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19년 9월 12일 목요일

"승산 있어 싸우나"... 70년전 경고 무시한 아베

19.09.12 20:46l최종 업데이트 19.09.12 20:46l


 리츠메이칸 대학에 전시된 '와다쓰미' 동상(리츠메이칸대 홈페이지)
▲  리츠메이칸 대학에 전시된 "와다쓰미" 동상(리츠메이칸대 홈페이지)
ⓒ 최우현
 
와다쓰미(海神, わだつみ)

단순 한자 풀이를 따르자면 '바다의 신(海神)'을 뜻하는 일본말이지만, 다른 의미에서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전장에서 목숨을 잃은 일본 학도병을 나타내는 명사로 종종 활용된다. 이 때문에 '와다쓰미'라는 용어는 '반전(反戰)' 그리고 전쟁 비판의 상징으로도 언급되기도 한다.

물론, 이 단어가 반전의 상징으로 활용될 수 있었던 기반에는 조금 특별한 역사적 콘텐츠가 존재한다. <들어라 와다쓰미의 소리를>(きけ, わだつみのこえ)이라는 제목의 책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일제의 침략전쟁(중일전쟁·태평양전쟁)에 참전했다가 목숨을 잃은 젊은 일본 학도병들이 쓴 유고를 모은 것이다.
 
 와다쓰미회 홈페이지 메인 갈무리
▲  와다쓰미회 홈페이지 메인 갈무리
ⓒ 최우현
 
이 유고집의 주인공은 75명의 일본 학도병이다. 당시 이들은 각지의 대학·고등전문학교에 재학하거나 졸업한 어린 학생들로, 언제 죽을지 모르는 불안하고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전쟁에 대한 비판·공포 등 복잡한 감정을 펜에 눌러 담고, 또 다르게는 평화를 꿈꾸기도 하며 이야기를 써내려갔다. 이들의 사연은 당시 패전으로 좌절해 있던 일본 국민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지난밤 그렇게도 옛 추억을 그리워했다. 참으로. 그렇게도 책을 읽고 싶었고, 그렇게도 영화를 보고 싶었다. 참으로. 그렇게도 평화를 바랐다."  - 야마기시 히사오(1946), <들어라 와다쓰미의 소리를>, 일본전몰학생기념회, 한승동 역 

무엇보다 이들의 수기는 일본제국에 대한 헌신, 일왕에 대한 맹목적 충성보다 전쟁에 대한 인간적 고뇌와 비애를 선명히 드러내고 있다. 때문에 많은 일본 국민들은 학도병들의 심정에 공감했고 성원을 보냈다.

책은 곧 베스트셀러의 반열에 올랐다. '전쟁은 안된다'는 반성과 평화의 가치가 일본에 뿌리내리는 데 기여해 왔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남기정 서울대 일본연구소 교수는 논문 <베트남전쟁의 현실과 일본의 평화담론>에서 이 책에 수록된 학도병들의 수기가 "반군 의식에서 나오는 평화주의의 원류를 형성했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상이 '와다쓰미'가 전몰 학도병으로서 반전을 상징하게 된 대략적인 배경이다. 한편, <들어라 와다쓰미의 소리를> 출간을 기점으로 창설된 일본전몰학생기념회, 이른바 '와다쓰미회'는 아직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이들은 일본의 군대 보유를 금지한 일본 헌법 9조의 수호와 일본의 전쟁 책임 추궁 등을 골자로 한 시민운동을 전개해오고 있다.

그후 70년

이처럼 '와다쓰미'를 중심으로 빛났던 일본의 반전·평화 무드도 이제는 벌써 70년 전의 일이 됐다. 중요한 것은 현재가 아닐까. 

하지만 안타깝게도 일본의 평화주의는 그때에 비할 바가 못된다. 아베 총리 개인도 '반전(反戰)'의 기치를 뒤로 감춘 지 오래다. 매년 8월 15일 전몰자 추도식에서 일본 역대 총리들이 전통적으로 견지해 온 '부전의 맹세(不戰の誓い)'와 '반성'에 대한 언급도 7년 동안이나 들을 수 없었다. 
 
 지난 8월 15일 일본 도쿄의 '닛폰부도칸'(日本武道館)에서 열린 태평양전쟁 종전 74주년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있는 모습.
▲  지난 8월 15일 일본 도쿄의 "닛폰부도칸"(日本武道館)에서 열린 태평양전쟁 종전 74주년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있는 모습.
ⓒ 연합뉴스=EPA
그리고 일본 평화주의에는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위기에 처해 있다. 아베 총리의 헌법 개정 시도, 일본의 국제적 무력 행사와 이의 수단이 될 군대의 보유를 전면 금지한 일본 헌법 9조가 그 핵심에 있다.

