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19년 9월 15일 일요일

<회고수필> 정 이월 다 가고 … - 그리운 강남 아리랑 -

음률에 남과 북의 경계는 허물어지고, 아리랑 노랫 말을 뇌이다 보니 목이 메였다

프레스아리랑 | 기사입력 2019/09/16 [06:33]


“정 이월 다 가고 삼월이라네,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면은 이 땅에도 …,,,,..”
‘그리운 강남’, 이 얼마 만에 듣는 노래인가. 서울 상암경기장에서 벌어진 남북통일 축구경기 TV중계화면에 한복을 입은 한 중년 사내가 달랑 북 하나의 장단에 맞춰 노래하고 있었다.

옛날에 귀에 익었던 이 노래, 그러나 아주 다른 소리 빛깔과 낯 설은 가락으로 부르고 있다.
가슴 속 깊이 묻혀있던 한을 끄집어 내어 우리 고유의 창 같은 음률로 토해내듯 불러대는 이
소리에 나는 그만, 깊숙이 빠져들고 말았다. 그는 모국의 소리꾼 장사익 이었다.
어렸을 때 동네 여자애들이 고무줄 놀이를 하며 부르던 이 노래를 왜 이제서야 다시 듣게 되었는가? 그 내력을 찾아보니 일제강점기 언론인 김형원의 시 '그리운 강남'에 작곡가 안기영이 1928년에 곡을 붙였다. 그렇다, 이 노래는 그냥 철 없는 아이들만의 노래는 아니다.

매몰찬 일제의 억압에서 독립의 봄을 그리워하던 우리 겨레의 한과 소망이 담긴 노래이기도 
했다. 그래서 일본 당국에 의해 금지 되었던 또 하나의 울 밑에 선 '봉선화' 같은 노래다. 해방
뒤 남과 북의 음악교과서에도 실려 마을마다 골목마다 메아리 쳤던 노래였다.

안기영이 연희전문학교에서 음악의 길을 모색하고 있던 때 일어난 1919년 3.1독립항쟁에 
참가한 이유로 그는 퇴학당했다. 그가 독립운동의 뜻을 품고 만주로 가서 신흥무관학교를 다니던 중 여운형 선생을 만나 그의 권유로 남경 금릉대학에 진학했다. 그리고 1924년 귀국해서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조교를 하던 그는 또 1925년, 미국 오레곤 주 엘리슨 화이트 음악대학 유학 길에 올랐다. 3년뒤 귀국하고 이화여전 음악교수로 재직 중 지금의 교가도 작곡했다. 작곡가며 성악가였던 그는 조선의 설화 '콩쥐팥쥐'와 '견우직녀'같은 향토가극을 1940년대 초에 작곡하고 공연도 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가극(오페라)들이다.
그는 해방뒤 혼란스러운 정국에서 1947년 암살 당한 여운형 선생의 추모곡을 작곡하고 장례식에서 연주지휘도 했다. 좌우이념의 대립이 한창이던 그 때 좌익으로 몰려 그는 이승만정부에서 음악활동마저 중지당했다. 그리고 남북전쟁 중 1950년 그는 북으로 갔고 그의 노래들은 남녘에서 금지되었다. 거의 40년이 되어 남녘에 민주화 바람이 불어온1980년대 말에야 그의 창작품들이 풀려났다. 그동안 땅 속에 묻혔던 안기영 음악의 뿌리가 뒤늦게나마 소리꾼 장사익에 의해 되살아나 다시 우리 곁으로 다가왔다.
얼마전, 로스앤젤레스 챈들러음악당에서 열린 장사익 소리판 공연에서 열광하는 3,000명 청중 속에 나도 있었다. “사람이 그리워서”라는1부 공연에서는 ‘희망 한 단’, ‘찔레꽃’ 등 국악에 바탕을 둔 풋풋한 황토 빛 노래들을 그는 절규하듯 불러댔다. 북과 장고, 기타와 피아노가 받쳐주는 반주의 화음이 감동을 더 해 주었다. 2부에서는 친근한 가요, ‘님은 먼 곳에’, ’동백아가씨’등을 탁하지만 가슴 시린 서정을 담아 온 몸으로 노래했다. 구슬픈 듯 아득한 해금의 음색도 가슴을 파고 들었다. 전통 악기와 서양악기가 어우러진 반주로 우리 겨레만이 느낄 수 있는 사람 냄새와 정이 끈끈한 노래들을 그만의 독특한 소리판으로 이어 갔다.

