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일의 대전환의 경제학] 중국경제의 디플레이션과 G2의 싸움
사실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와 부동산버블, 지방정부와 기업의 고부채, 미국의 경제 제재로 인한 첨단산업의 부진 등은 소위 피크차이나, 즉 중국경제의 고도성장이 끝났다는 평가를 불러일으켜 왔다. 최근에는 많은 전문가들이 플라자합의 이후 디플레이션과 저성장을 겪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얘기하며 비슷한 경로를 걷는 중국경제의 암울한 미래를 점치고 있다.
이러한 중국경제의 부진과 관련해서 서방의 경제학자들은 중국정부가 시장경제에 대한 이해를 통해 올바른 정책을 펼치지 않는다면 영영 미국을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정부실패가 인구감소와 더불어 중국경제의 한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원인이 되리라는 것이다. 다른 국가들과 상이했던 무리한 제로 코로나 정책과, 알리바바 창업자인 마윈의 정부비판에 대한 중국정부의 탄압 등에서 보듯이 지나치게 경직적이고 통제적인 사회경제 정책으로는 민간의 자율과 창의를 기반으로 하는 미국경제를 추월할 수 없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최근의 디플레이션도 중국인들이 막대한 자금을 예금으로 은행에 예치해놓고 소비하지 않기 때문인데 이는 근본적으로 사유재산 보호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경제를 짓누르고 있는 것에 기인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시장의 힘을 거스르는 국가의 통제가 경제를 망친다는 어찌 보면 아주 전형적인 논리이다. 중국식 현대화나 쌍순환, 공동부유 등 그들만의 경제정책 노선을 펼치고 있는 것에 대한 가차없는 비판이다.
중국경제 부진에 경직적이고 통제적 정책 지적한 서방
그러나 미국도 시장을 거스르는 대중국 봉쇄정책 실시
기업도 저항하는 중국봉쇄, 한국경제 방향 예측도 쉽지 않아
여기에 지난 수십 년 동안의 세계화의 결과로 기업들이 누려왔던 비용절감과 효율성 증가의 이점을 언제든 다시 누리고자 하는 힘이 중국 봉쇄에 저항하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이 중간재의 유일한 혹은 가장 저렴한 공급자인 한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변화시키기는 쉽지 않다. 시장의 힘이 미국의 중국 봉쇄정책의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과 중국이 시장의 힘에 맞서 자신들의 이해를 관철시킬 수 있을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한국정부의 최적 정책은 무엇일지, 예측과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