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16년 11월 25일 금요일

피의자 박근혜의 체포영장을 청구합니다


등록 :2016-11-25 19:38수정 :2016-11-26 00:02
  • 페이스북
  • 트위터
  • 스크랩
  • 프린트
[토요판] 커버스토리
국민이 쓰는 박근혜 체포영장
대통령 박근혜가 피의자로 입건됐다. 그가 받고 있는 혐의는 뇌물수수, 직권남용, 공무상 기밀누설 등이다. 죄명도 죄명이지만, 의심받고 있는 죄의 내용을 보고 있자면 분노를 넘어 한숨과 탄식이 절로 나온다. 그런데도 피의자 박근혜는 ‘대통령의 불소추 특권’에 기대 검찰 조사를 거부하고 있다. 헌법과 법치주의의 근간을 무시하는 대통령을 헌법으로 보호하는 게 합당한 일일까.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며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 1조를 바탕으로 피의자 박근혜에 대한 가상의 체포영장을 국민의 이름으로 청구한다.
‘피의자 박근혜’는 내란이나 외환죄를 저지르지 않는 한 헌법 84조에 따라 대통령 임기 중에는 재판을 받지 않는다. 검찰은 지난 20일 최순실씨와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을 기소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을 공범으로 지목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23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29일까지 대면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알렸다. 박 대통령은 공식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지만 검찰의 요구가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낮다. 박 대통령은 이미 검찰의 여러 차례 조사 요구를 거부했고, 20일 중간수사 결과가 나온 뒤엔 “검찰 조사에 일절 응하지 않겠다”고 못박은 바 있다.
체포를 해서라도 박 대통령을 조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시민단체와 국회, 심지어 검찰 내부에서도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이 재벌 회장들을 만나 재단 출연금 등을 요구하면서 그 ‘대가’로 무언가를 언급했다면 직권남용이나 강요를 넘어 뇌물수수 피의자가 될 수도 있다. 검찰의 공소장엔 포함되지 않았지만, 국민연금이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에 힘을 실어줬고 이후 삼성이 최순실 모녀에게 35억원을 지원했다. 이 과정에 대통령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도 반드시 밝혀야 할 대목이다.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 당일 7시간 동안 아무런 지시를 내리지 않았던 이유도 밝혀야 한다. 모두 박 대통령이 직접 대답해야 할 내용들이다.
그럼에도 피의자 박근혜는 ‘불소추 특권’ 뒤에 숨어 퇴진은 물론이고 진실을 밝혀달라는 국민의 요구를 무시하고 있다. 대통령으로서 자신이 누리는 권위와 특권들이 모두 국민들이 위임한 것이라는 사실을 잊고 있다. 국민 위에 군림할 수 있는 특권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국민의 이름으로 피의자 박근혜의 체포영장을 쓰는 이유다.
아래 체포영장의 내용 중 ‘피의자의 지위’와 ‘피의사실’은 법원이 공개한 최순실·정호성·안종범의 공소장 내용을 옮겨 적었다. 검찰 공소장엔 포함되지 않은 내용으로 ‘체포를 필요로 하는 사유’를 추가해 국민의 ‘냉철한 분노’를 담았다. 검찰은 박 대통령 등이 미르와 케이스포츠 재단을 설립하면서 대기업들로부터 출연금을 받은 행위에 직권남용과 강요죄를 적용했으나, 체포영장에선 수뢰(뇌물) 혐의를 적용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이 지난 21일 발표한 ‘검찰의 최순실 등 3인 수사결과 발표에 대한 검토 의견서’를 참고했다.
피의자 박근혜의 체포를 필요로 하는 사유 및 범죄사실
Ⅰ. 피의자의 지위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인 피의자 박근혜는 2013년 2월25일부터 대한민국 헌법에 따른 국가원수 및 행정부의 수반이다. 피의자 박근혜는 국민경제의 성장과 안정을 위하여 도시, 주택, 군사시설, 도로 등 사회 간접시설 등 대형 건설사업과 국토개발에 관한 정책, 기업의 설립, 산업의 구조조정, 대외 무역 등 기업 활동에 관한 정책을 최종 결정한다. 또한 물가 및 임금 조정, 고용 및 사회복지, 소비자 보호 등 국민생활에 관한 정책과 통화, 금융, 조세에 관한 정책 등 각종 재정, 경제 정책의 수립 및 시행을 최종 결정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소관 행정 각부의 장들에게 위임된 사업자 선정, 신규 사업의 인허가, 금융지원, 세무조사 등 구체적 사항에 대해 직간접적 권한을 행사한다. 따라서 각종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체들의 활동에 대해 직무상 또는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다.
Ⅱ. 체포를 필요로 하는 사유
1. 조사(출석) 요구 불응
①‘박근혜-최순실 의혹’ 특별수사본부는 11월13일부터 대통령 박근혜에게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를 받을 것을 요구했다. 박근혜의 변호인 유영하는 15일 “대통령에 대한 조사는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②특별수사본부는 11월16일 “18일까지는 대통령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변호인 유영하에게 통보했다. 유영하는 17일 “이번주는 힘들다”며 조사를 거부했다.
③특별수사본부는 11월20일 최순실, 안종범, 정호성을 기소하면서 박근혜를 이들의 공범으로 지목했으며 “박근혜를 피의자로 입건했다”고 밝혔다. 또한 “피의자 박근혜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거듭 조사(출석)를 요구했다.
④피의자 박근혜는 특별수사본부의 중간수사 발표 직후 변호인을 통해 “검찰 조사엔 일절 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⑤형사소송법 200조의 2(영장에 의한 체포) “피의자가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음에도 정당한 이유 없이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2. 강한 혐의 부인
피의자 박근혜는 11월20일 특별수사본부의 중간수사 발표 직후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객관적 증거는 무시한 채 상상과 추측을 거듭해서 지은 사상누각”이라며 혐의를 부인했다.
3. 증거 인멸 우려
‘증거 인멸 및 도주의 우려’는 구속의 사유에 해당하나, 사안의 중대성과 대통령이라는 피의자의 지위를 고려할 때 조속히 피의자 박근혜를 체포해서 수사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피의자 박근혜와 공범인 안종범의 경우 검찰 조사를 전후해 자신의 휴대전화와 이메일을 삭제하라고 시키거나 관련 참고인(피의자)에게 허위 진술을 요구하기도 했다. 피의자 박근혜 역시 자신의 범죄행위와 관련된 증거들을 인멸할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는 검찰의 압수수색에도 비협조로 일관하면서 ‘국가 기밀’을 이유로 검찰의 진입을 막기도 했다.
4. 대국민 약속 파기
피의자 박근혜는 ‘박근혜-최순실 의혹’이 제기된 11월4일 대국민 담화에서 “필요하다면 검찰의 조사에 성실하게 임할 각오”라고 밝혔다. 검찰 특별수사본부의 중간수사 발표로 인해 피의자 박근혜에 대한 조사 필요성은 더 커졌으나 오히려 검찰의 수사 결과를 부인하고 “조사에 응하지 않겠다”며 말을 바꿨다.
5. 직권남용과 강요 혐의가 수뢰(뇌물) 혐의로 바뀔 가능성
①수뢰(뇌물) 혐의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의 문제점
검찰은 피의자 박근혜의 피의사실 1~4에 모두 직권남용과 강요 혐의를 적용했다. 직권남용죄는 “공무원이 직권을 남용해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하거나 다른 사람의 권리 행사를 방해한 경우”를 처벌하는 규정이다. 따라서 직권남용죄가 인정되면 돈을 낸 기업들은 ‘일방적으로 출연을 강요당한 피해자’가 된다.
②왜 수뢰(뇌물) 혐의가 적용돼야 하는가
우선 대통령이 직무와 관련해 돈을 수수하면 ‘대가성의 유무’와 무관하게 뇌물죄가 성립한다. 이는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자금 사건에서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내린 결론이다. “뇌물은 대통령의 직무와 관련해 공여되거나 수수된 것으로 족하다. 개개의 직무행위와 대가적 관계에 있을 필요가 없다.”(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1997년 4월17일 선고) 대통령은 “정부 수반으로서 중앙행정기관의 장을 지휘 감독하여 정부의 중요정책을 수립 추진하는 등 모든 행정업무를 총괄하는 직무를 수행하며 기업체들의 활동에 직무상 또는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위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르재단과 케이스포츠재단에 대기업들이 출연금을 제공한 행위는 ▲피의자 박근혜가 퇴임 후 실질적인 관여 및 소유를 위해 재단을 조성했다면 수뢰(뇌물) 혐의가 ▲피의자 박근혜와 재단이 무관한 관계라면 제3자 뇌물제공 혐의가 적용되어야 한다.
