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준혁 기자
- 입력 2021.11.18 07:36
- 댓글 0
[아침신문 솎아보기]
‘81년생 최수연’에 주목한 동아·한국, 중앙, ‘워킹맘’ 부각
한겨레·경향, 같은 주제 같은 사진으로 윤석열 비판
무너지는 코로나 병상 속 우려 전하는 아침신문들
셜록 보도 이어 간병 문제 기획 보도 나선 경향신문
네이버 사령탑이 바뀌었다. 18일 아침신문들은 ‘81년생 최수연’에 주목했다. 40세 여성 최고경영자(CEO)는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1면을 장식했다.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같은 주제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비판해 눈길을 끈다. 윤 후보가 오로지 ‘반문재인’ 정서에 기대고 있다는 사설을 동시에 낸 것이다. 온라인용으로 송출된 사설 첨부 사진 역시 두 매체는 같은 사진을 골랐다.
‘81년생’에 주목한 동아·한국, ‘워킹맘’ 강조한 중앙
동아일보는 ‘81년생 최수연 네이버 이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1면에 실었다. 동아일보는 “업계에서는 올해 직장 내 괴롭힘 때문에 개발자가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건이 발생한 네이버가 리더십 교체를 통해 강도 높은 경영 쇄신을 꾀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고 바라봤다.
아울러 최수연 신임 대표가 앞둔 과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동아일보는 “새 경영진은 독과점 비판을 해소하면서 회사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고 했다.
중앙일보는 ‘시총 66조 네이버, 새 선장은 40세 워킹맘’이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냈다. 이 기사 역시 1면에 실렸다. 중앙일보는 최 대표가 워킹맘이라는 점을 부각했다.
중앙일보는 “네이버가 81년생 여성 임원을 CEO에 내정했다”며 “한성숙 대표보다 열네 살 아래의 변호사 출신 워킹맘이다. 지난 1999년 네이버 창립 이래 가장 파격적인 변화”라고 전했다.
한국일보는 ‘81년생 CEO 네이버 이끈다’라는 제목을 1면에 실었다. 한국일보는 “1999년 창립된 이후, 꺼내든 가장 파격적인 경영진 쇄신카드”라며 최 대표가 MZ세대(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인 점에 주목했다.
한국일보는 “젊고 역동적인 구성에 나서겠다는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 투자책임자(GIO) 의중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라며 “사내 주축인 MZ세대와 격의 없이 소통해 흐트러진 내부 결속을 다지겠다는 포석도 포함된 것으로 풀이된다”고 보도했다.
다음은 아침신문 1면 머리기사 제목
경향신문 : 정부 오판에 ‘병상 대란’ 또 오나
국민일보 : 던지고 보는 대선 ‘세금공약’ 세수 공백·파장 고민은 없다
동아일보 : “재건축 규제 풀어 집 늘리는 게 맞죠” “다주택 세금 올려 집 내놓게 해야죠”
서울신문 : 서울 중증 빈 병상 67개뿐 현장은 무너지고 있다
세계일보 : 확진 이틀째 3000명대 부스터샷 4개월로 단축
조선일보 : 마늘부터 노트북까지, 한국 덮친 ‘친플레이션’
중앙일보 : 집단격리 요양병원 1년 만에 다시 악몽
한겨레 : 공군 성추행 수사 검사들 “실장님이 불구속 지휘”
한국일보 : 표(票)에 뺏긴 국방
경향‧한겨레, 윤석열 향해 한목소리로 “‘반문’에만 기대”
경향신문은 ‘9·19 합의 파기 윤석열, 반문재인이면 다 된다는 건가’라는 제목으로, 한겨레는 ‘공약 역주행 윤석열, 기댈 게 반문재인뿐인가’라는 제목으로 사설을 냈다.
