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20년 6월 27일 토요일

콜롬버스부터 핵폭탄까지...인류세에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선

최병두 대구대 명예교수 "자본주의 한계 극복하고 생태적 녹색 전환해야"
더 근본적으로 현 체제를 인류세(anthropocene)로 규정한 후, 인류의 사회와 자연을 이분화해 인간의 자연 지배를 정당화한 서구적 근대론을 버리고, 생태론적 체제로 전환을 전 인류가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6일 서울 서초구 재단법인 숲과나눔 강당에서 열린 ‘코로나19, 전환, 그리고 생명자유공동체’ 공개 포럼에서 인류세의 의미를 짚은 최병두 대구대학교 명예교수는 녹색 전환(최 교수는 그린 뉴딜 개념 대신 녹색 전환 개념을 강조했다)의 필요성을 역설한 후, 현 지구 체제의 중심인 "자본주의적 사회경제체제에 내재한 심각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 인류가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존 체제를 보완하는 수준의 '그린 딜'로는 현 지구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는 지적으로 풀이된다.

강연은 숲과나눔이 주최하고 포럼 생명자유공동체가 주관했다. 생명자유공동체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모든 생명이 자유로운 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는 취지로 만들어진 연구 공동체다. 이번 공개 포럼은 생명자유공동체가 다섯 번째로 마련한 대중과의 대화 장이다. 올해 들어서는 처음 열렸다.

 
▲기후위기는 인류를 위협하는 가장 근본적 위기다. 인류가 지금의 위기를 낳았다. 그 위기의 핵심은 자본주의다. 따라서, 자본주의를 극복하지 않는 한 기후위기 극복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pikist.com

인류가 인류 위협하는 시대

 
코로나19 사태가 크게 보아 기후위기의 한 형태라는 점에서는 대체로 세계의 시각이 일치한다. 인류의 서식지가 커지면서, 종전에는 어느 정도 뚜렷이 구분되던 인간 서식지와 자연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이를 통해 기존에는 인류를 위협하지 않던 바이러스가 퍼진 사태가 코로나19라는 지적이다.

 
이 같은 시각을 확장하면, 이번 위기의 본질은 자연이 아닌 인류에 있음을 확인 가능하다. 인류가 자연을 침공하지 않았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일이 생겨났다는 인식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인류가 인류를 위협'하는 사태가 코로나19의 본질이라는 시각으로 환원 가능하다.

 
인류의 인류를 향한 위협이 더 근본적으로 진행되는 상황이 기후위기라는 본질로도 가닿을 수 있다. 이미 과학자들의 모임인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협의체(IPCC)가 진단했듯, 지구 기온은 산업혁명 이후 약 200여 년간 종전보다 섭씨 1도 상승했으며, 0.5도가 더 오른다면 기후의 이상성은 되돌릴 수 없게 된다. 인류가 자연을 강력하게 통제함에 따라 오히려 인류를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상황이 초래됐다는 얘기다.

 
최병두 교수는 이 같은 관점에서 지금은 인류세를 재인식하고, 인류세를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현재 지질학적으로 인류는 홀로세(holocene, 현세)에 살고 있다. 약 1만 년 전 지구가 빙하기를 끝내고 고온기를 맞이하면서 기후가 온화해지고, 그에 따라 신석기 혁명이 일어나면서 현 인류 문명이 이뤄졌다.

인류세 개념은 지질학적 변화와 관계없이, 2000년 대기 화학자 파울 크뤼천(Paul Jozef Crutzen)이 제안한 가설적 개념이다. 인류가 자연을 바꿀 정도로 힘이 강해진 현대는 종전 홀로세와 구분해 불러야 한다는 뜻에서 제시한 단어다. 인류세가 지질학적으로 엄정한 용어가 아닌 만큼, 인류세의 시작점은 학자에 따라 멀게는 콜럼버스가 북미에 가닿은 1492년부터 증기기관을 본격적으로 사용해 지구 기온을 끌어올린 산업혁명기 등으로 설명된다. 가깝게는 핵에너지가 이전과 이후를 나눈 1950년대 이후를 인류세로 보는 시각도 있다.

 
시작점에 관한 논쟁과 관계없이, 홀로세와 인류세를 나누는 가장 결정적 기준은 결국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격히 치솟고, 그로 인해 지구 기후가 본격적으로 변화하는 시대가 된다. 즉, 인류세 개념을 통칭하는 이들에 따르면 우리는 현재 인류세를 살아가고 있다.

 
최병두 교수는 인류세에 들어 "인간이 지구 시스템 변화의 지배적 추동자가 됐다"며 “오늘날 우리가 경험하는 생태위기는 지구 시스템으로 인해 일어나는 게 아닌, 인류가 '지질학적 수준'으로 일으킨 사회경제적 힘에 의해 일어났다"고 강조했다.

