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 우리말 산책] (65) 성역(聖域) - ‘성인의 경지·범주’…오늘날 대상 넓어져
- 김미진 기자
- 승인 2021.12.13 16:11
- 댓글 0
성역은 본디 ‘성인의 경지’, 또는 ‘성인의 범주’로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추상적인 개념일 뿐이었다. 기록에 의하면 성역에 들 수 있는 사람은 요순이나 공자 같은 인물 정도에 불과했다니 대단한 경지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것이 언제부터인가 ‘신성한 지역’으로 뜻이 바뀌어 특정 지역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전제군주 시대의 관념이 자리 잡고 있다.
옛날 임금은 생사여탈의 절대 권력을 한 손에 움켜쥐고 있었다. 이때부터 그는 신성불가침의 존재로 인식됐으며, ‘성’은 곧 ‘임금’을 상징하게 되었고, 성역이라면 임금과 관계되는 ‘신성불가침의 지역’을 뜻하게 되었다. 대체로 궁궐이나 종묘, 왕릉, 출생지 등으로서 이런 곳에는 어김없이 하마비를 세워 성역임을 표시하고 말에서 내릴 것과 함부로 접근하지 말 것을 명령했다. 후에는 범위가 넓어져 성인은 물론 고관, 장군들의 출생지나 무덤 따위도 성역으로 지정해 하마비를 세우곤 했다. 지금은 종교적 의미로도 자주 사용된다.
하지만 민주화가 된 지금 성역의 범주도 많이 바뀌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형사건이 터질 때 마다 ‘성역 없이…’라는 말이 등장하곤 하는데 도대체 무슨 성역이 또 존재하는지 모를 일이다.
/ 안도 전 전라북도 국어진흥위원회 위원장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