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19년 7월 19일 금요일

하루 450㎏ 먹는 코끼리, 기후변화 줄이는 ‘착한 식성’


조홍섭 2019. 07. 19
조회수 1285 추천수 0
콩고분지 둥근귀코끼리, 작은 나무 먹어치워 크고 조밀한 나무 늘려

f1.jpg» 서아프리카 콩고분지에 서식하는 둥근귀코끼리. 열대우림에 적응해 코끼리 가운데 덩치가 가장 작지만, 키 2.4∼3m, 무게 2∼4t으로 많은 양의 식물을 먹는다. 토마스 브로이어,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적도 아프리카 서부에 있는 콩고분지는 지구에서 두 번째로 큰 훼손되지 않은 열대우림이 보존된 곳이다. 이곳에는 사바나에 사는 아프리카코끼리와 종이 다른 둥근귀코끼리가 산다.

지름 30㎝ 이하면 어떤 나무도 쓰러뜨리는 이 코끼리는, 나뭇잎과 껍질은 물론 씨와 열매 등을 하루 450㎏까지 닥치는 대로 먹는 대식가다. 그러나 이런 식습관이 열대림을 망가뜨리기는커녕 숲을 지탱하는 중요한 구실을 한다.

이 코끼리의 똥 무더기 하나에서 식물 96종의 씨앗 1000여 개가 발견되기도 했다. 식물의 씨앗을 먼 거리로 옮겨 ‘비료’와 함께 살포하는가 하면, 나무에 고정된 무기물 등 중요한 영양분을 토양으로 되돌려 주어 ‘숲의 거대 정원사’란 별명을 얻었다.

둥근귀코끼리의 식성이 초래하는 또 다른 효과가 발견됐다. 이 코끼리가 숲을 교란한 덕분에 지상의 생물량(바이오매스)이 늘어났고, 그 결과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를 숲이 더 많이 저장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f2.jpg» 둥근귀코끼리는 키 작은 나무를 키 큰 나무로, 빨리 자라는 나무를 느리고 단단하게 자라는 나무로 숲의 구조를 바꾸어 결과적으로 지상에 더 많은 양의 탄소를 보관하는 구실을 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파비오 베르자기 이탈리아 투시아대 생물학자 등 국제 연구진은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 15일 치에 실린 논문에서 모델링과 현지 조사를 통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베르자기는 “코끼리가 작은 나무를 먹어치운 결과 더 적은 수의 나무가 더 크게 자라고, 목재가 단단한 수종으로 숲이 바뀌어 나가게 된다”고 ‘네이처 리서치’의 연구 후기에서 설명했다.

그는 이런 변화를 기후와 토양이 비슷하지만, 형태는 전혀 다른 남아메리카의 아마존 열대림과 비교했다. 아마존에는 콩고보다 더 작은 나무가 더 빽빽하게 우거져 있다. 

그는 이런 차이가 “아마존 열대우림에서는 1만년 전 거대 초식동물이 모두 멸종했지만, 아프리카에는 코끼리가 살아남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끼리가 작은 나무들을 없애자 키 큰 나무 밑에 그늘과 수분 부족에 잘 견디는 나무들이 하층 숲을 형성했는데, 이들은 목질이 더 촘촘하고 단단해 같은 크기의 숲이라도 더 많은 탄소를 간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f3.jpg» 콩고분지 열대림의 모습. 키 큰 나무 밑에 빛과 물 부족에 잘 견디는 느리게 자라는 나무들이 하층 식생을 이뤄 작은 나무가 빽빽한 아마존과 대조를 이룬다. 아벨 카바나 ,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연구자들이 실제로 코끼리가 있는 곳과 없는 곳의 나무를 비교해 보니, 코끼리가 있는 곳의 나무 밀도가 ㎥당 75g 더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따라서 열대림 1㎢에 코끼리가 0.5∼1마리만 있어도 지상의 숲에 보관할 수 있는 탄소량은 ㏊당 26∼60t에 이른다고 연구자들은 계산했다.

반대로 이 코끼리가 멸종한다면, 열대림의 목재 속에 보관되던 탄소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로 돌아가 기후변화를 악화하게 된다. 한반도보다 10배가량 넓은 중앙아프리카의 둥근귀코끼리는 한때 수백만 마리가 살았지만 현재 약 10만 마리만 남아 있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둥근귀코끼리가 콩고분지에서 지상에 추가로 저장한 탄소량을 30억t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사상 최고였던 세계의 탄소 배출량 371억t의 8%에 해당하는 양이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Fabio Berzaghi et al, Carbon stocks in central African forests enhanced by elephant disturbance, Nature Geoscience (2019) DOI: 10.1038/s41561-019-0395-6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