 
▲26일 서울 서초구 숲과나눔 강당에서 열린 최병두 교수의 강연. ⓒ프레시안(이대희)

자본주의가 위기 근본 원인

 
최 교수는 인류세의 핵심 원인으로 자본주의적 산업화 과정을 꼽았다. 콜럼버스로부터 핵에너지에 이르기까지, 이 모든 변화의 원동력은 결국 자본주의 체제로 설명 가능하다. 인간의 무한한 욕망을 긍정하는 자본주의 체제는 이전과 전혀 다른 수준의 대규모 자원 소비의 동력이 됐고, 대량 소비 매커니즘을 만들었다. 이 매커니즘은 기술 발달에 따라 이제 지구적으로 진행된다. 코로나19 사태가 특히 인류에 큰 타격을 입힌 부분은 지구적 자본주의 매커니즘을 공격했다는 데서도 찾을 수 있다. 공장이 멈추고, 비행기가 멈춰 지구적 관광 산업이 붕괴한 현실을 전 인류가 수 개월 째 경험하고 있다.

결국 자본주의 매커니즘이 인류세를 낳았고, 그 결과 인류세가 인류가 인류를 위협하는 시대가 되었다는 지적이다.
"생산-소비를 공통 축으로 전개되는 지구생태계의 순환과 사회경제체계의 순환은 통합적으로 사회-자연 체계를 구성한다. 이러한 통합적 체계 구성에서 어느 한 순환체계는 다른 순환체계에 영향을 미치며 공진화(coevolution)한다. 즉, 한 순환체계의 위기는 다른 순환체계의 위기를 초래한다. 따라서 인간이 자연을 대상화하여 정복하는 것은 자연뿐 아니라, 인간을 대상화하고 지배하려는 것이며, 이는 결국 사회와 자연의 공멸을 의미한다." 
이 같은 문제의식은 필히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이어진다. “자본주의 사회경제체제에서 전개되는 생산과 소비 활동은 자연생태계가 허용하는 범위를 벗어나 지구적 생태위기를 심화한다. (...) 따라서 자본주의 사회경제체제에 대한 관리와 조정 없이 당면한 지구적 생태위기를 기술적으로 극복하기란 불가능하다."

 
생태적 녹색 전환 외에 대안 없다

 
최 교수는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은 결국 녹색 전환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이 전환에 성공해 인류가 지금의 위기를 극복한다면, 인류세의 정의도 새롭게 이해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인류세가 인간의 힘으로 자연을 지질학적 수준으로 바꿔 만들어진 시기라면, 그 위협을 극복하는 시대도 인류세로 명명해야 한다는 뜻이다. 지금의 위기에 압도되지 말고, 의지를 가져야 한다는 뜻으로 읽힌다. 
"인류세는 지구적 생태위기에 처한 인류가 이미 진입한 지질시대라기보다는, 앞으로 인간이 지구상에 만들어내야 할 새로운 생태문명의 대안적 세계를 상징하는 수사 또는 메타포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인류세란 이미 도래했다기보다는, 현재 도래하고 있는, 또는 앞으로 도래할 지질시대다. 이 지질시대의 특성은 현재 인류가 당면한 지구적 생태 위기를 어떻게 성찰하고 이에 대처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류세를 '인간이 만들어갈 새로운 생태 문명 시기'로 만들기 위해 중요한 건, 결국 인류세의 위기를 촉발한 자본주의를 극복해야 한다고 최 교수가 강조한 배경이다. 
"위기에 처한 지구 생태환경에 대한 직접적 처방도 필요하지만, 더 긴요한 것은 이 위기를 초래한 인간의 의식과 (서구 근대성과 자본주의로 대표되는) 사회 구조, 즉 자연과 사회를 구분하는 이원론과 이에 바탕한 자연 지배 의식, 그리고 무한한 성장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사회경제체제에 내재한 심각한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다." 
최 교수는 따라서 작금의 그린 뉴딜로 수사되는 전환이 근본적 녹색 전환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시각에서 현 정부의 뉴딜에는 문제가 많다고 최 교수는 지적했다.

 
최 교수는 우선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한국형 뉴딜을 두고 "(생태위기라는) 위기 근원의 해소와는 무관"한 정책으로 "오히려 비대면의 고착화를 전제한 비생태적 방안"이라고 비판했다.

 
한국 정부 발 그린 뉴딜을 두고도 최 교수는 "그린 뉴딜의 진정한 의미는 기후위기에 대응해 탈탄소 에너지 전환과 이를 통한 불평등 해소"에 있어야 하나, 정부 발 그린 뉴딜은 "과거 정부의 녹색성장에서 대규모 토목사업만 뺀 수준"으로 읽힌다고 개탄했다.


출처: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62618555498028 프레시안(http://www.pressian.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