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 박서연 기자
- 입력 2022.01.24 07:49
- 댓글 1
[아침신문 솎아보기] 문 대통령이 보낸 독도 그려진 선물 안 받은 주한 일본대사관
김서중 교수 경향신문 칼럼에서 “언론, 서울신문 ‘편집권 침해’ 보도 나서자”
지난 22일 MBC ‘뉴스데스크’가 “‘너는 검사 팔자다’.. 고비마다 점술가 조언?” 기사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자 측의 ‘무속 의존 논란’을 보도했다. 지난주 MBC ‘스트레이트’에서 윤석열 후보 배우자 김건희씨와 서울의소리 기자의 통화 녹취록을 보도했는데, 통화 내용 중 ‘무속’ 관련 발언을 추가 보도했다.
MBC 보도를 보면 윤석열 후보와 ‘무정’이라는 점술가가 가까운 사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MBC는 기사에서 “김건희씨는 이명수 기자와의 통화에서 무정은 남편 윤석열 후보의 20대 시절부터 이어진 인연이라고 말했다. 고시도, 검사라는 직업 선택도 무정의 말을 따랐고, 그랬더니 정말 그대로 됐다고 말했다. 결혼도 심도사의 조언을 따랐다고 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는 김건희씨가 이명수 기자에게 홍준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이 굿을 했다는 발언도 있었다. 이에 홍 의원과 유 전 의원은 반발했다. 24일자 경향신문은 4면 기사에서 “홍 의원은 이날(23일) 정치 플랫폼 ‘청년의꿈’에 김씨를 향해 ‘거짓말도 저렇게 자연스럼게 하면 어떻게 될지 참 무섭다’며 ‘내 평생 굿한 적 없고 나는 무속을 믿지 않는다’고 적었다”고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이어 “그간 침묵했던 유 전 의원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김씨가 말한 부분은 모두 허위 날조임을 분명히 밝힌다’며 ‘저는 굿을 한 적이 없다. 고발사주를 공작한 적이 없다. 언급할 가치조차 없지만 사실관계를 분명히 알린다’고 밝혔다”고 썼다.
국민일보은 사설에서 “기자의 유도 질문에 답하는 형식이지만 김씨는 ‘(홍준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도) 굿을 했다’는 식으로 말해 당사자들이 거세게 반발했다. 사적 대화의 일부분이고 과장된 발언일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무속인 논란을 정치 쟁점화하려는 측면이 강하고, MBC의 보도 의도도 미심쩍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국민일보는 “그런 점을 고려하더라도 윤 후보 부부 주변의 무속인 논란은 벌써 네 번째다. 지난주에는 ‘건진 법사’라는 인물이 선대위 네트워크본부에서 활동하며 후보 일정 등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국민의 힘은 ‘오해’라며 네트워크본부를 해체해버리는 강수를 뒀다. 국민의힘 후보 경선 TV 토론에서 윤 후보는 왼쪽 손바닥에 ‘왕(王)’자를 적고 나왔다. 누가 이 글자를 적었는지 아직도 루머들이 떠돈다. ‘천공스승’이라는 사람이 윤 후보의 멘토라는 주장도 있었다”고 짚었다.
윤석열 후보가 주변 무속인들을 모두 정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국민일보는 “윤 후보와 국민의힘은 무속인 논란은 오해이며 민주당과 일부 언론의 악의적인 공격이라고 반박해왔다”며 “의혹의 빌미를 준 것은 윤 후보 부부다. 무속인들이 윤 후보 부부에게 어떤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자세한 속사정을 알기는 어렵다.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윤 후보는 주변 무속인들을 모두 정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경향신문도 사설에서 “법원은 김씨 녹음파일 속 무속 관련 발언의 공개를 허용하며 공적인 검증 대상이라고 판단했다. 23일 발표된 한 여론조사에서 윤 후보 부부의 무속인과의 관계에 대해 응답자의 60.7%가 부정적으로 봤다. 법원도 시민도 정치 속으로 들어온 무속이 국정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우려한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자가 제기된 의혹과 진상에 대해 밝혀야 할 의무가 있다고 했다. 경향신문은 이어 “그러나 윤 후보 캠프는 ‘후보·부인·선거본부 모두 무속과 아무 관련이 없다’는 입장만 내놓고 있다. 윤 후보 부부가 직접 무속인들과 교류하고 주술적 행동을 한 정황이 이어지는 데 자초지종에 대한 설명 없이 덮기만 하려는 것은 온당치 않다”며 “윤 후보는 국민적으로 제기된 의혹과 진상에 대해 진솔히 밝힐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이 보낸 독도 그려진 선물 안 받은 주한 일본대사관
지난 18일 청와대는 주한 외교 사절과 코로나19 의료진, 사회적 배려 계층 등 1만5000여명에게 각 지역 특산물을 설 선물로 보냈다. 설 선물을 보낸 대상자에는 주한 일본대사관도 있었는데 그는 선물 상자에 독도 일출 모습이 그려졌다며 청와대에 항의해 문재인 대통령의 설 선물을 받지 않기로 했다. 이 소식은 일본 언론이 보도해 알려졌다.
