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신문 솎아보기] 대다수 신문들, 윤 대통령에 ‘전면적 쇄신인사’ 요구해
박순애 사퇴에 한겨레 “인사사고는 윤 대통령 책임”
경향 ‘새 정부 첫 교육수장의 불명예 퇴진은 ‘윤석열의 실패’“
중앙 ‘박 장관 경질만으로 상황 돌파 어려워, 윤핵관부터 2선으로 물러나야’
동아 칼럼 ‘윤 대통령 최대 리스크는 국힘’, 중앙 칼럼 ‘실패한 대통령이란 꼬리표는 영원해’
‘초등 입학 연령 하향’ 정책을 졸속으로 발표해 논란이 된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임명 35일 만인 지난 8일 자진사퇴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국무위원 사퇴는 처음이다. 9일 대다수 아침신문들은 박 장관 사퇴 소식을 전하며 ‘전면적인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이어갔다.
한겨레는 3면 기사 ‘윤 정부 벌써 5명 낙마…여권서 “읍참마속” 추가 쇄신 요구’에서 “(정치권 안팎의 여진은) ‘만취 운전’ 논란 등을 무릅쓰고 국회 인사청문회까지 패싱하며 임명한 박 장관이 취임 한달 남짓 만에 사실상 경질되자, 대통령실의 인사 검증-강행에 따른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라며 “야당은 물론 여당에서조차 ‘박 장관 원포인트 경질’로는 부족하다며, 내각과 대통령실의 추가적인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했다.
전정윤 사회정책부장은 오피니언면 ‘편집국에서’에서 ‘김인철·박순애…사고는 윤 대통령이 쳤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게재했다. 전정윤 부장은 “학제 개편 논란을 통해 윤석열 정부 교육정책 결정권자들이 교육을 모를뿐더러, 기본적인 수준의 정무감각도 없다는 점이 명확해진 셈”이라며 “대통령실이 교육정책을 틀어쥐고 갈 전문성이 없는데, 교육부 장차관마저 비전문가를 앉힌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결국 만 5살 조기취학이나 외고 폐지 추진 발표와 백지화 사태, 나아가 취임한 지 100일도 안 돼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세번이나 지명하게 된 ‘인사 사고’는 누구 탓도 아닌 윤 대통령 자신의 책임”이라며 “교육철학이 없는 대통령이, 전문성과 도덕성 없는 장관에게 교육정책을 덜컥 맡겼다 초래된 일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경향신문 또한 1면 기사 ‘윤 정부 국정난맥이 부른 35일 교육수장’에서 “부총리 조기 강판으로 윤석열 정부는 정책·인사 실패 등 총체적 난맥상을 노출했다. 윤 대통령의 인선과 국정운영 스타일의 방향 전환이 불가피해 보인다”며 “새 정부 첫 교육수장의 불명예 퇴진은 ‘윤석열의 실패’ 성격이 짙다. 윤 대통령이 인선 기준으로 내세운 ‘능력주의’ 원칙은 무색해졌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직접적인 경질 배경이 정책 졸속 추진이라는 점도 뼈아픈 부분”이라며 “지지율 추락 국면을 돌파하려면 ‘윤석열표’ 정책과 개혁 과제로 국정 드라이브를 걸어야 하지만 인선·정책 신뢰도가 낮은 상황에선 개혁 추진 단계마다 걸림돌에 부딪힐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중앙일보는 1면 기사 ‘자꾸 발목잡히는 정책, 지지율보다 더 문제다’에서 “20%대로 추락한 대통령 지지율로 인해 ‘박순애 경질’이라는 긴급처방을 꺼내 들었지만 일각에선 ‘지금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이 건건이 욕먹고 있다는 게 더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며 “최근 기류와 달리 대선 때는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등) ‘윤석열표 정책’이 유권자의 기대감을 자극했다”고 했다.
사설에서는 “지금의 위기는 검찰·학교 동문·측근 기용 인사와 아마추어 국정 운영 등 정권 스스로 자초한 측면이 크다”며 “박 장관을 경질하는 정도에 그쳐선 상황을 돌파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우선 ‘윤핵관’(윤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부터 2선으로 물러나야 한다”고 했다.
동아일보 또한 사설에서 “대통령실과 내각에 대한 국민 신뢰가 바닥을 뚫고 있다. 장관 하나 핀셋 경질하고 낮은 자세로 분발하자는 정도로 대처할 상황이 아니란 얘기”라며 “국민 다수가 지지율 하락의 원인으로 윤 대통령 자신의 잘못을 꼽고 있다. 그중에서도 인사 실패를 지목하는 이들이 많다. (윤 대통령은) 국정기조를 바로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정무적 조치가 더 절실한 상황이다. 과감한 쇄신 인사 없이는 국면 전환이 어렵다”고 했다.
