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 7. 29. 유엔군이 진주 부근 마을에서 사로잡은 부역자 혐의자를 산으로 연행하고 있다.ⓒ NARA
(* 이 기사 안에는 학살 현장 사진이 담겨 있습니다. 심약하신 분들은 보지 마시길 권합니다)
언어와 시대상
"언어는 시대상을 반영한다"고 한다. 곧 그 시대에 유행하는 말을 분석해 보면 사회상을 짐작할 수 있다는 말이다. 나는 한국전쟁 중인 1952년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1958년에 졸업했다. 그러니까 나의 소년시절은 한국전쟁 중이거나 휴전 직후였다.
그 시절 사람들이 자주 썼거나 유행한 말은 '공갈치다', '얌생이 몰다', '골로 간다' 등이었다. 그때 사람들은 그런 말을 자주 뱉었다. 대학 재학시절 조동탁(시인 조지훈 본명) 선생으로부터 그 말의 어원을 자세히 배운 적이 있었다.
조 선생은 한국전쟁 당시 종군작가단으로, 전란 현장에서 생생한 장면을 여러 편의 시에 담았다. <다부원에서> <도리원에서> <죽령전투> <서울에 돌아와서> 등으로, 선생은 강의시간이면 당신의 자작시들을 학생들에게 자주 낭독해주셨다. 그러면서 당신이 겪은 한국전쟁 당시의 체험담과 그 시대 유행어의 유래도 들려주셨다.
나는 그제야 그 말들의 뜻과 실체를 적확히 알고는 그 시대가 야만과 공포의 시절이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됐다. 그때 사람들은 목구멍에 풀칠을 하거나 구차한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부도덕한 일들도 별 죄의식 없이 함부로 저지르기도 했다.
유행어 '공갈치다'의 공갈(恐喝)이라는 말은 "공포를 느끼도록 윽박지르며 을러댐"을 뜻했다. 한국전쟁 전후 그 시절은 군경이나 우익단체 회원들은 민간인에게 총구를 겨냥하면서 공갈치는 일들도 흔했기 때문에 그 말이 매우 유행했다. 그래서 그 말을 자주 쓰자 나중에는 그 어의가 평가절하로 거짓말하거나 과장한다는 말로 폭락했다.
'얌생이 몰다'는 말의 유래는 한국전쟁 당시 부산 교외에 사는 어떤 사람의 염소가 어느 날 미군부대 안으로 들어가서 풀을 뜯고 있었다. 그러자 그는 부대 보초에게 그 사실을 말한 뒤 허가를 받고는 부대 안으로 들어갔다. 그는 자기 염소를 몰고 나오면서 견물생심으로 그 참에 미군 보급품을 잔뜩 훔쳐 나왔다. 여기에 재미를 들인 그는 다음부터 일부러 염소를 미군 부대 안으로 들여보낸 뒤 그것을 찾으러 들어가는 핑계로 그런 짓을 거듭했다. 그래서 얌생이 몰다는 말은 '도둑질하다', '남의 물건을 훔치다'는 말이 된 것이다.
언어와 시대상
"언어는 시대상을 반영한다"고 한다. 곧 그 시대에 유행하는 말을 분석해 보면 사회상을 짐작할 수 있다는 말이다. 나는 한국전쟁 중인 1952년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1958년에 졸업했다. 그러니까 나의 소년시절은 한국전쟁 중이거나 휴전 직후였다.
그 시절 사람들이 자주 썼거나 유행한 말은 '공갈치다', '얌생이 몰다', '골로 간다' 등이었다. 그때 사람들은 그런 말을 자주 뱉었다. 대학 재학시절 조동탁(시인 조지훈 본명) 선생으로부터 그 말의 어원을 자세히 배운 적이 있었다.
조 선생은 한국전쟁 당시 종군작가단으로, 전란 현장에서 생생한 장면을 여러 편의 시에 담았다. <다부원에서> <도리원에서> <죽령전투> <서울에 돌아와서> 등으로, 선생은 강의시간이면 당신의 자작시들을 학생들에게 자주 낭독해주셨다. 그러면서 당신이 겪은 한국전쟁 당시의 체험담과 그 시대 유행어의 유래도 들려주셨다.
나는 그제야 그 말들의 뜻과 실체를 적확히 알고는 그 시대가 야만과 공포의 시절이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됐다. 그때 사람들은 목구멍에 풀칠을 하거나 구차한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부도덕한 일들도 별 죄의식 없이 함부로 저지르기도 했다.
유행어 '공갈치다'의 공갈(恐喝)이라는 말은 "공포를 느끼도록 윽박지르며 을러댐"을 뜻했다. 한국전쟁 전후 그 시절은 군경이나 우익단체 회원들은 민간인에게 총구를 겨냥하면서 공갈치는 일들도 흔했기 때문에 그 말이 매우 유행했다. 그래서 그 말을 자주 쓰자 나중에는 그 어의가 평가절하로 거짓말하거나 과장한다는 말로 폭락했다.