③기업의 출연 전후 상황
피의자 박근혜가 재벌 회장들을 만나 미르와 케이스포츠 출연금을 요구하고(범죄사실 1, 2) 현대차그룹에 케이디코퍼레이션, 플레이그라운드와의 계약을 강요한(범죄사실 3) 시기는 박근혜 정부가 이른바 ‘노동개혁법’ 등을 추진하던 시기와 일치한다. 피의자 박근혜는 2015년 후반기 내내 대국민 담화, 국무회의 등에서 ‘노동개혁법’과 ‘경제활성화법’의 국회 통과를 촉구했다.
미르와 케이스포츠에 돈을 낸 기업들 대부분이 “노사 문제로 경영환경이 불확실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거나 “오너 총수가 수감중이라 경영 전략 수립이 힘들다”는 등 정부에 ‘바라는 점’들이 많았다. 미르와 케이스포츠에 대기업들이 출연금을 낸 이후, 재벌 회장의 특별사면이 시행되고 원샷법 통과 등 규제완화가 실제로 이뤄졌다.
미르에 125억원, 케이스포츠에 79억원을 출연한 삼성그룹의 경우 지난해 5~7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문제로 곤란을 겪고 있었는데, 국민연금이 손실을 무릅쓰고 삼성의 손을 들어주면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그룹 지배력이 커졌다. 삼성은 합병이 이뤄진 후인 지난해 9, 10월 최순실 모녀가 독일에 세운 비덱스포츠에 35억원을 지원하기도 했다.(제3자 뇌물제공 혐의로 추가 수사가 진행 중)
이처럼 미르와 케이스포츠에 적게는 수십억, 많게는 수백억을 낸 대기업들 역시 강요에 의한 ‘피해자’가 아니라 일정한 대가를 바라고 뇌물을 제공한 혐의로 수사를 받아야 마땅하다.
또한 피의자 박근혜가 최순실의 부탁을 받고 롯데그룹 회장 신동빈을 만나 75억원을 요구하고 결국 70억원을 수수한 시기(2016년 3~5월)는 검찰이 총수 비리와 관련해 롯데그룹을 내사하던 때였다. 또한 이 시기 정부는 서울 시내에 4곳의 면세점을 추가로 선정하기로 해 다음달 심사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는데, 이 추가 결정에 따라 신규 특허 취득에 실패했던 롯데와 에스케이가 다시 사업권을 따낼 가능성이 커졌다. 만약 피의자 박근혜가 신동빈에게 ‘수사 무마의 대가’로 75억원을 요구했거나 면세점 추가 결정에 관여했다면 수뢰(뇌물) 또는 제3자 뇌물수수 혐의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피의자 박근혜에 대한 직접 조사가 필요한 이유 중 하나다.
④출석요구 불응, 증거 인멸이 지속될 가능성 증가
수뢰(뇌물)죄의 경우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2조에 따라 수뢰액이 1억원 이상이면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형이 선고된다. 반면 직권남용죄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이 선고된다. 수뢰죄가 적용되면 집행유예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반면 직권남용죄가 적용돼 3년 이하 징역형이 선고되면 집행유예도 가능하다.
6. 헌법(이 규정한 대통령의 의무) 위반
①피의자 박근혜는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의 소추(기소)를 받지 아니한다”는 헌법 84조에 기대 검찰 조사를 거부하는 중이다. 헌법에서 대통령의 ‘불소추 특권’을 보장한 이유는 “국가 원수로서 국가를 대표하는 대통령이라는 특수한 직책의 원활한 수행을 보장하고, 그 권위를 확보해 국가의 체면을 유지할 실제적인 필요성 때문”이지 “일반 국민과 달리 대통령 개인에게 특권을 부여한 것이 아니다”.(헌법재판소 1995년 1월20일 선고)
②피의자 박근혜는 헌정 사상 처음으로 피의자로 입건된 대통령으로, 공무원의 직무와 관련된 죄 중 죄질이 나빠 처벌 수위가 높은 수뢰(뇌물) 혐의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수사기관의 수사 결과를 “사상누각”이라고 비난하면서 출석(조사) 요구에 불응하고 있다. 또한 11월12일 100만명(서울 기준, 주최 쪽 집계), 11월19일 50만명 등 전 국민적인 퇴진 요구에도 전혀 답하지 않고, “탄핵하려면 해보라”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③피의자 박근혜의 이런 행위는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 1조 2항,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는 헌법 11조 1항을 부정하는 것이며, “공무원은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이며, 국민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고 규정한 헌법 7조 1항, “헌법을 준수하고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국민 앞에 선서”한 헌법 69조에 반하는 것이다.
7. 법치주의와 헌법 수호는 피의자 박근혜의 강조 사항
피의자 박근혜는 대통령으로 재직하는 동안 거듭 법치주의와 헌법 수호를 강조했다. 동시에 이를 어길 시엔 엄정하고 예외 없이 법률이 정한 바에 따라 응당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법 앞에 만인은 평등하다는 원칙 아래 공정하고 엄정한 법집행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보다 성숙한 법치주의를 구현해서 국민이 행복한 희망의 새 시대를 열어갑시다.”
<2013년 4월25일 법의 날 축사>
“자유민주주의와 헌법 정신을 부정하는 세력에게는 엄정한 법 집행을 해주기 바랍니다. 법의 권위가 바로 설 때 진정한 사회 통합과 국가발전이 가능합니다.”
<2015년 10월21일 경찰의 날 축사>
대한민국 검찰은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의 위와 같은 지시사항을 예외 없이 수행해야 할 의무가 있다.
Ⅲ. 피의자 박근혜의 피의사실
1. 재단법인 미르 출연금 486억원 수수
*적용 법조: 형법 129조 수뢰(뇌물) 또는 130조 제3자 뇌물제공,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2조 1항 1호 “수뢰액이 1억원 이상인 경우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미르재단 입구.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있는 미르재단 입구.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피의자 박근혜는 2015년 7월24일과 25일 삼성그룹 부회장 이재용, 현대차그룹 회장 정몽구, 씨제이그룹 회장 손경식, 한화그룹 회장 김승연 등 7개 대기업 회장, 부회장 등과 돌아가면서 단독으로 만났다. 이 자리에서 박근혜는 재벌 회장들에게 ‘문화, 체육 관련 재단법인을 설립하려고 하니 적극 지원해 달라’는 취지로 말했다.
기업인들과 면담을 마친 뒤 박근혜는 안종범에게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기업체들로부터 돈을 걷어 각 300억원 규모의 문화, 체육 관련 재단을 설립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최순실(최서원)에게는 “전경련 산하 기업체들로부터 돈을 걷어 문화재단을 만드는데 운영을 맡아달라”고 말했다.
그 뒤 두달 가까이 진척이 없자 최순실은 청와대 부속비서관 정호성에게 “오는 10월말 리커창 중국 총리가 방한하는데, 한중 문화재단 간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것이 좋겠다. 문화재단 설립을 서둘러야 한다”고 했고, 정호성은 이 내용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정호성의 보고를 받은 박근혜는 안종범에게 “리커창 방문시 양해각서를 체결해야 하니 재단 설립을 서둘러라”고 지시했다.
안종범은 2015년 10월19일께 전경련 부회장 이승철에게 “급하게 재단을 설립해야 하니 전경련 직원을 청와대 회의에 참석시켜라”고 지시했고,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 최상목에겐 “300억원 규모의 문화재단을 즉시 설립하라”고 지시했다.
이후 안종범의 지시를 받은 최상목과 청와대 행정관, 전경련 직원 등이 주도해 삼성, 현대차, 에스케이, 엘지 등 9개 그룹에 출연금 분배 등을 준비하던 중 “출연금 규모를 300억원에서 500억원으로 증액하라”는 안종범의 지시에 의해 16개 그룹으로부터 486억원을 적법한 절차도 거치지 않고 모금했다.
2. 재단법인 케이스포츠 출연금 288억원 수수
*적용 법조: 형법 129조 수뢰(뇌물) 또는 130조 제3자 뇌물제공,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2조 1항 1호 “수뢰액이 1억원 이상인 경우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
피의자 박근혜는 2015년 12월 안종범에게 “사무실은 강남 부근으로 알아보라”며 재단의 정관과 조직도, 이사장 및 사무총장 등의 명단을 전달했다. 박근혜가 언급한 임원진 명단과 재단 사업계획서 등은 모두 최순실(최서원)이 작성해 전달한 것이었다.
박근혜의 지시를 받은 안종범은 전경련 부회장 이승철에게 “예전에 말한 대로 300억원 규모의 체육재단도 설립해야 하니 미르 때처럼 진행하라”고 지시했다.
이후 재단법인 미르 설립 과정에 참여했던 16개 그룹으로부터 288억원의 출연금을 모금했다.
3. 케이디코퍼레이션, 플레이그라운드(최순실 및 지인 이권 챙기기) 관련
*적용 법조: 형법 123조 직권남용, 형법 324조 강요