한 판, 한 판 더해 가며 무대와 청중은 하나가 되었다. 마지막 노래를 마친 그가 ”용의 눈에
점을 찍은 이 소리판에 와주신 여러분….”하며 미국 순회 마지막 공연에 성황을 이뤄준 데 대한
감사의 말을 했다. 감동에 벅찬 관중들은 열광적인 박수를 보내며 일어섰다. 기어이 “한 번 더!
한 곡 더!”의 열화 같은 재청에 이 시대의 소리꾼 장사익이 안기영의 곡을 엮은 ‘강남 아리랑
(그리운 강남)’을 선창하자 객석의 모두가 일어나 함께 불렀다.
“ …… 또 다~ 시 보오~옴이 오온~다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
이 노래를 부르며 문득 일화 하나가 생각났다. 남녘 군사정권의 서슬이 시퍼렇던 1981년, 북미주와 유럽의 선우학원, 이영빈, 김동수 등 학자와 종교인 30여명이 처음으로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북의 려연구(여운형 따님), 안경호 박사 등 15명과 [조국통일을 위한 북과 해외동포의 대화] 모임을 가졌다.

분단 36년만에 처음인 두렵고 떨리는, 그러나 결의에 찬 
만남이었다. 회의뒤 저녁 식사자리에서 북과 해외동포들은 축하의 술잔을 마주치고 난 뒤에도 서로 어색하고 서먹서먹한게 긴장이 안 풀려 말 문을 열지 못하고 있었단다. 그런데 한 여인이 조용히 ‘정 이월 다 가고…’를 부르기 시작했다. 한 사람 두 사람 입이 열려 따라 부르다 손에 손잡고 부르고 또 부르다 끝내 모두는 눈물을 머금고 껴안았단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음률에 남과 북의 경계는 허물어지고, 아리랑 노랫 말을 뇌이다 보니 목이 메였다고 한다. 그밤 집에 돌아와서도 나는 이 노래의 감동으로 쉬이 잠들 수 없었다. 일제강점 시절 창가수준의 창작계를 한 차원 높여 우리나라 가곡의 효시가 되었다는 안기영의 기여가 뒤 늦게 남녘에서도 조명되었다고 한다.

북에서 그는 김원균 평양음악대학 교수로 재직하다 1980년 
세상을 떠났다. 이 소박하고 더 없이 고운 시 '그리운 강남'을 지은 김형원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기자였다. 그는 신경향파문학의 선구자로 활동하며 저항적 참여 시도 많이 썼다. 허나 일제강점 말기에 일본의 조선총독부 통치에 적극 협력했다. 뒷날 그는 친일인명사전에 올랐다.

일제강점과 해방, 분단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청춘을 산 우리 선대들의 삶이 파란만장하지
않았던 분이 얼마나 될까? 아직도 반목과 대결을 계속하고 있는 분단조국의 동포들이 똑 같이
가슴 속에 고이 간직하고 있는 이 ‘아리랑’ 가락은 어찌 그리 아픈 굴곡의 역사를 겪어야 했나.
우리 겨레의 영혼에 들어와 어린아이들마저 즐겨 부르던 이 노래를 왜 이렇게 끊었다 이었다가,
버렸다 주었다 해야만 했는지! 겨레의 애틋한 소망을 담은 이 한 노래의 역사가 이렇게 우리
가슴을 에이니, 떠나간 자와 남은 자, 남았으면서도 갈라져 사는 가족의 아픈 수난들을 그 어찌 말로 표현하랴. 4계절이 분명치 않은 이곳 미국의 남캘리포니아이지만 매해 3월이면 공기 맑은 해안도시 산후안 카피스트라노에서 제비축제가 열린다. 우리 겨레에게도 평화와 통일의
감람나무 잎새를 물고 올 제비가 기다려진다. 그 언제 남과 북의 동포들이 한 자리에 만나 손에 손 맞잡고 “정 이월 다 가고 삼월이라네……”를 함께 부를 날이 올까!
오 인 동/재미동포의사, 본사상임고문 

 미주 중앙일보 2007년 6월28일
 한국의 문예월간 '한국산문' 2008년 6월호
 한국의사수필가협회 동인지 '너 의사 맞아?' 2009년

장사익 그리운 강남, 아리랑: https://www.youtube.com/watch?v=9HRQ6FYBQwY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