'얌생이 몰다'는 말의 유래는 한국전쟁 당시 부산 교외에 사는 어떤 사람의 염소가 어느 날 미군부대 안으로 들어가서 풀을 뜯고 있었다. 그러자 그는 부대 보초에게 그 사실을 말한 뒤 허가를 받고는 부대 안으로 들어갔다. 그는 자기 염소를 몰고 나오면서 견물생심으로 그 참에 미군 보급품을 잔뜩 훔쳐 나왔다. 여기에 재미를 들인 그는 다음부터 일부러 염소를 미군 부대 안으로 들여보낸 뒤 그것을 찾으러 들어가는 핑계로 그런 짓을 거듭했다. 그래서 얌생이 몰다는 말은 '도둑질하다', '남의 물건을 훔치다'는 말이 된 것이다.
1950. 9. 29. 충주. 주민들이 민간인 학살 암매장 현장에서 시신을 파내고 있다.ⓒ NARA
'골로 간다'
'골로 간다'는 말도 한국전쟁 전후로 매우 흔하게 썼다. 우리 악동들은 상대가 말을 잘 듣지 않으면 "야, 너 골로 갈래?"라고 말했다. 우리 악동들은 '그저 혼내 준다'는 정도로만 알고 무심코 썼다. 그런데 그 말의 어원을 적확히 알고 나니까 참으로 무서웠다.
한국전쟁 전후로 군경의 좌익학살이나 인민군 또는 좌익들의 우익 학살은 매우 심했다. 서로가 '이에는 이, 눈에는 눈으로' 피장파장이었다. 그 무렵 군경이나 우익 청년단 회원들은 좌익은 물론, 그들 가족이나 친구까지도, 심지어 인민군이나 좌익 게릴라들에게 밥을 한 그릇 주거나 감자 한 자루 줬다는 이유로 촌부들을 산골짜기로 데려가서 총살한 뒤 그 자리에다 매장하기 일쑤였다. 그래서 당시 '골로 간다'는 말은 산골짜기로 데려가서 아무도 모르게 죽인 뒤 묻어버린다는 끔찍한 말이었다.
'골로 간다'는 말도 한국전쟁 전후로 매우 흔하게 썼다. 우리 악동들은 상대가 말을 잘 듣지 않으면 "야, 너 골로 갈래?"라고 말했다. 우리 악동들은 '그저 혼내 준다'는 정도로만 알고 무심코 썼다. 그런데 그 말의 어원을 적확히 알고 나니까 참으로 무서웠다.
한국전쟁 전후로 군경의 좌익학살이나 인민군 또는 좌익들의 우익 학살은 매우 심했다. 서로가 '이에는 이, 눈에는 눈으로' 피장파장이었다. 그 무렵 군경이나 우익 청년단 회원들은 좌익은 물론, 그들 가족이나 친구까지도, 심지어 인민군이나 좌익 게릴라들에게 밥을 한 그릇 주거나 감자 한 자루 줬다는 이유로 촌부들을 산골짜기로 데려가서 총살한 뒤 그 자리에다 매장하기 일쑤였다. 그래서 당시 '골로 간다'는 말은 산골짜기로 데려가서 아무도 모르게 죽인 뒤 묻어버린다는 끔찍한 말이었다.
1950. 10. 10. 함흥. 한 동굴에서 민간인 학살자 시신 300여 구를 들것으로 꺼내고 있다.ⓒ NARA
1950. 10. 10. 함흥. 학살 후 우물에 은폐시킨 시신을 주민들이 건져 올리고 있다.ⓒ NARA
1950. 11. 13. 함흥. 덕산 광산 갱도에서 학살된 시신을 주민들이 끌어올리고 있다.ⓒ NARA
나는 조 선생님으로부터 들은 이 말의 실체를 NARA(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와 맥아더기념관에서 등골이 오싹하게, 끝내 눈물을 쏟으면서 숱하게 봤다. 그런데 민간인 학살에는 좌익·우익이 따로 없었다. 산골짜기뿐 아니라, 동네 우물에도, 동굴에도, 광산 갱도에도 마구잡이로 데려가 학살한 뒤 은폐했다.
그동안 분단 시대를 살아야 했던 우리 백성들은 산골짜기로, 우물로, 동굴로, 갱도로, 가지 않기 위해 총구 앞에서 그저 벌벌 떨며 살아왔다. 그래서 우리 사회는 양심대로 정직하게 살았거나, 그렇게 사는 이가 가뭄에 콩 나듯 매우 적었나 보다.
그동안 분단 시대를 살아야 했던 우리 백성들은 산골짜기로, 우물로, 동굴로, 갱도로, 가지 않기 위해 총구 앞에서 그저 벌벌 떨며 살아왔다. 그래서 우리 사회는 양심대로 정직하게 살았거나, 그렇게 사는 이가 가뭄에 콩 나듯 매우 적었나 보다.