직권남용으로 구속된 최순실씨가 4일 오전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들어서고 있다. 최씨는 이날 사복을 입고 검찰에 출석했다.공동취재사진
직권남용으로 구속된 최순실씨가 4일 오전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들어서고 있다. 최씨는 이날 사복을 입고 검찰에 출석했다.공동취재사진
①피의자 박근혜는 최순실로부터 “딸 정유라의 초등학교 친구의 학부모가 운영하는 회사가 해외 기업이나 대기업에 납품할 수 있게 도와달라”는 부탁을 받고,
2014년 11월27일께 안종범에게 “케이디코퍼레이션이라는 흡착제 관련 기술을 가진 훌륭한 회사가 있는데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하니 현대자동차에게 기술을 채택할 수 있는지 알아보라”고 지시했다. 이후 안종범은 대통령과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정몽구가 만난 자리에 동석해 “케이디코퍼레이션이 좋은 기술을 가지고 있으니 현대차에서 채택해 주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후 현대차와 기아차는 2015년 2월3일께 케이디코퍼레이션과 10억원 상당의 납품계약을 체결했다. 최순실은 이 계약 성사의 대가로 딸 친구의 부모이자 케이디코퍼레이션 대표 이아무개에게서 1162만원 상당의 샤넬백과 현금 4000만원을 받았고, 2016년 5월 대통령의 프랑스 순방에 이 대표를 동행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②피의자 박근혜는 최순실이 설립하고 그의 측근 등이 이사인 플레이그라운드커뮤니케이션즈의 자료를 전달받은 뒤,
2016년 2월15일 안종범에게 “이 자료를 현대자동차 쪽에 전달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2월 중순 8개 그룹 회장들과 단독 면담이 마무리될 무렵 “플레이그라운드는 아주 유능한 회사로 미르재단 일에도 도움을 주고 있어 기업 총수들에게도 협조를 요청했으니 잘 살펴보라”고 지시했다.
이에 안종범은 대통령과 정몽구 회장의 면담에 동행한 현대자동차그룹 부회장 김용환에게 자료를 전달하며 “이 회사가 현대자동차 광고를 할 수 있도록 잘 살펴봐 달라”고 말하며 광고 수주를 요구했다. 이후 현대차그룹은 2016년 4월부터 5월 사이 플레이그라운드와 70억6627만원 상당의 광고 5건을 계약해, 9억1807만원의 수익을 올리게 했다.
4. 롯데그룹으로부터 70억원 수수
*적용 법조: 형법 123조 직권남용, 형법 324조 강요, 형법 129조 수뢰(뇌물) 또는 130조 제3자 뇌물제공,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2조 1항 1호 “수뢰액이 1억원 이상인 경우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
피의자 박근혜는, 재단법인 케이스포츠의 이권에 개입하기 위해 최순실이 설립한 주식회사 더블루케이의 사업계획(5대 거점 체육인재 육성사업을 위해 전국 5대 거점에 체육시설을 세우고 관리를 더블루케이가 맡는다는 내용)을 정호성을 통해 전달받은 뒤,
2016년 3월14일 롯데그룹 회장 신동빈을 만나 “하남시 체육시설 건립과 관련해 75억원을 부담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후 최순실의 지시를 받은 더블루케이 이사들은 3월 중순과 하순 두 차례 롯데그룹 상무 등을 만나 “75억원을 후원해 달라”고 요구했다. 또한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안종범은 케이스포츠 사무총장, 롯데그룹 관계자들과 수시로 전화통화를 하면서 75억원의 지원 여부와 진행상황을 점검했다. 이후 롯데그룹은 6개 계열사를 동원해 2016년 5월25일부터 31일 사이에 케이스포츠에 70억원을 송금했다.
5. 부동산 개발 정보 등 국가기밀을 최순실에게 유출
*적용 법조: 형법 127조 공무상 비밀 누설
피의자 박근혜는 2013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청와대 부속비서관 정호성에게 국토교통부가 작성한 ‘4·1 부동산 종합대책’ ‘복합 생활체육시설 추가대상지 검토’ 문건 등 직무상 비밀에 해당하는 문건 47건을 최순실에게 전달하라고 지시했다.
국토부가 2013년 10월에 작성한 ‘복합 생활체육시설 추가대상지 검토 문건’엔 “수도권에 조성할 복합생활체육시설 후보지로 경기 하남시 미사동, 경기 남양주시 마석우리, 경기 양평군 용문면 등 3곳을 검토했고, 그중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이 최상의 조건을 갖추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최순실은 2008년 6월 하남시 미사동 ‘복합생활체육시설 대상지’에서 500m 떨어진 곳에 건물과 토지를 사들였다가 지난해 4월에 팔아 18억원의 이익을 얻었다.
6. KT 인사 개입 및 광고 발주 압력
*적용 법조: 형법 123조 직권남용, 형법 324조 강요
피의자 박근혜는, 대기업 등의 광고계약을 수주할 목적으로 모스코스와 플레이그라운드를 설립하고 자신의 측근을 대기업 광고업무 책임자로 채용되게 하려는 계획을 세운 최순실의 부탁을 받은 뒤,
2015년 1월과 8월 안종범에게 “이아무개라는 홍보 전문가가 있으니 케이티에 채용될 수 있도록 케이티 회장에게 연락하고 신아무개도 이아무개와 호흡을 맞출 수 있도록 하면 좋겠다”고 지시했다. 이아무개는 차은택의 지인, 신아무개는 최순실 측근의 아내였다.
피의자 박근혜의 지시를 받은 안종범은 케이티 회장 황창규에게 “윗선의 관심사항이다. 이아무개와 신아무개를 케이티에서 채용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후 케이티는 이아무개를 브랜드지원센터장으로, 신아무개를 IMC본부 그룹브랜드지원담당으로 채용했다.
피의자 박근혜는 2015년 10월, 2016년 2월 안종범에게 “이아무개, 신아무개의 보직을 케이티 광고 업무를 총괄하거나 담당하는 직책으로 변경해 주라”고 지시했고, 안종범은 황창규에게 연락해 이아무개를 본부장으로 신아무개를 본부 상무보로 인사발령해줄 것을 요구했다.
피의자 박근혜는 이후 안종범에게 “플레이그라운드가 케이티의 광고대행사로 선정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안종범은 황창규와 이아무개 등에게 이를 그대로 전달·요구하였고, 케이티는 심사 결격 사유가 발견되었음에도 2016년 3월 플레이그라운드를 케이티의 신규 광고대행사로 최종 선정했다. 플레이그라운드는 2016년 8월까지 케이티의 광고 7건을 수주해 5억1600만원의 수익을 올렸다.
7. 포스코에 펜싱팀 창단 압력
*적용 법조: 형법 123조 직권남용, 형법 324조 강요
피의자 박근혜는, 포스코에 배드민턴팀을 창단한 뒤 매니지먼트를 맡아 이익을 취하기로 마음먹은 최순실로부터 기획안을 전달받은 뒤,
2016년 2월22일 포스코그룹 회장 권오준을 만나 “포스코에서 여자 배드민턴팀을 창단해주면 좋겠다. (최순실이 소유한) 더블루케이가 자문을 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요구했다.
포스코는 당시 창사 이래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하는 등 경영 여건이 어려워 46억원에 이르는 여자 배드민턴팀 창단이 부담스러운 상황이었다. 최순실은 포스코가 자신들의 요구를 거절했다는 보고를 받은 뒤인 2월26일 케이스포츠 직원들을 시켜 안종범에게 “포스코에서 우릴 잡상인 취급했다”고 전했다.
안종범은 다시 포스코 경영지원본부장 황은연에게 전화해 “청와대 관심사항이니 더블루케이와 잘 협의하라”고 말했다. 이후 포스코는 최순실 쪽과 협의 끝에 3월15일 ‘2017년부터 비용 16억원을 들여 펜싱팀을 창단하고 그 매니지먼트를 더블루케이에 맡기기로’ 최종 합의했다.
8. 그랜드코리아레저와 더블루케이의 계약 압력
*적용 법조: 형법 123조 직권남용, 형법 324조 강요
피의자 박근혜는, 신규 스포츠단을 만들어 운영을 대행하면서 이익을 취하기로 마음먹는 최순실의 부탁을 받은 뒤,
2016년 1월23일 안종범에게 “그랜드코리아레저(GKL)에서 장애인 스포츠단을 설립하는데 컨설팅 기업으로 (최순실이 소유한) 더블루케이가 적당하다. 더블루케이와 대표이사를 그랜드코리아레저에 소개해주라”고 지시했다.
안종범은 그랜드코리아레저 대표 이아무개에게 전화해 더블루케이 직원의 전화번호를 알려주고 스포츠팀 창단 및 운영에 관한 업무대행 용역체결을 협상하라고 지시했다. 그랜드코리아레저는 한국관광공사의 자회사다.
피의자 박근혜는 그 무렵 안종범에게 “케이스포츠 사무총장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김종에게 소개해주라”고 지시했다. 안종범은 2016년 1월26일 김종과 케이스포츠 사무총장 정현식을 서로 소개시켰다. 최순실 쪽은 그랜드코리아레저에 배드민턴 및 펜싱 선수단 창단과 운영 관련 매년 80억원 상당의 업무대행 용역계약을 체결할 것을 요구했으나, 그랜드코리아레저는 계약 규모가 너무 커 선뜻 이 요구를 들어주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자 김종은 2016년 2월25일 계약금액을 줄인 장애인 선수단 창단 운영에 대한 용역계약을 체결하는 조정안을 제시했다. 이 조정안에 따라 2016년 5월11일께 더블루케이가 선수의 에이전트 권한을 갖는 ‘그랜드코리아레저-선수-더블루케이’ 사이의 3자 계약이 체결되었다.
그랜드코리아레저는 이 계약에 따라 2016년 5월24일께 선수 3명의 전속계약금 명목으로 모두 6000만원을 지급했고, 더블루케이는 에이전트 비용 명목으로 그 절반인 3000만원을 가져갔다.
박현철 기자 fkcool@hani.co.kr
[디스팩트 시즌3#29_내부에서 붕괴하는 박근혜 정권] 바로가기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72021.html?_fr=mt1#csidxaa279aeb3040e55b19bf19f4fa53220 

