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인저널
- 승인 2022.12.13 18:05
- 댓글 0
역사와 문헌이 있는 나라는 관례에 따라 외국 고유명사를 표기하고 발음한다. 우리는 한자(漢字)를 받아들여 쓰기 시작하면서 중국어의 한자음을 우리 국음으로 발음해왔다. 우리 국어에서 [揚子江]은 [양쯔강]이 아닌 [양자강]으로 발음해야 하는데도 최근 신문이나 방송에서는 오랜 관례를 깨고 중국 현지음으로 표기하거나 발음해 큰 혼란과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단순한 불편과 혼란쯤이면 참고 있을 수도 있겠지만 우리의 역사와 문헌. 그리고 전통의 혼선 등 언어혼란으로 인한 후유증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독일 라인강변에 [킐른]이라는 도시가 있다. 프랑스 사람들은 그 도시를 [꼴로뉴]라고 부른다. 그 도시가 옛날에 라틴민족의 식민지였기 때문이다. 독일 사람들로서는 자존심이 상할 수 있는 명칭인데도 프랑스 말로 소개할 때는 자신을 [꼴로뉴]사람이라고 말하는 것을 자주 들을 수 있다. 독일 사람들이 영어를 배울 때 이를 [뮤니크]라고 발음한다. 영국과 미국사람들이 그렇게 부르기 때문이다.
어느 나라고 외국 고유명사를 발음하는 나름대로의 원칙이 있고 외국도 그 관례를 존중해주는 것이다. 독일이나 프랑스 등은 몇백년의 전통을 존중해서 이렇게 외국의 관례를 따라준다. 우리는 몇 백년간 [양자강]으로 불러왔고 문헌상 표기도 대부분 [양자강]이다. 또 중국의 남쪽지방에서는 [양쯔강]이라 발음하지 않고 극히 일부에서만 이렇게 부른다. 게다가 우리의 발성능력으로는 중국의 실제발음에 가깝게 발음하지 못한다.
우리는 [삼국지연의]등을 통해 이미 우리 나름대로의 중국 인명과 지명을 많이 알고 있다. 그런데도 굳이 현지음 원칙을 고수할 경우 가령 귀중한 역사기록인 [조선실록]에 나오는 인명과 지명이 생소해지고 뜻의 혼선을 가져올 수 있다. 역사와 문화가 있는 민족의 귀중한 문헌들을 무색하게 만들고 후손들과의 정신적 단절을 가져올 수도 있는 이런 변혁을 어떤 기준으로 누구를 위해 강행하고 있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우선 신문표기부터 [江澤民]은 [장쩌민]이 아닌 [강택민]으로, [朱鎔基]는 [주룽지]가 아닌 [주용기]로 시급히 바로잡아 주길 바란다.
이상은 한국어문회 회원이신 고려대 독문학과 명예교수이신 박찬기교수의 말씀이다.
나는 여기에 덫붙여 그렇다면 [中國]은 왜 그들의 발음인 [중구어]로 하지 않고 [중국]이라고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즉 원칙이 없고 막말로 너무나 즉흥적이라는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