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년 6월. 생존 비전향 세계 최장기수, 안학섭 선생 송환 촉구
- 이승현 기자
- 입력 2025.07.18 16:58
- 수정 2025.07.18 16:59
- 댓글 1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공동단장 이적 민통선평화교회 담임목사, 한명희 전 민중민주당 대표)이 1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앞에서 '생존비전향 세계최장기수 안학섭선생 송환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https://cdn.tongilnews.com/news/photo/202507/214012_109938_5543.jpg)
'생존 비전향 세계 최장기수'라는 또 다른 이름으로 아흔여섯해를 살아 온 안학섭 선생의 병세가 위중하다.
폐에 물이 차는 폐부종 증세가 최근 급격히 악화되던 중 지난 15일 혼절하여 응급실로 실려갔다가 지금은 일반 병실로 옮겼으나 불상사에 대비해 24시간 간병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고령에 따른 여러 질환이 겹쳐있고 1년에 한번씩 폐에서 물을 빼던 것이 이제는 일주일에 한번씩 처치를 하지 않으면 숨 쉬기가 어려울 정도로 하루 하루가 기적이다.
18일 오전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앞에서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공동단장 이적 민통선평화교회 담임목사, 한명희 전 민중민주당 대표)이 '생존비전향 세계최장기수 안학섭선생 송환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적 민통선평화교회 담임목사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https://cdn.tongilnews.com/news/photo/202507/214012_109939_577.jpg)
강화도 민통선평화교회에서 10여 년간 안 선생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이적 목사는 "조국을 사랑한 그 죄 하나 때문에 43년 감옥살이를 하고 출소해서도 여전히 창살없는 감옥에서 살아야 했던 가혹한 운명은 이제 그만 막을 내려야 한다"며 그의 송환을 강력히 촉구했다.
1930년 4월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에서 태어나 24살 되던 1953년 4월 무장유격대로 참전했다가 체포되어 국방경비법 제32조(적에 대한 구원 방조 등)와 제33조(간첩) 위반으로 무기형을 선고받았다. 끝없이 이어진 잔혹한 사상전향공작에 꺾이지 않고 1995년 8.15광복절 특사로 나올때까지 42년 6개월의 세월을 이겨냈다. 2000년 6.15남북공동선언 제3항의 합의에 따라 그해 9월 2일 63명의 비전향장기수와 함께 북으로 송환될 수 있었으나 '미군이 나갈때까지 남에서 끝까지 투쟁하겠다'는 신념을 지키기 위해 고난의 길을 마다하지 않았다.
이 목사는 "안 선생은 제네바협정, 전쟁포로협정 118조에 따라 전쟁이 끝나면 언제든지 돌려보내야 하는 대상자이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그를 돌려보내지도 않았고 포로 대우도 하지 않았으며, 감옥에 가둬놓고 고문하고 전향을 강요했다"고 하면서 이제 이재명 정부가 나서서 그의 송환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환을 '구걸'하지 않았고 제3국으로 가는 것도 거부했으며, 당당하게 판문점을 넘어 가겠다는 본인의 뜻을 존중하여 남북 당국은 안 선생을 보내주고 받아달라고 요청했다.
![이적 목사와 한명희 전 대표가 안학섭 선생의 조속한 송환을 촉구하는 요청서를 정부 당국에 전달했다. [사진-통일뉴스 이승현 기자]](https://cdn.tongilnews.com/news/photo/202507/214012_109940_5817.jpg)
한명희 전 대표는 "안 선생이 조금 더 건강할 때 그토록 꿈에도 못잊는 조국의 품으로, 먼저 간 동지들의 숨결이 살아있는 조국 강토에서 여생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쟁포로의 인권과 송환권리를 명문화하고 적대행위의 종식과 함께 모든 포로의 자동적인 송환을 규정한 국제법에 비추어보더라도 안 선생에게 가해진 강제전향이나 장기억류는 제네바협정 위반"이라고 하면서 "어려울 것도 머뭇거릴 이유도 없다. 이재명 정부는 생존 비전향 최장기수인 안학섭 선생의 빠른 송환을 위해 모든 힘을 기울여 달라"고 요구했다.
송환추진단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는 즉각 안학섭 선생의 북송문제를 인도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가장 빠르게 실질적인 협의에 나설 것 △안학섭 선생을 전쟁포로로서 제네바협약에 의거해 제3국이 아닌 판문점을 통한 송환을 추진할 것 △유엔인권기구와 국제사회는 분단이 만든 인권의 사각지대에 대해 책임있는 목소리를 내줄 것을 당부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