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15년 10월 10일 토요일

구박 견뎌내고 성군 된 독일판 사도세자


양태자 2015. 10. 10
조회수 125 추천수 0


사도세자처럼 고문당한 유럽의 한 왕자


요즘 사도세자의 얘기가 넘친다. 이런 유사한 얘기의 잔재는 지금 독일과 폴란드의 국경지대의 한 성(城)에 남아있다. 물론 이 얘기에 얽혔던 독일 왕자는 우리의 사도세자처럼 죽임을 당하지 않았다는 점은 좀 다르지만 말이다. 어쨌든 이 성은 1730년 바로 왕자와 왕자의 친구로 인해 빚어진 슬픈 이야기를 말없이 품고 있다.

어쩌다 그리 되었을까? 먼저 왕자의 아버지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1688-1740)를 보자. 그에겐 장차 왕관을 이어 받을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 바로 프리드리히(1712-1786)였고 애칭은 프리츠 였다. 빌헬름1세는 군인 출신이었다 보니 그런지 성격이 좀 과격했다. 거기다 이 왕의 아들 교육 방법이 좀 기이했다.

이 왕은 아들 프리츠를 자나 깨나 꾸짖었을 뿐만 아니라, 이런 놈 저런 놈 하면서 자주 구박까지 했다. 어떤 땐 게으름뱅이 건달이라면서 심하게 뺨을 때렸는가 하면, 두들겨 패는 것도 예사일 이었다. 어느 날 이 왕은 아들을 때리면서 그의 신발에 입맞춤 하라는 명령까지 내릴 정도였다. 아버지가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었는지? 아니면 정말 아들이 건들건들 했기에 그랬었는지? 좌우지간 이 부자간의 갈등은 늘 깊어가고 꼬여 가기만 했다.

왕 서열 1위인 프리츠가 드디어 18살의 성인이 되던 해다. 그는 유사시에는 아버지의 왕관을 물려 받아야 하는 신분이 되었다. 하지만 그는 다른 생각을 품었는데 왕관이고 뭐고 다 팽개치고 어찌해서든지 이 궁정에서 도망갈 궁리만을 했다. 이유는 충분하다. 아버지와의 끝없는 갈등에다가, 계속 구박만 해대는 아버지가 지긋지긋 했던 거다. 그가 탈출해서 가고자 했던 곳은 바로 런던이었다. 외삼촌인 왕 게오르그 2세에게로 도망쳐가면 아마도 보호를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계산에서다.

p11.jpg



그는 이 도망계획에 친구들을 끌어 들였다. 한 사람은 카이트, 다른 한 사람은 카테였다. 평소에도 아주 친한 친구들로서 소위 말하는 누구와도 맞바꿀 수 없는 절친이었다. 평소에도 프리츠는 이 친구 둘과 방을 세워 가면서 시, 예술, 철학, 수학, 신(神)에 관한 온갖 대화를 나눌 정도로 친숙했을 뿐만 아니라 피리연주도 함께 했을 정도다.

1730년 초여름이었다. 아버지의 수행원들과 함께 그는 독일의 헤센주를 여행할 기회가 주어졌다. 그는 이 때를 그가 도망 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삼았다. 물론 여기엔 위에 언급한 친구 둘이 함께했고 말 두 마리까지 끌고 왔다. 근데 세상에! 누구의 고자질이었는지, 그만 이 음모(?)가 사전에 들통나 버렸다. 이렇게 되면 뻔하다. 도망은커녕 그 반대로 이제는 갇히는 신세가 되어버렸다. 그가 갇힌 곳에는 2명의 장교들이 밤낮으로 턱 버티며 지켰다.

