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성노예제 문제가 해결되는 날까지 우리는 변함없이 외칠 것이다.”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5일 낮 12시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열린 1,525차 ‘일본군성노예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이하 수요시위)’에서 이처럼 강조했다.
수요시위는 이날로 30주년을 맞았다.
수요시위는 1992년 1월 8일 한국정신대책문제협의회(현 정의기억연대) 회원 30여 명이 미야자와 기이치 당시 일본 총리 방한을 반대하는 집회로부터 시작했다. 그에 앞서 1991년 8월 14일에 김학순 할머니가 최초로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했다.
30년이라는 긴 시간이 흘렀으나 일본은 여전히 일본군성노예제 문제를 비롯한 범죄에 대해 사죄하지 않고 있다.
이 이사장은 이날 수요시위에서 “기막힌 세월, 경이로운 여정, 믿기지 않는 시간”이라며 30년을 돌아보면서 “30년 세월 동안 일본대사관 앞 거리는 만남과 소통의 장, 이해와 공감의 장, 기억과 교육의 장, 상호돌봄과 상호권한 부여의 장이 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 정부는 진정한 사죄와 반성은커녕 역사를 지우고 피해자들을 모욕하며 평화의 소녀상 철거와 설치방해를 노골적으로 감행해왔다”라면서 일본을 비판했다.
이옥선 할머니는 이날 영상으로 수요시위 30주년 소회를 밝혔다. 이옥선 할머니는 특히 “일본은 우리를 강제로 끌고 가서 고생시킨 적이 없다고 하는데 솔직하게 말하라는 것, 그게 반성”이라고 짚었다.
김재연 진보당 대통령 후보는 수요시위 자유발언에서 “지난 30년간 피해자들과 청년, 대학생 등 시민들은 매주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요구해왔으나, 한국 정부는 피해자와 시민에게만 외롭게 시위를 맡겨두고 관심을 쏟지 않았다”라며 한국 정부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이어 김 후보는 “수요시위 30주년은 신발 끈을 다시 묶는 날이다. 우리의 질주는 결코 여기서 멈출 수 없다”라면서 “앞으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가 끝까지 해결될 때까지 더 큰 힘을 모아 힘차게 달릴 수 있도록 신발 끈을 바짝 묶어 달라”라고 호소했다.
이날 수요시위에는 약 300여 명의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수요시위를 마치고 외교부까지 행진했다.
한편 이날 수요시위는 보수단체들이 기존 수요시위 장소인 평화의소녀상 앞에 집회신고를 먼저 내 자리를 선점하면서 소녀상 앞이 아닌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자주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