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23년 8월 24일 목요일

우리말 톺아보기 언어생활과 규범

 우리말 톺아보기

언어생활과 규범

입력
 
2023.08.25 04:30
 25면
 3  0

ⓒ게티이미지뱅크

한글맞춤법과 같은 어문규범은 까다롭고 고리타분한 것으로 인식되지만 한편으로는 꼭 지켜야 한다는 인식도 강하다. 이 때문에 국립국어원 국어생활종합상담실로 들어오는 연간 17만~18만 건의 문의 대다수는 어문규범에 대한 문의이다.

한 번은 비속어가 잔뜩 섞인 글의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맞게 쓰였는지 확인해 달라는 문의가 있었다.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에 비속어의 표기에 대해서 '맞다, 틀리다'를 안내하기 어렵다. 띄어쓰기에 대해서는 "원칙은 이것이고, 이것도 허용됩니다"라고 답하자 "원칙으로만 알려주세요"라는 답이 돌아왔다. 비속어라도 맞춤법에 맞게 쓰고 싶고, 띄어쓰기는 원칙에 맞게만 쓰고 싶어 하는, 어문규범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는 일화였다.

실제로, 국립국어원의 '한글맞춤법 영향 평가' 결과에서는 '한글맞춤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의 질문에 '그렇다'는 답변이 84%, '언어생활에서 한글맞춤법을 잘 지키려고 노력하는가'에 '그렇다'는 답변이 66.8%로 나타났다. 한 구직 사이트 설문조사에서도 관심 있는 이성이 채팅에서 맞춤법을 계속 틀리면 호감이 떨어진다는 응답이 88.8%나 되어 언어생활에서 맞춤법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성 통화보다 채팅앱을 이용하는 일이 더 많아진 요즘, 의사소통에서 표기의 중요성이 더 커진 이유도 있을 것이다.

언어규범은 언어생활을 어렵고 불편하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날마다 변하는 언어 현실을 규범이 바로바로 따라가기는 어렵겠지만 국립국어원은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해 언어규범의 현실성과 합리성을 높여 나가고자 한다.

이윤미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