평소에 성격이 과격하고 아들을 늘 구박 했던 이 아버지는 아들의 도망음모와 계획을 심문하는데 아랫사람에게 맡기지도 않았다. 그가 직접 나서서 이들에게 아주 엄한 심문의 잣대를 들이 대었다.
겁에 질린 프리츠도 처음에는 부정하면서 그런 도망을 계획한 적이 없었다고 발뺌도 해 보았다. 하지만 아버지가 너무나도 난폭하게 자기를 심문해대자 견디지 못한 그는 사실대로 입을 불어야만 했다. 기록에 의하면 왕은 왕자를 마치 노예 다루듯이 ‘야비’ 하게 아들을 다루었다고 한다. 왕은 이런 저런 심문을 하다가 격노가 치오르면 왕은 칼을 빼내 아들 목에다 까지 딱 갔다 대기까지 했었다는 데, 마침 지혜로웠던 한 장군이 두 사람 사이에 엎어졌기에 피비린내 날 사건을 일단 모면할 수도 있었다고 한다.

p22.jpg



왕은 아들을 쇠사슬로 묶게 했고, 프리츠와 동행하려고 했던 두 친구를 감옥에 쳐 넣으라고 엄명을 내렸다. 하지만 다른 친구 카이트는 교묘하게도 홀란드로 도망을 가 버렸다.

그 사이 왕정 城에서는 드라마틱한 일이 벌어지고 있었다. 왕이 어떤 결정을 내렸을까 하고 가족들은 노심초사 중이었다. 벌벌 떨면서 결과를 기다리고 있던 이 때, 왕이 나타나 가족들에게 프리츠를 목을 쳐 죽이게 했었다고 보고했다. 여왕은 숨이 넘어갈 정도로 고래고래 소리 질렀고, 프리드리히 여동생도 울며 불며 어쩔 줄 몰라 방방 뛰었다. 하지만 조금 후에 프리츠가 아직 살아 있다는 걸 알게 되었던 가족들은 한 순간의 숨을 돌렸다.

모든 가족들이 왕 앞에 무릎을 꿇고선 프리츠를 죽이지 말고 살려 달라고, 한번 용서를 해주자고 손이야 발이야 빌었지만 왕인 아버지의 마음이 끄덕 도 하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된 공주 빌헬미네는 졸도 하기에 이르렀다.

p33.jpg



다음날 왕은 육군 재판관을 소환하고선 소리 높여 엄명했다. 아들 프리츠와 친구 카테를 당장 사형에 처하라고! 죄목은 배신죄와 탈영죄였다. 다행히도 이번에도 이 일을 맡았던 한 법정관이 아주 지혜롭게 처신했는데, 그는 프리츠 같은 경우는 그런 죄의 해당 사항이 없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법정관은 다른 견해를 제시했다. 죽음을 면치 못할 이는 오히려 이미 도망간 카이트이고, 카테는 감옥에 평생 감금 해야 한다는 거다. 이 법정관은 왕위 서열 1위인 프리츠를 어쨌든 살려 두고자 갖은 노력을 했던 것 같다.

다행히도 왕은 이 법정관의 의견의 일부분을 수긍 하였지만 카테의 판결만은 뒤집어 버렸다. 왕의 주장은 좀 무서웠는데, 프란츠가 보는 앞에서 카테의 목을 쳐서 죽이라는 거다. 이렇게 까지 나오는 데는 왕이 의도적으로 카테를 그렇게 죽이라고 했던 설도 있다. 왜냐면 프리츠 보다 8살 많았던 카테가 그의 아들 프리츠와 자꾸 동성애 관계로 유혹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카테는 이제 사형판결을 수용해야만 했었다. 그가 흐느끼면서 남긴 말은 ‘예수님 친구를 위해서 내 생명을 가져 가세요’ 였다고 한다. 1730년 11월 6일 곧 사형 당하기 바로 전에 두 명의 군인이 케테를 마지막으로 데리고 간 곳이 있었는데 바로 왕의 아들 프리츠가 갇혔던 감옥 앞 이었다. 쇠창살로 가려진 창문 밖으로 친구를 내려다 보던 프리츠도 기겁을 했다. 자기가 도망갈 곳에 친구로서 동조했다는 죄목으로 이제 한방에 친구의 생명을 날리게 되었으니 프리츠가 이 친구를 향해 할 수 있었던 것은 오직 감옥 안에서 손으로 그에게 평화의 키스를 보내는 것 밖에는 없었다.

