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호석 기자
- 승인 2023.12.09 08:55
- 댓글 0
인요한의 쓰임새
이준석 신당의 용도
한동훈 총선 역할론
바야흐로 전지적 총선시점이다. 그러니 총선전략을 기준으로 정치현상을 분석해야 본질이 보인다. 최근 정치권을 뜨겁게 달군 인요한 혁신위, 이준석 신당, 한동훈 역할론 등도 마찬가지다. 친미보수 성향의 이들 범여권 세력이 펼치는 총선전략을 짚어본다.
인요한의 쓰임새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가 7일 조기 해산을 공식 선언했다. 인 위원장은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인요한 혁신위가 애초에 ‘국민의힘 혁신’이 목표였는지는 불분명하다. 물론 말로는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다 바꿔야 한다”고 했지만, 정작 혁신위는 ‘혁신’ 자체보다 총선용 ‘이미지 세탁’에 더 주력했다.
인요한 혁신위를 통해 국민의힘은 어떤 이미지를 세탁하고 싶었을까? 이는 혁신위의 탄생 배경에 드러난다.
인요한 혁신위는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로 태어났다. 윤석열 대통령이 김태우 전 구청장을 무리하게 사면하고, 자기 때문에 치러지는 보궐선거에 다시 출마하는 무리수를 둔 것. 이 때문에 당내에선 ‘지도부 책임론’과 ‘총선 필패론’이 거세게 일었다.
사무총장을 비롯한 임명직 당직자가 일괄 사퇴했음에도 지도부와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는 가라앉지 않았다.
이때 인요한 혁신위가 등장했다. 인 위원장의 일성은 “전권을 부여받았다”였다. 이제부터 ‘윤석열-김기현’에게 향하던 문책성 화살을 자신에게 날리라는 메시지로 읽힌다.
인 위원장이 ‘윤핵관 험지 출마’, ‘전략공천 배제’ 등의 파격적인 혁신안을 쏟아낸 것도 정치적 언사에 불과했다. 고작 하태경 의원의 종로 출마와 원희룡 장관의 이재명 대표 지역구 출마 선언이 전부였다.
사실 험지 출마보다 험지 출마의 실효성 논란만 키웠다는 분석이다. 그 사이 윤핵관의 보궐선거패배 책임은 어디론가 사라졌다.
김경진 혁신위 대변인은 "인요한 혁신위가 시간벌기용 아니냐"며 불만을 토로했다. 어쨌거나 인요한 혁신위는 이제 수명을 다했다. 친미보수세력의 총선전략에서 인 위원장의 쓰임새는 거기까지였던 것.
이준석 신당의 용도
거대 양당 전직 대표가 신당을 창당하는 기현상을 목도하고 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오는 27일로 창당 날짜까지 박았다.
얼핏보면 이준석 신당이 여권 분열로 비치지만, 오히려 범여권 확장전략에 이용될 공산이 크다.
왜냐하면 이준석 신당이 국민의힘 탈당 세력은 맞지만 여권 2중대라는 본질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준석 신당이 언제든 국민의힘 당권파와 협력·연대·통합할 수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전 대표는 과거 박근혜 탄핵 때도 새누리당을 탈당해 바른정당에 몸담고 보수 부활을 모색한 바 있다.
보수언론이 이 전 대표를 대하는 태도에서 신당의 성격은 더욱 분명해진다.
월간조선 편집장이던 대표적인 보수논객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는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준석, 보수에 경쟁과 활기를 줄 사람, 보수의 새로운 미래상, 젊을 때 YS 닮았다” 등 이 전 대표 띄우기에 여념이 없다. 이 전 대표의 보수언론 노출 빈도가 윤 대통령보다 더 많다는 사실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렇다면 친미보수는 이준석 신당을 왜 재활용하려는 걸까?
무엇보다 윤석열의 국민의힘만으로는 총선에서 과반의석 확보가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이미 불통‧영남‧노인당으로 전락해 중도표 결집에 한계가 드러났다. 그렇다고 어쭙잖게 선거용 변신을 시도했다간 정통 보수층이 이탈하니 그럴 수도 없는 노릇.
결국, 이준석 신당이 만들어지면 2030표와 수도권 보수표를 결집하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이준석 신당과 국민의힘을 합해 과반의석이 확보되기를 바라는게 아닐까.
한동훈 총선 역할론
총선의 또다른 변수는 ‘한동훈 역할론’이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총선 출마는 기정사실이다. 이제 총선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만 남았다.
당선안정권에 출마하는 대신 선대위원장을 맡아 총선을 지휘할 것인가? 아니면, 민주당 거물과 맞붙어 차기 대선급으로 부상할 것인가? 또는 험지 출마로 총선에 국민의힘 바람을 일으킬 것인가?
한 장관이 어떤 선택을 하던 이는 총선 역할론이라기 보다는 총선 이후를 염두에 둔 포석이다.
총선이 끝나면 결과와 상관없이 집권 후반기 윤 대통령의 레임덕(지도력 공백 현상)이 시작된다. 범여권이 총선에서 패하면 책임론이 불거질 것이고, 설사 과반의석을 확보해도 차기 대선주자로의 쏠림 현상이 가시화할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 내에선 한 장관을 유력한 대선주자로 보고 있다. 그래야 검찰 권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고, 윤석열 정권 하반기도 동요 없이 끌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이 그리는 총선 이후 정국 흐름은 대체로 이렇다. 이준석 신당과 연대를 통해 정국 주도권을 쥔다. 한동훈과 이준석을 대선주자로 내세워 이들 간의 후보경쟁을 통해 범여권의 지지세를 확장한다. 정권 재창출 가능성을 높여 검찰 권력을 더욱 강력하게 틀어쥔다.
요컨대, 인요한을 쓰고 버린 친미보수세력은 이준석‧한동훈을 통해 총선전략을 구체화하고, 정권 재창출의 제1무기인 검찰권력 장악에 총력을 쏟고 있는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