한국일보는 일본이 옹졸했다고 비판했다. 한국일보는 사설에서 “일본대사관은 ‘독도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억지 주장까지 하며 청와대에 항의했다고 하니 도를 넘은 일본의 트집 잡기가 유감스럽지 않을 수 없다”면서 “임기 100여일을 남겨 둔 청와대가 마지막 설 선물에 굳이 반일 감정을 담아 전달했을 리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문제가 된 선물상자 그림에서 독도 위로 떠오르는 붉은 태양이 일장기를 연상시켜 한국인이 보기에 거북한 게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일보는 이어 “사정이 이런 데도 선물 문제를 공론화시켜 한일 갈등을 부추긴 일본의 저의가 무엇인지 궁금할 뿐”이라고 지적한 뒤 “선물의 적절성 여부를 떠나 일본 대사가 공연히 선물 상자의 그림을 문제 삼아 이를 돌려보낸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옹졸한 행태다. 설 선물마저 외교가 아니라 정치영역에 놓고 정략적으로 이용한다면 한일 관계는 감정적으로 더 멀어질 수 밖에 없다”며 일본을 비판했다.
반면 경향신문은 부적절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경향신문은 5면 기사에서 “하지만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라는 사실과는 별개로, 청와대가 독도 그림이 그려진 대통령의 선물을 주한 일본대사관에 보낸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외교 사절과 국내 인사들에게 모두 전달한 선물이라 일본만을 특정하진 않았지만, 일본대사관 측이 받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청와대가 모를리 없다는 점에서 다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이어 “일본 내에서는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 정부에 청와대가 반격을 가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일각에서는 일본 반발을 예상하고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다”고 썼다.
경향신문은 “이번 일이 일본에 득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정부는 ‘독도에 대한 분쟁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지만, 일본은 독도가 영토분쟁 지역이라는 점을 인식시키기 위해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 문제를 들고나온다. 지난해 11월 미국 워싱턴에서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 이후 일본 측이 김창룡 경찰청장의 독도 방문을 빌미 삼아 공동 기자회견을 보이콧한 것이 대표적인 예”라며 “청와대의 설 선물이 독도를 분쟁지역화하려는 일본의 의도를 도와준 격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김서중 교수 경향신문 칼럼에서 “언론, 서울신문 ‘편집권 침해’ 보도 나서자”
최근 서울신문이 2019년 호반건설이 포스코가 소유한 서울신문 지분을 인수하려던 당시 썼던 검증 기획기사 50여건을 무더기로 삭제했다. 서울신문은 지난해 호반건설을 대주주로 맞이했다. 서울신문 편집국장은 “편집권 침해 문제가 아닌 상생을 위한 판단의 문제”라고 말했으나, 대주주에 불리한 기사를 모두 삭제하기로 결정하면서 대주주의 입맛 따라 움직인다는 비판이 나온다. 검증 기사 삭제 후 서울신문 기자들은 연일 기수별 성명서를 내놓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서중 성공회대 미디어콘텐츠융합자율학부 교수는 24일자 경향신문 ‘미디어세상’ 코너에서 “그런데 더 심각한 현실은 사주가 없는 일부 신문이나 방송, 미디어 전문지를 제외하고는 이를 다루는 언론이 없다는 점”이라고 우려했다.
김서중 교수는 “최근 정용진 부회장의 SNS 발언으로 신세계 주가가 급격히 하락하는 위기를 맞았다. 소위 오너리스크다. 언론의 본질을 침해하는 서울신문 대주주의 행태는 역시 서울신문의 위기 곧 오너리스크다. 그런데 아직까지는 신세계만큼 파장이 없는 듯하다. 이유는? 언론의 보도 유무”라고 주장했다.
사주의 역린을 건드린다고 생각하는 건 아닌지 의심했다. 김 교수는 “혹시 대부분 언론이 서울신문 문제를 보도하지 않는 것은 자사 사주의 역린을 건드린다고 생각해 자발적으로 편집권 ‘침해’를 하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대주주의 지배력이 강한 다른 언론들에서도 사주들의 비리가 은폐되고 있는 건 아닌지 의심해보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언론에 미치는 자본, 사주의 영향력이 더 커지고 이로 인해 신뢰도는 낮아지고 있다. 역시 이로 인해 떠난 수용자는 쉽사리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사주의 위기는 언론계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의 중요한 요인임을 언론인들은 다시 자각해야 한다. 그리고 아프더라도 고름을 짜내고 새살이 돋게 해야 한다”며 “우선 서울신문 ‘편집권 침해’ 보도에 나서자”고 당부했다.
[관련 기사 ; 서울신문, “상생을 위한 판단” 호반 대해부 보도 일괄 삭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