1950. 9. 29. 전주. 주민들이 대량 학살된 시신을 발굴하고 있다.ⓒ NARA
이번 회 게재 사진들은 한국전쟁 당시의 민간인 학살 장면만을 모아봤다. 미리 양해 말씀 드릴 것은 사진 뒷면의 설명 영문 캡션에는 가해자에 관한 자세한 기록이 없었다. 그래서 필자는 이 사진에 예단해서 설명을 달지 않고, 단지 거기 기록대로만 박유종 선생의 도움으로 캡션 원문 번역문을 그대로 달았음을 밝힌다.
(* 이 사진들은 필자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및 맥아더기념관을 찾아가서 직접 검색 수집한 것이나 아래 사진은 동일 사건을 연속 촬영한 것으로 재미사학자 고 이도영 박사가 NARA에서 발굴해 생전에 필자에게 제공한 것이다.)
(* 이 사진들은 필자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및 맥아더기념관을 찾아가서 직접 검색 수집한 것이나 아래 사진은 동일 사건을 연속 촬영한 것으로 재미사학자 고 이도영 박사가 NARA에서 발굴해 생전에 필자에게 제공한 것이다.)
1951. 4. 대구 근교. 인민군 부역혐의자들이 산골짜기로 연행되고 있다. ⓒ NARA
1951. 4. 대구 근교. 헌병들의 감시 아래 인민군 부역 혐의자들이 자기가 묻힐 무덤인 줄도 모른 채 삽으로 구덩이를 파고 있다. ⓒ NARA
1951. 4. 대구 근교. 미 군사고문관(맨 왼쪽)이 현장을 지켜보는 가운데 헌병들은 구덩이 속의 부역혐의자를 총살하고자 각자의 카빈(carbine) 총에 탄창을 끼우고 있다. 그제야 무지렁이들도 자기 무덤인 줄 알고는 뒤돌아 엎드리고 있다.ⓒ NARA
1951. 4. 대구 근교. 헌병들이 구덩이 속의 부역 혐의자들을 향해 일제히 사격을 하고 있다.ⓒ NARA
1951. 4. 대구 근교. 헌병들은 구덩이 속의 부역혐의자 총살을 끝낸 뒤 삽으로 흙을 떠서 시신을 덮고 있다. ⓒ NARA
[이전 기사] 동굴 감금 후 죽은 가족, 여인은 오열했다
[리워드 안내]
<오마이뉴스> '좋은 기사 원고료'로 후원해주신 모든 분들께는 '한국전쟁 사진 2매'를 메일로 랜덤 전송합니다. 그 견본 이미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또 후원자 분들을 위해 기자의 저서 <카사, 그리고 나> <백범 김구 암살자와 추적자> <약속> <항일유적답사기>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을 준비했습니다.
종로에서 진행될 '박도 기자와의 차 한잔' 초대권과 강원도 횡성군에서 열릴 '작가와의 대화' 초대장도 리워드로 마련했습니다.
<오마이뉴스> '좋은 기사 원고료'로 후원해주신 독자분들께서는 기자에게 쪽지로 성함과 우편물을 받을 주소,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리워드 발송 기준은 스토리펀딩 기준과 동일함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리워드 안내]
<오마이뉴스> '좋은 기사 원고료'로 후원해주신 모든 분들께는 '한국전쟁 사진 2매'를 메일로 랜덤 전송합니다. 그 견본 이미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또 후원자 분들을 위해 기자의 저서 <카사, 그리고 나> <백범 김구 암살자와 추적자> <약속> <항일유적답사기>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을 준비했습니다.
종로에서 진행될 '박도 기자와의 차 한잔' 초대권과 강원도 횡성군에서 열릴 '작가와의 대화' 초대장도 리워드로 마련했습니다.
<오마이뉴스> '좋은 기사 원고료'로 후원해주신 독자분들께서는 기자에게 쪽지로 성함과 우편물을 받을 주소,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리워드 발송 기준은 스토리펀딩 기준과 동일함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1950.10.31. 원산. 헐벗고 굶주렸지만 웃음은 떠나지 않는 아이들.ⓒ NARA
1950.9. 한 지아비가 시각장애인 아내를 지게에 진 채 피란길을 떠나고 있다.ⓒ NARA
1950.10. 서울 은평. 한 소녀가 동생을 돌보며 불타버린 야외교실에서 수업을 받고 있다.ⓒ NARA
1953.2.19. 전란 중이지만 설빔을 차려 입은 천진난만한 소녀들이 민속놀이의 하나인 널뛰기를 하고 있다.ⓒ NARA
1950.10. 옹진전투에서 한쪽 다리를 잃은 한 국군 특무상사가 목발을 짚은 채 침통한 표정으로 철조망 앞에 서 있다.ⓒ NARA
기자의 저서. 왼쪽부터 <카사, 그리고 나> <백범 김구 암살자와 추적자> <약속> <항일유적답사기>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 박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