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20년 2월 18일 화요일

은둔자 법정스님의 간곡한 당부

人터치
휴심정이 만난 사람들을 함께 만나보세요. 또 '인간은 변하는가, 변하지 않는가'란 인류정신사의 가장 큰 주제를 오해 테마로 한 인터뷰와 이에 대한 목사와 신부, 스님, 주역의 대가와 심리학자 등 10명이 모여 토론한 대담을 선보입니다.

은둔자 법정스님의 간곡한 당부

조현 2020. 02. 18
조회수 916 추천수 0


덕조17-.png» 전남 순천 조계산 송광사 산내암자 불일암에 17년간 은거한 법정 스님이 맞상좌 덕조 스님과 함께 했다.




법정 스님(1932~2010) 10주기다. 법정 스님의 기일인 19일(음력 1월26일) 오전11시 서울 성북구 길상사에선 추모법회가 봉행된다. 이 자리에선 ‘스스로 행복하라’는 주제로 2006년 법문했던 모습이 영상으로 상영된다. 길상사에선 오는 3월11일까지 ‘비구 법정 사진전’이 열리며, 3월 8일 오후 1시 30분엔 설법전에서 ‘무소유를 읽다’를 주제로 음악회가 열린다. 2~11월 매월 넷째 일요일 오전 11시엔 ‘법정 나를 물들이다’를 주제로 특별 좌담이 마련된다.

 ‘나는 자연인이다’의 모델인 은둔형 인물
 법정 스님이 열반에 든 2년 뒤인 2012년 <엠비엔>에서는 <나는 자연인이다>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친 현대인들이 자연 속으로 숨어 들어가 몸과 영혼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자연인의 단순 소박한 삶을 텔레비전이 아닌 책으로 먼저 보여준게 법정 스님의 <무소유>였다. 이 책은 1976년 출간된 이래 무려 300만권 넘게 팔렸다. 더 많이 더 빨리 소유하기 위해 세계에서 전무후무한 속도로 질주하던 한국에서 말이다. 김수환 추기경마저 ‘이 책이 아무리 무소유를 말해도 이 책만큼은 소유하고 싶다’며 <무소유>에 대한 소유욕을 부채질했다.

 법정 스님은 10년 전 “그동안 풀어놓은 말빚을 다음 생에 가져가지 않으려 하니 부디 내 이름으로 출판한 모든 출판물을 더 이상 출간하지 말아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 말이 <무소유>욕을 다시 불질렀다. 당시 교보문고에선 법정 스님의 책 11종이 베스트셀러에 올라 법정에서 시작해 법정으로 끝났다. 이번에 샘터가 ‘무소유’, ‘텅빈 충만’ 등 대표 수필들을 담아 펴낸 <스스로 행복하라>가 1개월여만에 5만부가 판매돼 법정신드롬이 재연되고 있다.

 도망치던 법정 스님을 붙들기위해 안달한건 출판인들이나 독자들만이 아니었다. 이미 암자와 산골집을 떠도는 독살이를 하는 그의 무소유를 더욱 그리워한것은 더욱 많은 것을 소유한 부자들이었다.

 법정 스님에게 성북동 7천여평을 기부해 길상사를 창건케한 이는 거부 김영한씨였다. 어려서 기생이 된 그는 22세때 천재시인 백석을 만나 사랑에 빠졌다. 백석의 집에서 기생과 결혼을 반대해 백석은 만주로 떠나 김영한을 부르기로 했는데 분단으로 생이별을 하고말았다. 김영한은 요청을 차려 성공해 무려 무려 7천여평에 고래등같은 대원각을 운영했다. 김영한은 법정 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법정 스님에게 대원각을 절로 만들어줄 것을 요청했으나, 귀찮은 일을 싫어하는 법정 스님의 거절로 10년간 씨름하다 결국 기부에 성공(?)해 1997년 길상사가 생겨났다. 김영한은 1999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매년 7월1일 백석의 생일이면 일체음식을 입에 대지하고 허공만 바라보았다. ‘천억대의 대원각을 어떻게 시주할 수 있느냐’는 물음에 김영한은 “그까짓 천억, 백석의 시 한줄만 못하다”며 ‘무소유의 대미’를 장식하고 무로 돌아갔다.