블룸버그, 이재명 시장 조명, 한국의 트럼프? 샌더스?

블룸버그, 이재명 시장 조명, 한국의 트럼프? 샌더스?


– 차기 대권 3위로 급부상
– 지지도 급상승 청와대의 “똑같은 행태에 신물” 암시
– 이시장, 인기 배경으로 소득 불균형의 심화 꼽아
– 집권시 “기득권 카르텔” 제거, 재벌 해체와 노동자 복지 확대 “혁명적” 제안
블룸버그는 24일 차기 대권주자로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는 이재명 시장과의 집중 인터뷰 기사를 내놨다. ‘유권자들의 분노가 포퓰리즘을 부추기며 ‘한국의 트럼프’ 이재명 시장의 지지율 급부상’이라는 제목의 인터뷰 기사에서 매체는 이재명 시장의 출신 배경과 정치 입문 동기, 그리고 그의 대권도전과 정책등에 대해 상세히 보도했다.
매체는 포퓰리즘이 전세계적으로 탄력을 받는 가운데 이재명 시장이 부정부패와 일자리 부족에 대한 한국인들의 분노에 가까이 다가가고 있으며 이는 그에 대한 지지도의 급상승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은 지난주 대선후보 여론조사에서 3위로 입성하며 한국의 제1야당인 민주당의 대선후보가 되기 위해 문재인 전 대표와 경선을 치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시장의 급부상은 그의 지지자들이 청와대의 똑같은 행태에 신물이 났다는 것을 암시하는 듯 하다” “기득권 세력에 대한 유권자들의 반감이 충분히 커져서 급기야 기득권에 항의하는 의미로 포퓰리스트를 선출할 지도 모르며, 이 시장이 그 주인공이 될 수 있다” 는 스티븐 워드 조선대 정치학과 교수의 말을 인용, 이 시장의 급부상론을 설명했다.
이어 이 시장은 자신의 인기 배경으로 소득불균형의 심화가 자리잡고 있으며 집권시 박정희를 포함한 독재자들을 양산하고 민주주의 체제로의 변화에서 살아남은 “기득권 카르텔”을 제거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시장은 또한 재벌 해체와 노동자들을 위한 복지 급여 확대가 포함된 “혁명적” 변화를 설명했으며, 경제 성장의 둔화에 대한 책임은 재벌이 이끄는 경제구조에 있다고 비난하는 한편 한국 사회를 심장만 지나치게 비대해져서 몸의 다른 부위에는 피가 공곱되지 않아 죽은 사람에 비유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이시장이 한미동맹이 강화를 역설하면서 과거 한국 식민지배에 대한 반성이 충분치않은 일본에 대해서는 안보의 적으로 명명되어야 한다고 대북, 대외정책에 대해 피력했다고 전했다.
매체는 이 시장이 박근혜를 기득권에 속한 “오만한” 범죄자라고 칭하고 “박근혜가 청와대를 나가는 순간 수갑을 차고 감옥에 가는 것을 국민들에게 확실히 보여줄 필요가 있다”며 “우리는 법 앞에 모든 사람이 평등하고 잘못을 한 이는 반드시 처벌받는다는 것을 국민에게 생생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전하며 기사를 마무리 했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블룸버그 기사 전문이다.
번역 감수 : 임옥
기사 바로가기 ☞ http://bloom.bg/2gFx4OF
‘Korea’s Trump’ Rises in Polls as Voter Anger Fuels Populism
유권자들의 분노가 포퓰리즘을 부추기며 ‘한국의 트럼프’ 이재명 시장의 지지율 급상승
Sam Kim
November 24, 2016 — 1:00 PM PST Updated on November 24, 2016 — 6:17 PM PST
bloomberg_1124_2015_1
bloomberg_1124_2016_2
Lee Jae-myung. Photographer: SeongJoon Cho/Bloomberg
• Lee wants to meet North Korean leader, break up conglomerates
• City mayor moves up to third in polls for next president
이재명 시장, 북한 지도자와의 만남 및 재벌 해체 추진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 조사에서 3위에 올라
He respects Donald Trump and enjoys being compared to Bernie Sanders.
그는 도널드 트럼프를 존중하고 버니 샌더스와 비교되는 것을 즐긴다.
Lee Jae-myung, mayor of a city near Seoul, is rising in opinion polls with about a year to go until South Korea’s next presidential election. He wants to break up the country’s biggest companies, meet unconditionally with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and throw President Park Geun-hye in jail over an influence-peddling scandal.
한국의 차기 대선까지 약 1년을 남긴 가운데 서울 근교에 위치한 성남시의 이재명 시장은 대권후보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지지도의 급상승을 보이고 있다. 이 시장은 국내 최대 기업들을 해체하고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과 조건없이 만나며 불법적 영향력을 행사한 스캔들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을 감옥에 보내기 원한다.
“Americans impeached their establishment by electing Trump,” Lee, 52, said in an interview Wednesday at his office in Seongnam city. “Our own elections will mirror that.”
“미국인들은 트럼프를 대통령으로 선출함으로써 기득권을 탄핵했다”고 이재명 시장(52세)이 수요일 성남시 집무실에서 행한 인터뷰에서 말했다. “우리 대선도 이를 반영할 것이다.”
With populist movements gaining traction globally, Lee is tapping into anger in South Korea over corruption and a lack of jobs. In recent weeks, Seoul has seen some of the biggest protests since the 1980s as ordinary Koreans decry the links between politicians and big business that have stifled competition in Asia’s fourth-biggest economy. Park’s approval dropped to a record low of 4 percent this week, Gallup Korea said Friday.
포퓰리즘이 전세계적으로 탄력을 받는 가운데 이 시장은 부정부패와 일자리 부족에 대한 한국인들의 분노에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최근 몇 주 한국에서는 정치인들과 대기업들 간의 정경유착으로 아시아 4대 경제대국에서 어떤 경쟁도 허용되지 않았던 상황을 일반 시민들이 공공연히 비난하는 가운데 1980년대 이래로 최대 규모의 시위가 열리고 있다. 금요일 갤럽 코리아의 조사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이번주 4%로 급락하며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Lee — nicknamed “Korea’s Trump” by some of his supporters — moved into third place in presidential polls released in the past week, behind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Ban Ki-moon and front-runner Moon Jae-in, the runner-up to Park in 2012. While Lee has declared his candidacy, neither Ban nor Moon have committed to running. Lee expects to compete with Moon to be the candidate for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of Korea.
일부 지지자들로부터 “한국의 트럼프”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이재명 시장은 지난주 대선후보 여론조사에서 3위로 입성하며, 가장 유력한 대선후보이자 2012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에게 패한 문재인 전 대표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뒤를 잇고 있다. 이 시장이 대선출마를 공언한 반면 반 총장과 문 전 대표는 대선출마에 대해 확답을 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시장은 한국의 제1야당인 민주당의 대선후보가 되기 위해 문 전 대표와 경선을 치를 것으로 예상된다.
While an election is currently a year off, the timetable could quickly accelerate. If Park were to resign or be removed from office, an election would be held within 60 days.
대선은 현재로서 일 년 남짓 남아 있지만 그 일정은 빠르게 가속화될 수도 있다. 박 대통령이 사임 또는 퇴진하게 되는 경우, 60일 내에 대선이 치러질 것이다.
“Lee’s fast rise does seem to suggest that his supporters are sick of business as usual in the Blue House,” said Steven Ward, who teaches political science at South Korea’s Chosun University. “Voter discontent with the establishment very well might be high enough to propel a populist into office on the protest vote, and Lee could be that person.”
“이 시장의 급부상은 그의 지지자들이 청와대의 똑같은 행태에 신물이 났다는 것을 암시하는 듯 하다”고 한국 조선대학교의 스티븐 워드 정치학과 교수가 말했다. “기득권 세력에 대한 유권자들의 반감이 충분히 커져서 급기야 기득권에 항의하는 의미로 포퓰리스트를 선출할 지도 모르며, 이 시장이 그 주인공이 될 수 있다”
Working-Class
노동자 계층
Unlike U.S. President-elect Trump, Lee, a former lawyer, comes from a working-class family. His left arm remains twisted after it was pressed under a machine in a factory accident when he was a teenager.
