국가들을 전멸시키겠다는 북한의 위협은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북한 사람들은 자살하려 하지 않는다. 그들은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고 그는 말한다. 그는 북한의 언사와 선전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지도자들이 “신중하며 제대로 교육받은 실용주의자들”이라고 말한다.
I first met Don Gregg 43 years ago in Seoul, where he was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station chief while I was the North Asia bureau chief of the Wall Street Journal. The American Embassy was full of savvy Korea hands, including career diplomats Ambassador Phil Habib and political counselor Paul Cleveland. North Korea was a source of tension and so too was South Korea under its authoritarian leader, Park Chung Hee. Gregg, who had come to Korea after nearly a decade with CIA in Japan, was a lousy source, remote and taciturn. But when he spoke, it was clear he had an encyclopedic knowledge of North Asian geopolitics.
나는 그레그 씨를 서울에서 43년 전 처음 만났다. 그는 당시 미국 중앙정보부 지부의 장이었고 나는 월스트리트저널의 동북아지부장이었다. 미국 대사관에는 한국을 잘 아는 사람들이 아주 많았고 직업 외교관인 필 하빕 대사와 정치적 조언자 폴 클리블랜드도 그들 중 하나였다. 북한은 긴장의 근원이었고 독재자 박정희 정권하의 한국도 마찬가지였다. 일본의 미국 중앙정보부에서 거의 10년을 보낸 후 한국에 온 그레그 씨는 서툰 정보통으로서, 냉정하고 과묵했다. 그러나 그가 말을 하면, 그가 동아시아의 지정학에 대해 백과사전 급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Gregg returned to Washington in 1975 where he continued to work for the CIA, until, after 31 years with the agency, he resigned in 1982 to become Vice President George H.W. Bush’s National Security Advisor. When Bush became President, he named Gregg Ambassador to South Korea, a position he held for four years.
그레그 씨는 1975년 워싱턴으로 돌아가서 CIA에서 근무했으며, 총 31년 동안 CIA에서 일한 후 1982년 퇴임하여 H.W. 부시 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이 되었다. 부시가 대통령이 됐을 때, 그는 그레그 씨를 한국 대사로 임명했고 그는 4년간 봉직했다.
Gregg then became Chairman of the Korea Society, a New York-based nonprofit known for its thoughtful essays about the Korean Peninsula, until 2009. During his years as the Society’s head, he went to North Korea five times. He last visited North Korea in 2014 and he remains in touch with North Korean diplomats at the United Nations and elsewhere.
그후 그레그 씨는 뉴욕에 있는 비영리 기관으로서, 한반도에 관한 통찰력 있는 보고서들로 잘 알려진 코리아소사이어티의 회장을 2009년까지 맡았다. 코리아소사이어티의 수장으로 지내는 동안, 그는 북한을 5번 방문했다. 그의 마지막 북한 방문은 2014년이었고 그는 여전히 UN 및 다른 곳에서 북한 외교관들과 연락을 유지한다.
Gregg supports Moon’s overture to North Korea, saying it is reminiscent of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 Kim Dae Jung’s “Sunshine Policy” which led to a softening of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Kim, who was South Korea’s President from 1998 through 2003 and who had close ties to Gregg, advocated greater contact with North Korea, coupled with substantial economic investment. He went to Pyongyang, North Korea’s capital, in 2000 for a summit meeting with Kim Jong Il, then North Korea’s leader (and the father of Kim Jong Un, the country’s current leader.) The Sunshine policy remained in effect until 2008 when one of his successors took a harder line against North Korea.
그레그 씨는 문 대통령의 북한에 대한 제안을 지지하며, 이것이 남북한 간의 관계 완화를 가져온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과 맥락이 닿아 있다고 말한다. 1998년부터 2003년까지 한국의 대통령이었으며 그레그 씨와 친분이 깊었던 김 전 대통령은 충분한 경제적 투자를 포함 북한과의 더 많은 접촉을 원했다. 그는 2000년 당시 북한의 지도자였고 현 지도자인 김정은의 아버지, 김정일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북한 수도인 평양에 갔다. 햇볕정책은 이후 후임 대통령 중 하나가 대북 강경 노선을 취하기 시작한 2008년까지 유효했다.
Gregg says that Kim Jong Un, North Korea’s current leader, is “smart, tough, and a risk taker” who sees his nuclear arsenal as protection against a U.S. attack. Although he doesn’t see North Korea abandoning its nuclear weapons and its missiles, Gregg says that nuclear proliferation is a bigger problem than just North Korea, and that he is personally more worried about Pakistan’s nuclear weapons and war engulfing the Middle East than he is about North Korea.