그가 친구에게 남긴 말은 ‘나의 사랑하는 친구 카테여! 나를 천 번 만 번 용서를 해다오!’였다고 한다. 이때 카테는 프리츠의 마지막 신호를 잘 알아 들었노라고 고개를 끄덕이면서, 나직한 목소리로 그에게 대답을 보냈다; ‘나를 용서 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렇게 인간적이고 모범적인 왕족 친구 프리츠를 위해서 죽은 것은 영광입니다’ 라고! 이 말은 프리츠를 위해서 기꺼이 죽을 수 있다는 충성심에서 나온 말이 아니었을까?

p44.jpg



프리츠가 보는 앞에서 친구의 목이 베어졌는데 그 순간 프리츠도 기절해 버렸다. 짐작컨데 이 친구의 사형을 보고 기겁을 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음엔 자기가 처형된다는 생각에 또한 겁을 먹었다는 해석이 남아있다.

프리츠는 어쨌든 이 법정관 덕택으로 사형은 모면했다. 생명은 건졌지만, 이 일로 프리드리히 왕은 아들을 2년 후에서야 용서했다고 한다. 참 긴 세월이었다. 그 2년 간 아들과 자식이 궁정에서 마주쳤을 때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들 이었을까? 식사는 함께 했었을까? 아마도 그 사이에서 왕비가 많은 애를 먹었을 것 같다.

왕인 아버지도 때가 되니 결국은 죽었다. 1740년 28세의 프리츠가 프리드리히 2세로 등극했다. 청소년 시절 아버지에게 많은 구박을 받았던 프리츠는 아버지의 대를 이어 아주 평화롭게 왕정과 민심을 이끌어 나갔다고 한다. 아버지로 받았던 부정적인 에너지를 다시 남에게 투사하지 않는 성군이었다.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투사(Projizieren)를 프리츠에 한번 대입해 보았다. 대개의 인간은 자기가 겪었던 부정적인 에너지들을 마음 깊은 곳에 모아 두었다가 후에 나 보다 못한 대상이 나타나면 밖으로 투사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예를 예수회소속의 독일 신부 에거가 들었는데, 그가 독일인이다보니 독일인들을 예로 들었다. 독일인들 사이에서도 정신적으로 알게 모르게 구박 받았던 사람들은 그런 부정적인 에너지를 무의식 속에 갈무리 했다가 자기보다 못한 대상이 나타나면 투사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외국인들이 그 투사의 대상에 잘 걸린다고 한다. 즉 자국인들 사이에서 받았던 나쁜 경험들을 자기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외국인을 만나면 무시하고 멸시해 버린다는 거다.

에거는 인간이 내면에 쌓인 부정적인 에너지를 다시 바같으로 투사를 막기 위해선 늘 내면의 균형감각을 스스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균형감각을 잡기에 가장 좋은 방편은 불교의 명상, 기독교의 관상이라고 언급했다.

하기야 프리츠는 왕손이었다보니 이런 투사를 생각할 필요 조차 없을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필자가 보기엔 아버지로부터 받았던 이런 저런 구박에너지를 조화롭게 잘 전환시켰던 것 같다. 그는 후에 대 프리드리히 왕이라는 칭호까지 받았으니 말이다.

우리나라의 영조와 사도세자가 생각난다. 그 두 부자도 삭히지 못했던 에너지 싸움을 하다가 결국은 아버지가 아들을 죽음으로 몰고 가지 않았던가? 프리드리히 왕도 아들을 뒤주에 가두지는 않았지만 감옥으로 보내지 않았던가? 그 전에 아들의 목에 칼까지 갖다 대었다. 만약에 당시에 지혜로운 한 장군이 이들 사이에 엎어지지 않았었더라면? 만약 그가 두 번째 아버지의 사형판결에 죽었더라면 그도 사도세자의 운명과 거의 유사 했을 것 같다.

이렇게 부자(父子)간에 얽혀 드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단순한 성격의 차이로 이들에겐 이런 갈등을 겪게 되었던지? 아님 이들 사이의 인연고리로 풀어야 할지? 그럼 인과응보, 업? 오늘날 유럽은 아직도 왕족들이 많이 남아있다. 오늘날 만약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면? 아니 아예 벌어질 수가 없을지 모른다. 이젠 왕이 모든걸 움직이는 시대가 아니고, 법이 움직이는 시대이기에 말이다.

생의 꽃도 피워 보지 못하고 왕 친구를 대신해 죽어갔던 그의 영혼이 안타깝지만 친구를 위해 목숨을 바친 그의 용기는 높이 살 만 한 것은 사실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