법정2-.jpg

법정김수환-.jpg» 종교를 넘어 친분을 나눴던 법정 스님과 김수환 추기경


 고립되지 말것, 관계할것
 법정 스님이 주로  암자나 산골집에서 홀로 살았다는 점에서 은둔자임엔 틀림없다. <오두막 편지>, <홀로 사는 즐거움> 등 책 제목도 은둔형이다. 까칠한 성격 자체가 남과 어울려살기보다는 홀로 사는게 편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그런 성향과 달리 시대와 소통을 중시했다. 대부분의 산사 승려들이 자연인처럼 살아가던 시대에 그는 오히려 일찍이 산사를 벗어나 도회지로 튄 스님이었다. 그는 젊은시절 서울 강남 봉은사 다래헌 등에 살면서 민주화운동을 했고, 함석헌이 만든 <씨알의소리>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김수환·강원룡 등 이웃종교인들과 종교간 대화에 앞장섰다. 은둔적 경향의 전통승가에선 받아들이기 쉽지않을만큼 시대를 저만치 앞서간 것이다.

 그가 1974년 전남 순천 송광사 산내암자 불일암에 내려간 것은 인혁당 사건으로 8명의 생목숨이 하루아침에 죽는 것을 보고 독재자에 대한 증오심을 풀길이 없어서였다. 그는 은거하면서도 <무소유> 등을 통해 돈과 권력이면 다 된다는 조류와는 다른 삶의 길을 끊임없이 제시했다. 또한 송광사에 ‘선수련회’를 만들어 산사의 수행법을 대중들에게 전했다. 요즘 유행하는 템플스테이의 원조인셈이다. 그가 머무는 곳은 그곳이 어디든지 전통과 현대, 산사와 대중의 소통이 있었다. 그는 관계의 단절자가 아닌 가교자였다. 자연인처럼 혼삶을 살면서도 사람들과 관계와 소통엔 가장 앞선 선구자였던 셈이다. 법정 스님은 말했다.

 “홀로 사는 사람은 고독할 수는 있어도 고립되어서는 안 된다. 고독에는 관계가 따르지만, 고립에는 관계가 따르지않는다.”

덕조-.jpg» 법정 스님 열반뒤 10년간 불일암에서 은거한 맞상좌 덕조 스님



 불일암에서 만난 맞상좌 덕조스님
  덕조 다비식장.jpg» 10년전 법정 스님의 법구를 태우는 다비장에서 슬픔에 잠겨있는 덕조 스님(왼쪽)법정 스님이 열반전 ‘나를 만나고싶으면 오라’ 했던 곳이 전남 순천 송광사 산내암자 불임암이다. 17년을 산 곳이다. 불일암은 맞상좌 덕조스님이 “10년간 오로지 수행에만 매진하라”는 스승의 유지에 따라 지키고 있다. 법정 스님은 젊은시절 ‘스치면 베일만큼’ 날카로워 ‘억새풀’로 불렸다. 그런데 맞상좌에겐 ‘덕스런 할아버지’란 뜻의 ‘덕조(德祖)’라고 한 것을 비롯 제자들을 덕인,덕문,덕현,덕운,덕진,덕일 등 ‘덕(德)자’ 돌림으로 했다.

 2016년엔 인도 오로빌공동체에 갔다가 덕조 스님 소식을 들었다. 몇주전 <송광사의 사계>란 전시회를 위해 1주간 머문 그가 40도가 넘은 날씨에도 가사장삼을 수한채 모든 행사를 마쳐 오로빌리언들이 경탄해마지않았다는 것이다. 웃옷을 다 벗고있어도 땀으로 범벅이 되고 숨이 턱턱 막히는 그 날씨에도 스승처럼 빈틈을 보이지않았다는 것이다. 지난해 여름 불일암에 들렀을 때에도, 반드시 필요한건 외엔 소유욕을 털어낸 스승의 삶 그대로의 모습이 한 눈에 보였다. 불일암관람객 의 참배시간도 오전8시~오후4시로 제한하고, 관람객들과도 거의 차담을 하지않고 묵언으로 고독을 자처한 덕조스님에게 “모처럼 법정 스님의 향기나마 맡으로 온 관람객들과 차담도 좀 하고 이제 좀 덜 빡빡하게 살아도 되지않느냐”고 물었다. 이제 10년이 됐으니, 억새풀이 아니라 ‘덕스런 할아버지’처럼 살면 안되느냐는 물음에도 그는 그저 수줍게 웃으며 차만 마실 뿐이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