변호사로 일했던 이 시장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와는 달리 노동자 계층의 가족에서 자라났다. 이 시장의 왼팔은 십대 때 공장에서 일하다가 프레스 기계에 낀 사고로 여전히 비틀려 있다.
He entered politics a decade ago after working as a human rights lawyer in Seongnam — a city that grew with an influx of workers unable to afford homes in Seoul during the country’s high-growth years. With a population of one million, the city now generates some of the highest tax revenue in the country and houses technology companies such as Naver Corp., the nation’s biggest portal website.
이 시장은 한국의 고도성장기에 서울의 집값을 충당할 수 없었던 노동자들의 유입으로 성장한 성남시에서 인권변호사로서 일했으며 십 년 전 정계에 입문했다. 백만 인구를 가진 성남시는 전국 최대 세수를 기록하며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 네이버를 비롯한 기술기업들이 그곳에 자리잡고 있다.
Lee and Trump both use social media to harangue critics and communicate with supporters. During a public speech in September, Lee told a woman her son would die as tragically as the victim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fter she complained about a yellow-ribbon pin he wore in memory of the catastrophe.
이 시장과 트럼프 당선자 모두 자신의 비평가들을 향해 열변을 토하고 지지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SNS를 활용한다. 이 시장은 지난 9월에 있었던 연설 중, 자신이 달고 있던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는 노란리본에 대해 불만을 표시한 한 여성에게 당신의 아들도 세월호 희생자들만큼 비극적으로 죽을 수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In 2004, when he was working as a lawyer, Lee got into a scuffle in the city council chamber when he was protesting a decision not to build a hospital. He went into hiding in a cramped church basement room, where he said he decided to seek office. He received a fine after turning himself in.
2004년 이 시장이 변호사로 일하던 당시, 공공의료기관을 짓지 않기로 한 결정에 항의하며 그는 시의회에서 몸싸움을 벌였다. 비좁은 교회 지하방에서 숨어 지내는 동안 그는 시장에 출마하기로 결심했다. 그 후 이 시장은 자수를 했고, 그에게 벌금이 부과되었다.
After running unsuccessfully for mayor in 2006, Lee was elected in 2010.
2006년 시장선거에 실패한 이후 2010년 그는 성남시장에 당선됐다.
‘Revolutionary’ Change
‘혁명적’ 변화
Lee said growing income disparities offered him a chance and that South Koreans shouldn’t repeat the mistake of American voters, who chose Hillary Clinton over Sanders in the Democratic primary.
이 시장은 본인의 인기 배경에는 소득불균형의 심화가 자리잡고 있으며, 미국 유권자들이 민주당 경선에서 버니 샌더스가 아닌 힐러리 클린턴을 선택한 실수를 한국인들은 되풀이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Lee invoked Philippine President Rodrigo Duterte in saying that, if he became president, he’d eliminate an “establishment cartel” that had catered to dictators including Park’s father, Park Chung-hee, and which survived the country’s shift to democracy.
이 시장은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를 예로 들며, 자신이 대통령이 된다면 박근혜의 아버지인 박정희를 포함한 독재자들을 양산하고 이후 민주주의 체제로의 변화에서 살아남은 “기득권 카르텔”을 제거하겠다고 말했다.
His proposal for a “revolutionary” change includes dividing up family-run conglomerates, known as chaebol, and expanding welfare payments for workers. He blames slowing growth on the chaebol-led economy, likening the nation to a man whose heart has grown so big that other parts of the body die from a lack of blood.
이 시장이 제안하는 “혁명적” 변화에는 가족 경영의 재벌들을 해체하고 노동자들을 위한 복지 급여를 확대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는 경제 성장의 둔화에 대한 책임이 재벌이 이끄는 경제구조에 있다고 비난하며 한국 사회를 심장만 지나치게 비대해져서 몸의 다른 부위에는 피가 공급되지 않아 죽은 사람에 비유했다.
Northern Neighbor
북쪽 이웃
Lee said he wouldn’t hesitate to seek a summit with North Korea if he became president, and would be able to work with Trump should he open negotiations with the isolated nation.
이 시장은 그가 대통령이 된다면 북한과의 정상회담 개최를 망설이지 않을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이 그 고립된 국가와 협상할 의향이 있다면 그와 함께 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I’m hopeful about Trump,” Lee said. “He sounds brash, but I expect him to be a rational man sensitive to his interests at the end of the day, and he will know America’s interests lie in talking North Korea out of advancing its nuclear arms and selling them to others.”
“나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희망적”이라고 이 시장이 말했다. “그는 표현이 거칠지 몰라도 나는 그가 결국 자신의 이익에 민감한 합리적인 사람일 것으로 기대하며, 북한과 대화하여 더 이상 핵무기를 개발하고 타국에 판매하는 일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미국의 국익을 위한 것임을 그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U.S.-South Korea alliance should strengthen, he said, Japan should be dubbed a security foe because it hasn’t shown enough contrition for its aggression against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이 시장은 한미동맹이 강화되어야 하는 반면, 20세기 초 한국 식민지배에 대한 일본의 반성이 충분하지 않았으므로 일본은 안보의 적으로 명명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He called Park a “haughty” criminal who belongs to the establishment. Park has denied she coaxed conglomerates into donating tens of millions of dollars to foundations controlled by her friend, Choi Soon-sil. She has admitted to allowing Choi to interfere in government affairs and apologized twice to the nation.
그는 박근혜를 기득권에 속한 “오만한” 범죄자라고 칭했다. 박근혜는 재벌들이 자신의 친구 최순실이 관리하는 재단들에 수천만 달러를 기부하도록 강요한 혐의를 부인했다. 박근혜는 최 씨가 국정에 개입한 사실을 인정하며 국민들에게 두 번 사과했다.
While there’s no sign Park is considering resigning, parliament has agreed to appoint a special prosecutor and is moving to impeach her. She has about 15 months left in her single, five-year term.
박근혜가 사임할 의사가 없어보이는 가운데 국회는 특검 지명에 동의했고 탄핵을 추진하려 한다. 박근혜는 5년 단임 임기 중 약 15개월을 남겨두고 있다.
“We need to make sure people see Park handcuffed and jailed the moment she leaves the Blue House,” Lee said. “We need to show that all men are equal under law and must be prosecuted for wrongdoing.”
“박근혜가 청와대를 나가는 순간 수갑을 차고 감옥에 가는 것을 국민들에게 확실히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이 시장은 말했다. “우리는 법 앞에 모든 사람이 평등하고 잘못을 한 이는 반드시 처벌받는다는 것을 국민에게 생생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번역 저작권자: 뉴스프로, 번역 기사 전문 혹은 일부를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십시오.]

