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페이지뷰

2022년 11월 2일 수요일

[우리말 바루기] ‘낙엽’은 떨어지지 않는다

 


중앙일보

입력 2022.11.03 00:02

다음 중 주어 또는 목적어와 서술어가 가장 잘 호응하는 것을 고르시오.

㉠낙엽이 떨어진다

㉡돈을 송금했다

㉢전기가 누전된다

㉣피해를 보았다

우리 속담에 ‘짚신도 제짝이 있다’는 말이 있다. 사람에게는 누구나 어울리는 짝이 있다는 얘기다. 단어도 그렇다.

어떤 단어는 특정한 부류의 어휘하고만 결합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그에 알맞은 낱말을 골라 써야 한다. 이를 ‘의미상 선택 제약’이라 한다. 쉽게 얘기하면 단어도 저마다 잘 어울리는 짝이 있으므로 그 둘을 결합시킬 때 가장 조화롭고 자연스럽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낙엽이 떨어진다’는 어떨까? 낙엽(落葉)은 한자어 구성상 나뭇잎이 떨어짐 또는 말라서 떨어진 나뭇잎을 뜻한다. 단어 자체에 떨어진다(落)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낙엽이 떨어진다’고 하는 것은 의미가 중복되는 겹말로, 둘은 어울리는 짝이 될 수 없다. ‘낙엽이 진다’고 하는 것이 좋다.

‘㉡돈을 송금했다’ 역시 송금(送金)이 돈을 부쳐 보내는 것을 뜻하므로 목적어와 서술어가 호응하지 못한다. ‘돈을 보냈다’고 하든가 그냥 ‘송금했다’고 해야 한다. ‘㉢전기가 누전된다’도 마찬가지다. 누전(漏電)이 전기가 새는 것이므로 ‘전기가 샌다’ 또는 그냥 ‘누전된다’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해를 보았다’가 정답이다. ‘피해를 입었다’고 하는 경우가 많으나 피해(被害) 자체가 손해를 입는 것이므로 ‘피해’와 ‘입었다’는 서로 호응하지 못한다. ‘피해를 보았다’고 하는 것이 좋다.

2022년 11월 1일 화요일

울산시 중구, 11월 1일부터 12월 4일까지 ‘전국 순우리말 이름 뽐내기 공모전’ 개최

 


김태익 기자 | 기사입력 2022/11/01 [17:41]

 

 

[코리아투데이뉴스] 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1월 1일부터 12월 4일까지 ‘전국 순우리말 이름 뽐내기’ 공모전을 연다.

  

이번 행사는 울산 중구 출신의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 선생의 정신을 기리고, 한글사랑 문화를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모 분야는 ▲순우리말 사람 이름 ▲순우리말 가게 이름(상호) 두 가지로, 글자의 모양 및 소리의 아름다움, 순우리말 뜻에 대한 표현을 담고 있는 작품이라면 글씨·그림·사진 등 어떤 형태든 참여할 수 있다.

  

이번 공모전에는 본래 가지고 있던 이름 및 새로이 지어낸 이름 모두 응모할 수 있으며, 한 사람당 최대 3작품까지 출품 가능하다.

  

예를 들어 ‘김다솜’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거나 이 이름을 새롭게 지었을 경우, ‘다솜’이라는 아름다운 글씨 또는 ‘다솜’의 뜻인‘애틋하게 사랑함’을 표현한 그림 등을 제출하면 된다.

  

가게 이름(상호)의 경우 본인이 운영하는 가게의 간판이 순우리말로 되어있으면서, 그 형태가 아름다워 작품의 가치가 있는 경우 사진으로 출품할 수 있다.

  

중구는 엄격한 심사를 거쳐 우수작 61개를 선정하고, 오는 12월에 심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수상자들에게는 총 89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행사 일정 확인 및 작품 접수는 전국 순우리말 이름 뽐내기 공모전 공식 누리집(www.ibbom.kr)에서 가능하다.

 

중구는 인터넷 접수를 어려워하는 참가자를 위해 현실 공간(오프라인) 접수처도 함께 운영할 계획이다.

 

한편 ‘순우리말’은 우리말 가운데 고유어만을 이르는 말로, 한자어가 아닌 옛말과 지역 토박이말 등이 포함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국어원 누리집(www.korean.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영길 중구청장은 “이번 공모전이 순우리말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널리 알리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한글을 사랑하고 글·그림 등 예술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김태익 기자 (tkpress8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