경향신문은 “이번 대선에서 후보의 외교안보 정책과 식견은 더없이 중요하다. 미국은 물론 중국, 일본 등이 후보들의 한마디 한마디에 귀를 세우고 있다”며 “그런데 윤 후보는 지난 13일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고 했다. 사드 도입으로 벌어진 국내외 갈등을 감안하지 않은 무책임하고 경솔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윤 후보는 27년 동안 검사로 일하다 정치에 뛰어든 지 반년이 못 된다. 윤 후보가 반문재인 정서를 등에 업고 보수 야당 국민의힘의 후보가 된 것은 맞다”며 “하지만 그 정책까지 깡그리 반문재인이어서는 곤란하다. 그래서는 당선돼도 국가를 이끌어나갈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한겨레는 “윤 후보가 원전 건설 재개, 9·19 남북 군사합의 파기, 부동산 대출 규제 완화 등의 약속을 쏟아냈다”며 “대통령이 되면 에너지·남북관계·부동산 등의 정책 기조를 ‘문재인 정부와 반대로’ 잡아나가겠다는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어 “국정에 대한 깊은 고민 끝에 내놓은 정책 공약이라기보다, 정권 말기 ‘반문재인 정서’에 기대 표를 얻어보겠다는 정치적 계산으로 보인다”며 “제1야당의 대선 후보가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 대선에서 현 정부에 대한 거부감에 편승해 무원칙하고 퇴행적인 약속만 쏟아내선 곤란하지 않은가”라고 덧붙였다.
한겨레는 또 “현 정부가 잘못한 것은 엄정히 바로잡되 그 접근은 세밀하고 정교해야 한다”며 “‘문재인 뒤집기’만으로 국정을 운영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무너지는 코로나 병상 속 우려 전하는 아침신문들
‘위드 코로나’ 이후 늘어나고 있는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를 두고 우려를 표하는 목소리도 이날 아침신문에 담겼다.
경향신문은 ‘정부 오판에 병상 대란 또 오나’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단계적 일상회복조치 보름여 만에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도권의 중환자 병상은 포화 상태에 근접해가고 있다”며 “정부는 당초 하루 확진자가 5000명까지 발생해도 문제없이 대응할 수 있는 병상을 확보했다고 했지만, 2000~3000명 수준에도 의료체계에 ‘빨간불’이 들어온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신문은 ‘서울 중증 빈 병상 67개뿐 현장은 무너지고 있다’는 제목으로 우려를 표했다. 서울신문은 “서울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80%를 넘어서면서 병상 부족이 현실화됐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7일 3000명 선을 넘었고 위중증 환자도 522명으로 팬데믹 이후 가장 많이 나왔다”며 “서울의 중환자 병상 345개 중 빈 병상은 67개뿐으로, 80.6%가 찼다”고 했다.
중앙일보는 ‘집단격리 요양병원 1년 만에 다시 악몽’이라는 제목으로 기사를 냈다. 중앙일보는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코호트(동일집단) 격리 중인 요양병원과 요양 시설이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앙일보는 “병상 대란 탓에 확진자를 전담병원 등으로 제때 이송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며 “확진자와 비확진자를 사실상 한데 가두어 두는 코호트 격리로 환자는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고, 감염자가 음성 판정자에게 추가 전파해 집단확진, 집단사망으로 이어지는 지난해 악몽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확진자 5000명 전망까지, 위중증 환자부터 줄여야 한다’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현 방역 상황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조선일보는 “신종 코로나 방역 체계를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지 보름여 만에 주요 방역 지표가 크게 나빠지는 등 적신호가 커졌다”며 “현재의 의료 여건을 고려할 때 이미 비상 수준인데, 이제 겨울의 시작이라 앞으로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셜록 보도 이어 간병 문제 기획 보도 나선 경향
경향신문은 최근 뜨거웠던 ‘간병 살인’에 대한 ‘독박 간병 사회’ 기획기사 1탄을 아침신문에 실었다. 6면 전면을 할애해 관련 기사를 보도했다.
특히 2014년 ‘송파 세 사건’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있는 복지 사각지대에 주목했다. 우리나라 복지 시스템은 선별주의에 기반하고 있는 가운데 여기서 따라오는 신청주의가 이 같은 폐해를 낳았다는 것이다.
경향신문은 “생활고에 세 모녀가 함께 생을 마감한 2014년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복지 사각지대 발굴에 힘쓰겠다’고 해왔지만, 여전히 신청주의의 한계가 드러났다”며 “지자체는 단전·단수 등 위기 신호를 관계기관을 통해 전달받아 위기가정을 발굴하고 있지만, 강도영 씨(간병 살인 청년 가명) 아버지 이름은 숨진 뒤에나 관리망에 올랐다”고 보도했다.
이어 “강 씨 부자의 위기를 먼저 알았을 병원도 재난적 의료비 등 민관 복지체계와 연계해주진 않았다”며 “전문가들은 더욱 촘촘한 발굴체계 및 의료비 지원책 등을 제언했다”고 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