유엔 안보리 대 조선 제재결의안 완전 파탄인가 유지인가

유엔 안보리 대 조선 제재결의안 완전 파탄인가 유지인가
이용섭 기자 
기사입력: 2016/11/26 [10:45]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인 마리아 자하로바는 새로운 대 조선 제재결의안이 유엔안전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과 안보리 이사국들 사이에 합의 통과를 하는데 러시아 국내와 이사국들과의 의견수럽이 더 필요하다고 러시아의 입장을 전하였다.     © 이용섭 기자

조선이 《핵탄두 폭발시험》을 한 지도 벌써 77일 근 3개월여가 다 되어오고 있다. 이전 2016년 1월 6일 《수소탄 시험》과 2월 7일 인공지구위성《광명성 4호》발사를 단행한 후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는 강력한 대 조선 제재안 마련에 들어갔다. 하지만 당시 자칭 세계최강이자 지구상의 <유일초대국>이라고 자랑하는 미국과 세계 제2위의 경제강국이라고 우쭐대는 일본, 그리고 20세기 중반 이후 경제후진국에서 중진국 더 나아가서 선진국대열에 들어선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모범사례로 꼽히는 한국이 세계 이곳 저곳을 돌아다니면서 《핵 시험》과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여 세계에 대고 도발을 일삼고 있는 조선에 대해 강력한 제재를 해야 한다고 몰아붙였다.

국력이 약한 유엔 회원국들에게는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 대내면서 대 조선 제재에 동참하라고 거의 강박하다시피 하였다. 물론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 성원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을 하면서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대 조선 고립압살정책을 내오기 위해 분주하게 동분서주 하였다. 그리하여 《수소탄 시험》을 단행한지 59일, 인공지구위성《광명성 4호》를 발사한 지 26일이 되는 2016년 3월 2일 "유엔 안보리 제재안 2270호"가 안보리 상임 이사국 5개국을 포함하는 15개 안보리 이사국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

당시 년초부터 조선이 단행한 《수소탄 시험》과 소위 장거리 미사일(물론 미국 NASA나 국제 우주과학기술계는 인공위성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광명성 4호》발사하자 미국을 위시한 제국주의 연합세력들과 그 추종국가들은 불에 댄 송아지 마냥 이리 뛰고 저리 뛰면서 세계가 금방 무너질 듯 소란을 피우면서 강력한 대 조선 제재안을 내와야 한다고 부산을 떨었다. 그래서 나온 지금까지 있어보지 못한 강력한 대 조선 《안보리 제재안 2270호》가 나오게 되었다. 유엔 안보리 제재안 2270호가 나오자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에서는 이제 조선은 곧 경제적으로 무너져 내리고 세계 앞에 허리를 굽히고 나오리라고 망상을 하였다.

당시《유엔 안보리 제재안 2270호》에 대한 미 유엔 주재 대사 서멘사 파워의 평을 보면 "지난 20년 이래 가장 강력한 제재안"이라고 희색이 만면하였다. 또 한국 외교부의 평을 보면 "과거 네 차례의 대북제재 결의안에 있는 '빈 틈'을 없애기 위한 조항들을 포함하고 있다."면서 그 역시 조선이 곧 망할 것처럼 호들갑을 떨었다. 물론 제재안만 보면 그 동안 있어왔던 2006년 1718호, 2009년 1874호, 2013년 2094호, 2013년 2087호에 비교하면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이 그렇게도 호들갑을 떨만큼 강력한 것이었다.

그리도 역사상 있어보지 못할 만큼 강력했다고 하는 《유엔 안보리 제재안 2270호》를 내온 지 벌써 9개월이 다 되어오고 있다. 하지만 현재 조선의 사정은 어떤가. 미국과 일본, 한국 그리고 그 추종나라들이 그토록 강력한 제재안이라고 호들갑을 떨었건만 조선은 하루가 다르게 전변을 하고 있다고 조선을 방문한 재외 동포들이나 외국인들의 한결같은 평이다.

조선은 그토록 역사상 있어보지 못한 초강력 제재안이라고 하는《유엔 안보리 제재안 2270호》가 나오자 마자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려명거리》건설을 발기하고 곧 착수를 하여 함경북도 홍수피해가 나기전까지 방대한 건축물의 골조공사를 거의 마무리한 상태였다. 물론 현재는 홍수로 인해 집을 잃고 한지에 나 앉은 인민들이 추위가 오기전에 살림집을 건설해서 입주시켜야 한다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제안에 의해 함북도 북부국경지대 6개 시군의 홍수피해복구를 위해 《려명거리건설돌격대》가 즉시 투입이 되었기 때문에 잠시 멈춘 상태에 있다. 당연히 함북도 홍수피해복구가 완료되면《려명거리건설돌격대》는 곧바로《려명거리》건설에 다시 투입되어 건설완공을 다그칠 것이다.

함북도 홍수피해지역에는 조선의 전 건설력량을 총동원하다시피 하였다. 건설력량 뿐 아니라 온 나라의 농업, 기초공업, 경공업 부분이 총동원되다시피 하여 홍수비해복구 시작 50여 일만인 지난 11월 18일까지 11,900여 세대의 살림집건설공사를 마무리하고 11월 19, 20일에 피해주민들이 입주를 하였다.
이렇듯 유엔 안보리가 제 아무리 강력한 제재안이요, 역사상 있어보지 못한 제재요 하면서 제재안을 내와도 조선에게는 그 어떤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현실에서 증명해주고 있다. 결국 지난 3월 2일에 내온 유엔 역사상 있어보지 못한 초강력 《유엔 안보리 제재안 2270호》은 현 시점에서 아무런 쓸모가 없는 무용지물 제재안이 되고 말았다.

지금까지 유엔 안보리를 동원하여 대 조선 제재안을 2006년 이후 5차례나 되지만 그 제재안들이 하나 같이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 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하지만 지나간 역사와 사례에서 교훈을 찾을 대신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은 또 다시 대 조선 유엔 제재안을 내오기 위해 동분서주 하고 있다. 즉 지난 9월 9일 조선이 실시한 《핵탄두 폭발시험》에 대응해서 새로운 유엔 안보리 차원의 제재안을 내오기 위해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만약 새로운 제재안이 나온다 한 들 조선에게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지에 회의론이 세계 많은 나라들에 회자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벌써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들 사이에서도 완전한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물론 남쪽의 보도들을 보면 대 조선 유엔 안보리 제재안이 그것도 이전보다 더욱더 강력한, 이전의 강력했던 제재안의 틈을 메우는 제재안이 나올 듯 선전전을 벌이고 있지만 현실을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한국의 주류 언론 보도들도 그 사실을 전하고 있다.

언론들은 어제 날짜로 미국과 중국이 대 조선 결의안에 합의를 했다고 대대적으로 보도를 하였다. 따라서 다음주 정도면 대 조선 유엔 제재결의안이 채택될 것이라고 한껏 기대감을 부풀리고 있다. 하지만 또 다른 보도의 속내를 들여다 보면 한국 주류 언론들의 대대적인 보도와는 다른 기류가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새로운 대 조선 제재안에 대해 딴지를 거는 듯한 기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새로운 유엔 제재안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에 대해 한국의 얼론이 보도한 내용을 보도록 하자.
연합뉴스는 러 외무부 "안보리 대북결의안 정부 부처 간 조율에 시간 필요"라는 제목에서 아래와 같이 보도하였다.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인 마리아 자하로바는 24일 정례 브리핑에서 유엔 안보리 대 조선 제재안이 논의되는 데 대한 러시아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결의안에 대한 작업이 계속되고 있으며 제재 결의안이기 때문에 (러시아 국내) 정부 부처 간 조율에 시간이 필요하다"고 답했다고 보도하였다. 보도는 계속해서  "현재 정부 부처 간 조율 작업에 착수하려 한다"면서 "이러한 종류의 결의안은 러시아 경제와 다른 분야들도 건드리기 때문에 부처 간 협의 없이는 채택될 수 없다"고 강조했으며,  "결의안 문안과 제안들을 검토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며 부처 간 조율이 필요한 구체적 문제들이 있다"고 덧붙였다고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의 대답을 전하였다. 결국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의 이와 같은 대답은 러시아의 국내 입장을 고려한다면서 새로운 대 조선 유엔 안보리 제재안에 선뜻 나서고 싶지 않다는 러시아의 속심을 드러내는 것은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해본다.

한편 새로운 대 조선 유엔 안보리 제재안이 논의되는 것에 대한 질문을 받은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 자하로바의 대답을 러시아 방송 스푸트닉은 아래와 같이 보도하였다.