그레그 씨는 현 북한 지도자 김정은이 “똑똑하고, 강인하며 위험을 감수하는 인물”로서, 핵무기가 미국의 공격으로부터 북한을 보호해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한다. 비록 북한이 핵무기와 미사일을 포기할 것이라고는 보지는 않지만 그는 핵 확산이 단지 북한에 국한된 것이 아닌 더 큰 문제이며, 개인적으로 북한보다는 파키스탄의 핵무기, 그리고 중동을 집어삼킨 전쟁에 대해 더 우려한다고 말한다.
Gregg also says the U.S. is naïve in thinking China will try to curb North Korea’s militaristic ambitions. “China’s bigger concern is a reunited Korea,” he says, and it has been consistent in opposing the continued presence of U.S. troops nearby in South Korea. “The Chinese aren’t going to carry water for us,” he says.
그레그 전 대사는 중국이 북한의 군국주의적 야심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미국의 순진한 생각이라고 말한다. 그는 “중국의 보다 큰 관심은 통일된 한국”이라고 말한다. 중국은 한국 근해에 주둔한 미 군대에 지속적으로 반대해왔다. 그는 ”중국은 우리 심부름을 해주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말한다.
After each of his trips, Gregg says that he wrote or met with White House and State Department officials, urging talks. He says his efforts have been consistently rejected or ignored.
매번 방문 후에 그레그 전 대사는 백악관과 국무부 관료들에게 대화를 촉구하며 편지를 쓰거나 그들을 만났다. 그는 자신의 노력은 항상 거부되고 무시되었다고 말한다.
He has also urged negotiation of a peace treaty to replace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that ended the Korean War. That agreement was signed by the U.S., China, and North Korea in 1953.
또한 그는 한국전쟁을 종식한 휴전협정을 대체하기 위해 평화협정을 협상할 것을 촉구해왔다. 휴전협정은 1953년 미국, 중국, 북한이 서명했다.
Gregg laments that “it is very hard to find anyone in Washington with experience, knowledge, and an open mind when it comes to dealing with North Korea. Everyone knows malnutrition is a problem, but people are shocked when I tell them Pyongyang is an attractive, functioning city,” he says.
그레그 전 대사는 “북한을 상대하는 일에 있어 경험과 지식 그리고 열린 마음을 지닌 인물을 찾기 힘들다”고 한탄하며, “영양실조가 문제임은 모두가 알면서도, 평양이 매력적이고 잘 작동하는 도시라고 내가 말하면 사람들이 충격을 받는다”고 말한다.
There is no guarantee that talks will make a difference. As B.R. Myers has written in a thoughtful book, The Cleanest Race: How North Koreans See Themselves — And Why It Matters, the north’s leaders use “race-based nationalism” to control their people. Myers writes that Pyongyang would appear weak to its own people if it renounced its nuclear ambitions. Myers also writes that South Korea’s Sunshine Policy “failed to generate even a modicum of good will from the North.”
대화가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B. R. 마이어가 신중한 자신의 저서 “가장 깨끗한 민족: 북한 사람들은 자신을 어떻게 보고 있나- 그리고 그것이 왜 중요한가”에서도 썼듯이 북한의 지도자들은 국민을 통제하기 하기 위해 “민족기반 국가주의”를 이용한다. 마이어는 만일 북한이 핵 야심을 포기한다면 북한 정부는 자국 국민들에게 약하게 보일 것이라고 적고 있다. 또한 마이어는 한국의 햇볕정책이 “북한으로부터 일말의 선의조차도 발생시키지 못했다”고 적고 있다.
Those arguments notwithstanding, it is hard to argue against increasing our diplomatic efforts with North Korea. While U.S. Defense Secretary James Mattis may be right in saying we would win a war with North Korea, he is also right in saying that any war would be “catastrophic” — to our allies and most probably to ourselves.
그러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북한과의 외교적 노력을 더해야 하는 것에 반대하기는 어렵다. 제임스 마티스 미 국방장관이 북한과의 전쟁에서 우리가 승리할 것이라는 말이 맞을 수도 있지만, 또한 어떤 전쟁도 동맹국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 미국에게 “재앙적”일 것이라고 말한 것도 맞는 말이다.
President Trump has made contradictory statements about North Korea. Along with his increasingly belligerent threats, Trump, while campaigning for the Presidency and in an interview with Bloomberg News in May, said that he would be willing to meet with North Korea’s Kim Jong Un, “under the right circumstances.” Those circumstances weren’t defined.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대해 모순적인 발언을 해왔다. 점점 호전적인 위협의 말을 던지는 와중에, 지난 대선 캠페인 기간 그리고 5월 블룸버그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상황이 적절하다면” 북한 김정은과 기꺼이 만나겠다고 말했다. 그런 상황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Don Gregg is right in thinking talks should begin without preconditions. Now is the time to do so.
대화가 전제조건 없이 시작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돈 그레그의 생각은 옳다. 지금이 그렇게 해야 할 적기이다.


본글주소: http://poweroftruth.net/column/mainView.php?kcat=2029&table=c_sangchu&uid=88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