지난 11일 아베 총리의 측근을 전면에 배치하며 관심을 모았던 개각 역시 궁극적인 목표는 바로 '헌법 개정'에 있음이 드러났다.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개각 당일인 11일 오전, 아베 총리는 자민당 주요 당직자 회의에서 "새로운 체제 하에서 오랜 숙원인 헌법 개정을 당이 한마음이 돼 강력히 진행하겠다"라면서 개헌에 대한 의지를 강하게 표시했다.

실제로 개각 인사를 보면 어느한 곳 허술한 데 없이 아베와 손발을 맞출 강경 우파가 임명됐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자타공인 아베 총리 최측근이자 일본회의 소속인 '모테기 도시미쓰'가 외무대신, 방위대신에 '고노 다로', 문부과학 대신에 정권의 나팔수 '하기우다 고이치', 일본 경제보복의 선봉장 '세코 히로시게'는 개헌 논의 진행에 촉매가 될 수 있는 참의원 자민당 간사장이 됐다.
 
 지난 11일 개각을 발표하는 스가 관방장관.
▲  지난 11일 개각을 발표하는 스가 관방장관.
ⓒ 일본 수상관저 홈페이지 갈무리
  
일본의 군비확장은 평화 역행의 실체를 그래도 보여준다. 일본 방위성에 따르면 2020년 방위예산은 무려 60조 수준이다. 2023년까지 일본 GDP의 1.3% 수준까지 올려나가겠다는 발표도 있었다. '이즈모' '가가' 등 호위함을 항공모함으로 개조하는 계획에 착수하고 있으며, 특히 이즈모의 경우 내년 개조비용까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러한 아베, 자민당의 폭주를 말릴만한 대항 세력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강경일변도의 '우회전'을 저지할 '현대판 와다쓰미'들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체 그들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아니, 존재하긴 한 걸까?

이 시대 '와다쓰미'를 찾아서

미미하지만 일본의 현대판 와다쓰미들은 분명 존재한다. 일본의 수출 규제와 자민당 주류의 보수 드라이브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도쿄·오사카 등에서 '반전·평화' '반(NO) 아베'의 기치를 세우는 사람들이 있다. 다소 조악해 보일 순 있지만 분명한 실체가 있다.

'아베 9조 개헌 NO!전국시민행동' '전쟁·헌법 9조 파괴 반대! 총행동실행위원회' 등 단체들은 다부진 계획과 의지를 가지고 꾸준히 아베 정부의 개헌 시도, 군국화에 맞선다. 

오키나와 미군기지 이전 반대, 군비 축소를 요구하기도 하며 조금 더 적극적으로 일본 헌법 공포일인 11월 3일을 기해 집회를 준비하기도 한다. 한일 관계가 악화일로를 걷는 최근에는 '한일 연대'를 외치기도 했다.  
 
 <전쟁·헌법 9조 파괴 반대! 총행동실행위원회> 집회 안내 포스터
▲  <전쟁·헌법 9조 파괴 반대! 총행동실행위원회> 집회 안내 포스터
ⓒ 최우현
 
이들뿐만 아니다. 조금 더 범위를 넓혀보면 2015년 아베 총리가 '집단적 자위권 관련 법제'를 강행 통과시킬 당시, 이를 반대하며 일본 국회의사당 앞을 매운 시민들(2015년 8월 31일), "한국은 적인가?"라는 구호를 외치며 아베 정부의 평화 말살과 전쟁 가해책임을 지적한 일본의 지식인들도 모두 현대판 와다쓰미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 같은 개인·단체들의 규모가 결코 크다고 볼 순 없다. 그러나 1949년 당시 일본인들의 마음을 울린 것은 불과 75명의 학도병 수기였다. 이들의 수기가 일본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이 전몰 학도병, 즉 '와다쓰미'들이 일본을 대표할 만큼 성공하거나 대중적인 부류여서가 아니었다. 평화에 대한 솔직한 동경, 전쟁에 대한 두려움, 비판을 이야기해줬기 때문이다.

여기, 마치 지금의 아베 정부를 향해 남기는 듯한 학도병의 수기가 있다.
 
"그들은 정복감 외에는 없는 것 같다. 모든 걸 빨갛게 칠해버리는(일본 영토로 만듦) 것밖에 생각할 줄 모른다. 이래서야 과연 성전(聖戰)이라 할 수 있을까." -히라이 세쓰조(1942)

"솔직히 말한다면, 정부여. 일본이 지금 수행하고 있는 전쟁은 승산이 있어서 하고 있는 것인가. 언제나 막연한 승리를 꿈꾸며 싸우고 있는 건 아닌가. 국민에게 일본은 반드시 이긴다고 단언할 수 있는가. 언제나 이 단언을 위해 엄청 무리에 가까운 조건을 붙이고 있는 것은 아닌가." -마쓰오카 긴페이(1945)

- 출처: <들어라 와다쓰미의 소리를>, 일본전몰학생기념회, 한승동
역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