러 외무부 "대북 추가 제재 채택에 유엔 상임이사국 합의할 시간 필요"라는 제목으로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의 말을 스푸트닉이 보도하였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24일 "러시아가 북한에 대한 신규(추가) 제재안에 합의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내가 말했던 것처럼 조정 당사자간 결의안 합의를 위해서 러시아에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러시아의 경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동 수준의 상임이사국 간 합의 없이는 채택할 수 없으며 현재 결의안 이행이 진행중이다"고 설명했다.는 새로이 내오려고 하는 대 조선 유엔 제재안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을 전하는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의 말을 스푸트닉이 전하였다.

새로운 대 조선 제재안이 논의 되고 있는데 대한 러시아의 입장에 대해 "이와 관련 로이터 통신은 안보리 소식통을 인용 미국과 중국이 합의한 대북제재안에 아직 러시아의 동의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중국이 설득에 나섰다고 보도했다."고 러시아 외부의 반응을 스푸트닉은 전하였다.

한편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 마리아 자하로바는 지난 11월 17일 "유엔 대북 제재 결의 채택 시기 말하기는 이르다... 논의 진행중"이라면서 "언론매체가 보도한 유출된 정보를 근거로 삼아서는 안된다. 논의는 진행중이며 채택 시기를 말하기는 아직 이르다"고 설명했다고 스푸트닉이 보도하였다. 스푸트닉은 계속해서 "전날 언론들은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신규 대북 제재 결의가 다음 주 중 채택될 것이라고 보도했었다."고 전하였다. 이렇듯 국제 주류언론들은 미국의 이익을 앞장에 서서 대변하고 있다는 것을 이번의 사례에서도 그대로 증명해주고 있다. 결정된 사항도 아닌데 마치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모두 새로운 대 조선 제재안에 대해 합의를 한 것처럼 세게 여론을 오도하고 있다. 우리는 소위 세계 거대 언론, 주류언론들이 내돌리는 여런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날카롭게 비교분석해서 보아야 한다.

지난 9월 9일 조선이 단행한 《핵탄두 폭발시험》에 대응해서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이 앞장에 서서 새로운 대 조선 제재 결의안을 내오기 위해 동분서주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지만 그 성과는 쉽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새로운 대 조선 제제안에 대해 중국과 미국이 합의를 했다고 대대적으로 보도를 했지만 중국측으로부터 또 다른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는 보도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 "대북 제재, 북한 민생 위협해선 안 돼"라는 제목으로 중국의 입장을 VOA가 보도하였다. VOA는 계속해서 "중국 정부는 대북 제재가 북한 주민의 생활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거듭 분명히 했다."면서 새로운 대 조선 제재안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분명하면서도 강하게 했다는 점을 전했다.

경상(耿爽-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5일 정례 보고(브리핑)에서  "중국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전면적이고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제재가 북한 민생과 인도적 수요를 해치면 안 된다"고 했다는 중국 입장에 대해 전했다. 경상(耿爽-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계속해서 "안보리의 기존 대북 결의안은 북한의 석탄과 철광석 수출을 금지함과 동시에 민생과 핵·미사일 개발 자금 조달과 관련이 없는 수출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며, "중국의 북한산 석탄 수입은 규정에 부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VOA가 보도하였다.

결국 중국도 새로운 대 조선 유엔 제재안에 대해서 합의를 하기는 했지만 대변인의 보고를 보면 그저 형식적 합의에 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미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 등은 러시아의 노골적인 지연술과 중국의 형식적 합의에 목을 메고 대 조선 적대시 정책인 유엔 안보리 제제안을 내오려고 노력하지 말고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고 오히려 조선반도의 정세만 극단적으로 몰고가는 정책은 이제 그만 멈추어야 한다. 또 현재 조선이 차지하고 있는 국제적 위상과 위치를 있는 그대로 현실을 인정하고 조선반도와 동북아시아 그리고 세계 평화를 위해 대화를 통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미국, 일본 한국 그리고 그를 추종하는 나라들은 대 조선 적대감을 버리고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럴때만이 문제가 해결될 것이며 자신들이 얻고자 하는 소기의 목적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전봉준투쟁단 트랙터, 안성IC에서 경찰에 막혀...일부 트럭은 상경중


“끝까지 싸우겠다” 긴급 기자회견
박소영·지형원·이승훈 기자
발행 2016-11-25 15:49:04
수정 2016-11-25 19:51:04
이 기사는 번 공유됐습니다

경부고속도로 안성IC  인근에서 전농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의 방해를 규탄하면서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끝까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부고속도로 안성IC 인근에서 전농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의 방해를 규탄하면서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끝까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민중의소리
경부고속도로 안성IC  인근에서 전농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의 방해를 규탄하면서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끝까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부고속도로 안성IC 인근에서 전농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의 방해를 규탄하면서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끝까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민중의소리
4신:오후 7시 30분
박근혜 퇴진을 주장하며 트랙터를 몰고 상경중이던 ‘전봉준 투쟁단’이 경부고속조로 안성IC 입구에서 또 다시 가로막혔다.
경찰은 버스와 병력을 배치해 농민들이 고속도로로 진입할 수 없도록 막았다. 이로 인해 트랙터를 실은 트럭을 비롯해 차량 수십대가 경찰에 막혀 진입하지 못하고 대치 중이다. 가로막힌 농민들은 “합법적인 집회에 참석하려는데 왜 길을 막는 것이냐”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농민들은 오후 6시께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농민을 죽이고, 농업을 박살내고 나라를 망치고 민족을 팔아먹는 박근혜 정권이 퇴진할 때까지 우리는 끝까지 전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긴급 기자회견을 마친 오후 6시 40분께 농민들은 다시 한 번 안성IC 진입을 시도하며 이를 가로막는 경찰병력과 극렬하게 대치했다. 오후 7시 30분 현재 농민들은 잠시 진입을 중단하고 대기하고 있다.
한편 안성 경찰서는 농민들을 향해 “불법 도로점거 행위를 중단하라”는 경고 방송을 내보내고 있다.
경부고속도로 안성IC  인근에서 전농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의 방해를 규탄하면서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끝까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부고속도로 안성IC 인근에서 전농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의 방해를 규탄하면서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끝까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민중의소리
3신:오후 7시
농민들이 경부고속도로 죽전휴게소에서 경찰의 제지를 받았으나 이를 뚫고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위해 서울로 향했다.
농민들이 경부고속도로 죽전휴게소에서 경찰의 제지를 받았으나 이를 뚫고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위해 서울로 향했다.ⓒ민중의소리
농민들이 경부고속도로 죽전휴게소에서 경찰의 제지를 받았으나 이를 뚫고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위해 서울로 향했다.
농민들이 경부고속도로 죽전휴게소에서 경찰의 제지를 받았으나 이를 뚫고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위해 서울로 향했다.ⓒ민중의소리
오후 6시경, 죽전휴게소에서 출발하려는 트랙터를 실은 3톤 트럭을 경찰이 제지했다. 그러나 농민들이 강력하게 항의하며 경찰의 저지선을 다시 뚫었다.
이날 죽전휴게소에는 안성종합운동장에서 출발했던 트럭에 실린 2대의 트랙터와 80여대의 트럭이 모였다. 대부분의 트랙터는 평택대학교 부근 안성IC 진입로에서 경찰에 의해 저지당했으나, 2대의 트랙터는 경찰이 막지 않는 서안성IC를 이용해 죽전휴게소에 도착했다.
오후 6시경 죽전휴게소에서 트랙터와 트럭을 정비한 전봉준투쟁단이 서울 방향으로 출발하려 하자 30여명의 경찰이 휴게소 입구를 가로막았다. 농민들이 “우리가 어디를 가는 줄 알고 막느냐”며 항의했다. 20여분간 실랑이 끝에 경찰은 “트랙터를 실은 차량에 경찰차를 붙이겠다”며 일단 길을 열었다.
전봉준투쟁단은 오후 6시20분경부터 서울을 향한 차량 행진을 다시 시작했다.
경부고속도로 안성IC  인근에서 전농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의 방해를 규탄하면서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끝까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부고속도로 안성IC 인근에서 전농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의 방해를 규탄하면서 ‘박근혜 퇴진’ 집회와 행진을 끝까지 할 것이라고 밝혔다.ⓒ민중의소리
2신:오후 5시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며 트랙터행진에 나선 농민들이 트랙터를 화물차에 싣고 죽전휴게소로 향하고 있다.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며 트랙터행진에 나선 농민들이 트랙터를 화물차에 싣고 죽전휴게소로 향하고 있다.ⓒ양지웅 기자
‘박근혜 퇴진’ 깃발 등을 이유로 경찰에 가로막혔던 농민들이 25일 오후 4시경 봉쇄를 뚫고 행진을 다시 시작했다.
경기도 평택대학교 인근에서 경찰에 막혔던 농민 트럭들은 속속 안성 IC로 진입해 죽전 휴게소로 집결하고 있다. 죽전 휴게소에는 이미 경찰 병력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트랙터를 실은 화물차가 고속도로로 향하려고 하자 이를 가로막았다.
현재 오후 4시 기준 죽전휴게소에는 농민들 화물차 30여대가 집결했으며, 궁내동 톨게이트를 지나서 트럭 40여대가 대기중이다.
25일 죽전휴게소에 대기하고 있는 경찰 병력
25일 죽전휴게소에 대기하고 있는 경찰 병력ⓒ민중의소리
25일 죽전휴게소로 집결한 농민 트럭들
25일 죽전휴게소로 집결한 농민 트럭들ⓒ민중의소리
1신:오후 3시 30분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며 트랙터행진에 나선 농민들을 경찰이 막아서고 있다.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며 트랙터행진에 나선 농민들을 경찰이 막아서고 있다.ⓒ양지웅 기자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며 트랙터행진에 나선 농민들을 경찰이 막아서고 있다.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며 트랙터행진에 나선 농민들을 경찰이 막아서고 있다.ⓒ양지웅 기자
경찰들이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청와대 트랙터 행진에 나선 전농 전봉준투쟁단 차량에 다니며 깃발을 떼고 이동할것을 요구하고 있다.
경찰들이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 앞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청와대 트랙터 행진에 나선 전농 전봉준투쟁단 차량에 다니며 깃발을 떼고 이동할것을 요구하고 있다.ⓒ양지웅 기자
법원이 전국농민회총연맹의 ‘전봉준 투쟁단 트랙터 행진’을 허가한 가운데 경찰이 이번엔 농민들이 타고 있는 트럭에 달린 ‘박근혜 퇴진’ 깃발과 나락을 내리라고 요구하고 있다.
25일 오전 11시경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에서 1차 집결했던 농민들은 다음 집결지로 이동하기 위해 트랙터와 트럭을 출발시키려 했으나 경찰은 트럭에 달린 깃발 등을 이유로 이동을 저지했다.
농민들은 “법원이 허가했는데 왜 막고 있는 것이냐”고 반발하고 있다.
경찰은 같은 이유로 안성IC 인근에서도 농민들의 차량 진입을 통제하고 있다. 농민들은 차량에서 내려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며 행진 차단을 항의하고 있다.
민변 김상은 변호사는 “집회 장소로의 이동이기 때문에 깃발 달았다는 것을 이유로 경찰이 제지한다면 집회 참여를 막기 위해 빌미를 삼는 것일 뿐”이라며 “이는 헌법상에 집회자유에 대한 불법적 침해”라고 비판했다.
경찰이 25일 오후 3시경 안성IC 앞에서 농민들의 고속도로 진입을 막고 있다.
경찰이 25일 오후 3시경 안성IC 앞에서 농민들의 고속도로 진입을 막고 있다.ⓒ민중의소리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청와대 트랙터 행진에 나선 전농 전봉준투쟁단이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 앞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청와대 트랙터 행진에 나선 전농 전봉준투쟁단이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 앞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양지웅 기자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청와대 트랙터 행진에 나선 전농 전봉준투쟁단이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 앞에서 서울로 향할 준비를 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퇴진 촉구 청와대 트랙터 행진에 나선 전농 전봉준투쟁단이 25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평택대학교 앞에서 서울로 향할 준비를 하고 있다.ⓒ양지웅 기자