조선 “정부 출범 석 달 만에 윤핵관들 국민 혐오 대상 됐다”
이밖에도 아침신문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약식 기자회견’(도어스테핑) 재개에도 주목했다. 윤 대통령이 여름휴가 후 업무에 복귀하며 가진 8일 약식 기자회견은 지난달 26일 이후 13일 만이었다.
조선일보는 4면 기사 ‘尹 차분해진 도어스테핑…“언론이 많이 도와달라”’에서 “이날 윤 대통령의 도어 스테핑에 대해 “격앙된 듯한 어조와 큰 몸짓을 보였던 과거에 비해 분위기가 달라졌다”는 얘기가 나왔다“며 “여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휴가 기간 도어 스테핑과 관련해서도 여러 인사들의 조언을 들은 것으로 안다며 더 낮은 자세로 국민과 소통할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사설에서는 “그동안 지지율 하락에 ‘별 의미 없다. 신경 안 쓴다’고 했던 윤 대통령이 ‘국민의 뜻’과 국정 동력의 중요성을 언급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윤 대통령 지지율이 대선 득표율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것은 대통령 자신의 탓이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론 조성이나 공개 논의 과정 없이 발표된 경찰국 신설, 만 5세 취학, 외고 폐지 등의 문제도 겸손하게 다른 사람들의 뜻을 살피지 않아 벌어진 일”이라며 “참모들의 책임도 크다. 정부 출범 석 달 만에 윤핵관들은 국민 혐오의 대상이 됐다. 대통령실 참모 중 해야 할 일을 제대로 하는 사람이 몇이나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대통령이 겸손해지고, 진중해지며,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들의 뜻을 살피면서 해야 할 일을 하면 국민이 다시 지지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도 했다.
중앙일보 조현숙 경제정책팀 차장은 오피니언면 ‘분수대’에서 ‘대통령 지지율’에 대한 글을 쓰며 “곳곳에서 위기 징후가 나타나고 있지만 무력하다 못해 경제에 무관심해 보이는 대통령에 여론은 무엇보다 화난 것”이라며 “각종 경제 관련 회의에 찬조 출연해 장관들에게 “잘 챙기라” 잔소리하고, 하나 마나 한 현장 순시 몇 번 더하는 건 소용없다. 그리고 분명한 건 대통령 임기는 유한하지만 ‘실패한 대통령’이란 꼬리표는 영원하다는 점”이라고 했다.
동아일보는 3면 기사 ‘업무 복귀 尹 “국민 관점서 문제 점검”… 인적쇄신 가능성 열어둬’에서 “취임 후 첫 휴가를 보낸 윤석열 대통령의 복귀 일성은 ‘초심’과 ‘국민’에 방점이 찍혔다. 휴가 기간 동안 터진 각종 논란으로 지지율이 20%대로 곤두박질친 가운데 겸허하게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 반등의 계기를 확보하겠다는 취지”라고 했다.
아울러 “불편한 질문에 답변하는 태도도 달라졌다. 윤 대통령은 인적 쇄신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국민들의 관점에서 모든 문제를 다시 점검하고 잘 살피겠다”고 말했다”며 “‘국민 관점’을 거론하며 몸을 낮춘 것”이라고 했다.
한규섭 객원논설위원(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오피니언면 ‘동아광장’에서 “대선 당시 지지율 추이를 복기해 보면 윤 대통령 최대의 리스크는 바로 다름 아닌 국힘(국민의힘)”이라며 “2016년 ‘옥새런’과 지난 대선 ‘당 대표 가출사건’ 모두 선거 승리를 자신한 오만이 원인이라는 해석이 많다. 2016년 당내 갈등의 중심에 있던 ‘친박’과 ‘비박’ 당사자들의 현재 위치와 이후 새누리당의 상황을 생각해 보면 현재 국힘의 갈등 상황이 왜 윤 대통령의 가장 큰 리스크인지 자명해진다”고 했다.
한겨레는 사설에서 “‘비선’ 논란을 비롯해 끊이지 않는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과 대통령실 사적 채용, ‘내부총질’ 언급 등 당무 개입으로 신뢰를 무너뜨린 건 윤 대통령 자신”이라며 “윤 대통령의 위기는 외부 충격이 아닌 내부 요인에서 비롯됐다. 국민 눈높이에 맞게 내각과 대통령실을 과감히 개편하고, 독선적이고 일방적인 국정 운영 방식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향신문 또한 사설에서 윤 대통령의 약식 회견을 언급하며 “(윤 대통령은) 이제는 국민이 그 진정성을 느끼고 변화를 체감하는 실질적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집권 100일의 국정에 무슨 문제가 있었는지, 일방통행식 정책은 또 없는지, 권력기관 운영은 공정한지 돌아봐야 한다”며 “쇄신의 폭이 양적·질적으로 확장되지 않으면 국정동력 회복은 요원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