'사상최대' 촛불, 청와대 포위 가능해졌다


16.11.25 20:40l최종 업데이트 16.11.25 21:15l








이 기사 한눈에

  • 법원이 26일 열리는 5차 범국민행동에 대해 '청운동 주민센터 앞 집회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 법원의 판단에 따르면 '집회는 오후 5시까지, 행진은 오후 5시 30분까지'다.
  • 법원의 결정문을 눈여겨 볼만하다. 법원은 '집회·행진의 목적이 범죄혐의 대통령에 대한 항의에 있으므로 항의 대상과 집회·행진 장소는 연관관계가 있다'라고 봤다.
박근혜퇴진 4차 범국민행동 전국동시다발 4차 박근혜 퇴진 범국민행동가 19일 오후 광화문광장에서 수십만명의 시민들이 모인 가운데 열리고 있다.
▲ 박근혜퇴진 4차 범국민행동 전국동시다발 4차 박근혜 퇴진 범국민행동이 지난 19일 오후 광화문광장에서 수십만 명의 시민들이 모인 가운데 열리고 있다.
ⓒ 권우성

[기사 보강 : 25일 오후 9시 9분]

사상 최대규모가 예고된 26일 촛불집회를 청와대 바로 앞에서 할 수 있게 됐다. 법원은 25일 청와대 앞 200미터에 위치한 청운 효자동 주민센터 앞까지 행진을 막아선 안 된다고 결정했다. 

대신 집회는 오후 5시까지고, 행진은 오후 5시 30분까지로 제한했다. 이로써 박근혜 대통령 하야를 촉구하는 5차 범국민대회에 참여하는 시민들의 '청와대 포위'도 가능해졌다. 

26일 서울행정법원 12행정부(부장 장순욱)는 '박근혜 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이 경찰의 집회금지·제한통고에 대해 제기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했다. 경찰은 비상국민행동이 신고한 5차 범국민대회 중 청와대 인근의 행진과 집회를 사실상 금지했는데, 법원이 이 같은 금지는 위법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번 법원 판단의 대상이 된 부분은 경복궁역 북쪽 청운효자동주민센터 방향으로 가는 3개 행진코스와 3군데의 집회, 경복궁 동쪽 삼청동 입구 방향 1개 행진코스와 1개 집회다. 청와대로부터 불과 200여 m 떨어진 곳에서 행진과 집회를 여는 문제였다. 

경찰은 교통소통의 장애와 안전사고의 우려를 들어 해당 지역 집회 전부에 금지통고하고, 행진코스는 율곡로 남쪽까지로 제한통고했다. 하지만 법원은 이같은 우려가 집회와 시위의 자유를 제한할만큼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집회는 오후 5시까지, 행진은 오후 5시 30분까지 제한하는 조건으로 제한·금지통고의 효력을 정지시켰다. 

"범죄 혐의 대통령에 대한 항의, 교통소통보다 중요" 
청와대 '학익진' 에워싸기 19일 오후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박근혜퇴진 4차 범국민행동에 참가했던 시민들이 청와대 에워싸기(학익진) 행진을 벌이며 청와대로 통하는 동십자각앞을 지나고 있다.
▲ 청와대 '학익진' 에워싸기 지난 19일 오후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박근혜퇴진 4차 범국민행동에 참가했던 시민들이 청와대 에워싸기(학익진) 행진을 벌이며 청와대로 통하는 동십자각앞을 지나고 있다.
ⓒ 권우성

법원의 판단은 단순히 교통소통과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차원이 아니었다. 법원은 결정문에서 "이 사건 집회와 행진의 목적은 범죄혐의를 받고 있는 대통령에 대한 항의와 책임을 촉구하는 데 있으므로, 항의의 대상과 집회·행진의 장소는 밀접한 연관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이 있는 장소와 가까이에서 집회·시위를 여는 것이 이번 집회·행진의 의의에 부합하다는 것이다. 

법원은 이어 "집회 및 행진이 허용될 경우 교통 불편이 예상되는 것은 사실이나, 집회의 자유는 교통상 불편을 수반할 수밖에 없고, 집회 및 행진이 예정된 일시·장소에서 원활한 교통 소통을 확보해야 할 공익이 이 사건 집회와 행진을 보장할 헌법적 요청보다 더 무겁다고 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집회와 행진의 장소를 항의의 대상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정당화한다고 볼 수도 없다"라고 판단했다. 

법원은 또 "지난 몇 주간 동일한 취지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에서, 참가한 시민들이 확인시켜준 건강한 시민의식과 질서있는 집회문화에 비추어 보면 일부 행진구간의 도로상황에서 비롯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도 참여 시민들의 자제와 배려에 의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뢰를 갖게 한다"라고 덧붙였다. 

법원은 "다만 야간에는 사물의 분별이 용이하지 않고, 질서유지도 상대적으로 어려워질 것이므로 안전사고가 우발적으로 발생할 개연성 역시 주간에 비해 훨씬 높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고, 이 사건 집회 및 행진장소에서 대규모 집회나 행진을 시도한 경험이 축적되지 않은 상태"라면서 "현 단계에서는 야간에 위 장소나 구간에서 이뤄지는 집회 및 행진은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라고 판단했다.
☞ 당신의 이야기도 '뉴스'가 됩니다. 지금 시민기자로 가입하세요!   ✎ 시민기자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